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어사전에서의 조어 정보 기술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306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국어사전 13종을 선정하여 국어사전에서 조어 정보를 제시한 기준과 방법을 살펴보고 사전학적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조어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조어 정보를 정의내리고 조어 정보 제시 대상이 되는 언어형태를 선정하였다. 먼저 조어 정보는 공시적 조어 정보와 통시적 조어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 낱말이 만들어진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두 조어 정보가 모두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조어 정보 제시 대상이 되는 언어형태로 복합 형태소와 복합어를 선정하였는데, 이는 기존의 형태론 연구의 조어법 대상과 사전에서의 조어 정보 제시 대상이 복합어에만 한정되어 있던 것을 확대시킨 결과이다.3장에서는 각 사전에서 조어 정보를 제시한 기준과 방법을 살펴보았다. 크게 낱말 유형별과 사전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먼저 낱말 유형별로는 조어 정보를 제시할 때 쟁점이 되는 사항을 ‘조어 정보의 제시 범위’, ‘복합 형태소/낱말의 분석 범위’, ‘복합 형태소/낱말 구성 요소의 계층 정보’, ‘복합 형태소/낱말 구성 요소의 의미 정보와 문법 정보’, ‘조어 정보의 제시 위치와 기호’의 다섯 가지로 선정하고 복합 형태소와 복합어의 조어 정보가 제시된 예를 살펴보았다. 사전 유형별로는 조어 정보 제시 범위와 올림말의 분석 범위에 따라 ‘공시적·통시적 조어 정보 제시’, ‘다원 분석에 의한 공시적 조어 정보 제시’, ‘이원 분석에 의한 공시적 조어 정보 제시’, ‘조어 정보 미제시’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사전에서 조어 정보를 제시한 기준과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사전의 편찬 시기와 편찬 목적, 사전 편찬자들의 문법관에 따라 조어 정보의 기준과 방법이 다르게 제시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4장에서는 국어사전에서 효율적으로 조어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조어 정보 제시 대상’, ‘조어 정보 제시 범위’, ‘올림말의 분석 범위’, ‘올림말 구성 요소의 계층 정보’, ‘올림말 구성 요소의 의미 정보와 문법 정보’, ‘조어 정보의 제시 위치와 기호’의 여섯 가지 항목을 통하여 사전 사용자들에게 올림말이 만들어지게 된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은 국어사전은 특수 사전이 아닌 일반 사전의 성격을 띠므로 낱말이 만들어지게 된 과정을 모두 제시할 수 없기 때문에, 조어 정보를 제시할 때의 기준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는 사전에서의 ‘조어 정보 제시 지침’과도 같은 것으로 이를 통해 특수 사전이 아닌 일반 국어사전에서의 조어 정보 제시 기준과 방법을 정리해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국어사전 13종을 선정하여 국어사전에서 조어 정보를 제시한 기준과 방법을 살펴보고 사전학적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조어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

      이 연구는 국어사전 13종을 선정하여 국어사전에서 조어 정보를 제시한 기준과 방법을 살펴보고 사전학적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조어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조어 정보를 정의내리고 조어 정보 제시 대상이 되는 언어형태를 선정하였다. 먼저 조어 정보는 공시적 조어 정보와 통시적 조어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 낱말이 만들어진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두 조어 정보가 모두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조어 정보 제시 대상이 되는 언어형태로 복합 형태소와 복합어를 선정하였는데, 이는 기존의 형태론 연구의 조어법 대상과 사전에서의 조어 정보 제시 대상이 복합어에만 한정되어 있던 것을 확대시킨 결과이다.3장에서는 각 사전에서 조어 정보를 제시한 기준과 방법을 살펴보았다. 크게 낱말 유형별과 사전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먼저 낱말 유형별로는 조어 정보를 제시할 때 쟁점이 되는 사항을 ‘조어 정보의 제시 범위’, ‘복합 형태소/낱말의 분석 범위’, ‘복합 형태소/낱말 구성 요소의 계층 정보’, ‘복합 형태소/낱말 구성 요소의 의미 정보와 문법 정보’, ‘조어 정보의 제시 위치와 기호’의 다섯 가지로 선정하고 복합 형태소와 복합어의 조어 정보가 제시된 예를 살펴보았다. 사전 유형별로는 조어 정보 제시 범위와 올림말의 분석 범위에 따라 ‘공시적·통시적 조어 정보 제시’, ‘다원 분석에 의한 공시적 조어 정보 제시’, ‘이원 분석에 의한 공시적 조어 정보 제시’, ‘조어 정보 미제시’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사전에서 조어 정보를 제시한 기준과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사전의 편찬 시기와 편찬 목적, 사전 편찬자들의 문법관에 따라 조어 정보의 기준과 방법이 다르게 제시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4장에서는 국어사전에서 효율적으로 조어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조어 정보 제시 대상’, ‘조어 정보 제시 범위’, ‘올림말의 분석 범위’, ‘올림말 구성 요소의 계층 정보’, ‘올림말 구성 요소의 의미 정보와 문법 정보’, ‘조어 정보의 제시 위치와 기호’의 여섯 가지 항목을 통하여 사전 사용자들에게 올림말이 만들어지게 된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은 국어사전은 특수 사전이 아닌 일반 사전의 성격을 띠므로 낱말이 만들어지게 된 과정을 모두 제시할 수 없기 때문에, 조어 정보를 제시할 때의 기준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는 사전에서의 ‘조어 정보 제시 지침’과도 같은 것으로 이를 통해 특수 사전이 아닌 일반 국어사전에서의 조어 정보 제시 기준과 방법을 정리해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riteria and method in presenting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in thirteen Korean dictionaries and propose efficient method to present information of the entry's word formation in a view lexicographical context.In chapter 2,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is defined and language unit which is an object to present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is selected. First,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consists of synchronic and diachronic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how the entry has been made, two kinds of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synchronic and diachronic information, are needed. Second, complex morphemes and compound words are selected as a language unit which needs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This is an expanded result of previous studies which examined only compound words as an object of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In chapter 3, criteria and method to present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in each dictionary are examined in two different contexts: language unit and dictionary unit. First, in language unit, examples are analyzed according to five issues: extent of present of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extent of analysis of complex morpheme and compound word, classical information of component part of complex morpheme and compound word, meaning and grammar information of component part of complex morpheme and compound word, and location and symbol that indicates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Second, in dictionary unit, dictionaries are analyzed according to extent of present of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and extent of analysis of complex morpheme and compound word. Thirteen dictionari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dictionaries that present synchronic and diachronic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dictionaries that present synchronic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using dualistic division, dictionaries that present synchronic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using plural division, and dictionaries that does not present information of the entry's word formation. From this we are able to check that the criteria and method to present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period and purpose of publishing dictionary, and a lexicographer's view on grammar.In chapter 4, the method which present information of the entry's word formation are proposed according to six issues: objects of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extent of presenting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extent of analysis of entry, classical information of component part of entry, meaning and grammar information of component part of entry, and location and symbol that indicates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Through these six issues, efficient ways of presenting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for dictionary user are listed. However, Korean dictionaries that are examined in this study have general purpose, not special purpose. Therefore, all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can not be presented in Korean dictionary. So, some limitations also are proposed together in this study. This can be a guide in presenting information on the entry's word formation in Korean dictionary.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riteria and method in presenting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in thirteen Korean dictionaries and propose efficient method to present information of the entry's word formation in a view lexicographical context.In chap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riteria and method in presenting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in thirteen Korean dictionaries and propose efficient method to present information of the entry's word formation in a view lexicographical context.In chapter 2,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is defined and language unit which is an object to present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is selected. First,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consists of synchronic and diachronic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how the entry has been made, two kinds of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synchronic and diachronic information, are needed. Second, complex morphemes and compound words are selected as a language unit which needs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This is an expanded result of previous studies which examined only compound words as an object of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In chapter 3, criteria and method to present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in each dictionary are examined in two different contexts: language unit and dictionary unit. First, in language unit, examples are analyzed according to five issues: extent of present of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extent of analysis of complex morpheme and compound word, classical information of component part of complex morpheme and compound word, meaning and grammar information of component part of complex morpheme and compound word, and location and symbol that indicates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Second, in dictionary unit, dictionaries are analyzed according to extent of present of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and extent of analysis of complex morpheme and compound word. Thirteen dictionari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dictionaries that present synchronic and diachronic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dictionaries that present synchronic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using dualistic division, dictionaries that present synchronic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using plural division, and dictionaries that does not present information of the entry's word formation. From this we are able to check that the criteria and method to present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period and purpose of publishing dictionary, and a lexicographer's view on grammar.In chapter 4, the method which present information of the entry's word formation are proposed according to six issues: objects of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extent of presenting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extent of analysis of entry, classical information of component part of entry, meaning and grammar information of component part of entry, and location and symbol that indicates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Through these six issues, efficient ways of presenting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for dictionary user are listed. However, Korean dictionaries that are examined in this study have general purpose, not special purpose. Therefore, all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can not be presented in Korean dictionary. So, some limitations also are proposed together in this study. This can be a guide in presenting information on the entry's word formation in Korean dictionar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