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체육 전공 교사의 행위 주체성(Teacher Agency) 탐색 = Teacher Agency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63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이 연구는 다양한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체육 교사가 전공 교과에 대한 행위 주체성을 어떻게 발현하는지와 어떠한 맥락적요인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의 특수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6인의 특수체육 전공 교사를 대상으로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 연구 참여자의 교육자료를 수집하고, 자료 분석은 Priestley et al.(2015)의 생태학적 관점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특수체육 전공 교사는 상황 맥락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확고한 신념을 형성한 경우 적극적으로 체육 교육을 실천하고, 어떠한환경에서도 자신의 전공 교과를 일관적으로 지도하고자 노력하였다. 교사 행위 주체성의 발현은 교사의 과거 생애사의 경험으로부터 형성한 신념 및 체육의 가치와 문화적⋅구조적⋅사회적 맥락이 하나라도 일치하였을 때 촉진되었다. 또한, 특수체육 전공 교사가위치한 맥락이 전공 교과에 대해 허용적인 학교 문화, 동료 교사 및 중요한 타자들의 지원, 체육수업을 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은 교사행위 주체성의 발현을 촉진하는 요인이었다. 반면에, 통합교과로 운영되며 교과 전공보다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개별화 교육을강조하는 담론, 특수체육 전공 교과를 인정하지 않는 현장 문화, 체육을 할 수 없는 물리적 환경 지원의 부재, 특수교사로서의 역할에대한 한정적인 강조, 자신의 전공과목에 대한 성찰의 부재는 교사 행위 주체성 발현의 장벽 요인이 되었다. 또한, 반복적 차원과 평가적 차원의 일치에도 불구하고 투영적 차원에 대한 두려움은 교사 행위 주체성 발현의 장벽으로 작용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체육 교사의 능동적 행위 주체성 발현 가능성, 특수체육 전공 교사들을 위한 현직교사교육의 필요성, 특수교육 현장에서 전공 과목을 인정하는 문화,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목적 이 연구는 다양한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체육 교사가 전공 교과에 대한 행위 주체성을 어떻게 발현하는지와 어떠한 맥락적요인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

      목적 이 연구는 다양한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체육 교사가 전공 교과에 대한 행위 주체성을 어떻게 발현하는지와 어떠한 맥락적요인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의 특수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6인의 특수체육 전공 교사를 대상으로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 연구 참여자의 교육자료를 수집하고, 자료 분석은 Priestley et al.(2015)의 생태학적 관점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특수체육 전공 교사는 상황 맥락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확고한 신념을 형성한 경우 적극적으로 체육 교육을 실천하고, 어떠한환경에서도 자신의 전공 교과를 일관적으로 지도하고자 노력하였다. 교사 행위 주체성의 발현은 교사의 과거 생애사의 경험으로부터 형성한 신념 및 체육의 가치와 문화적⋅구조적⋅사회적 맥락이 하나라도 일치하였을 때 촉진되었다. 또한, 특수체육 전공 교사가위치한 맥락이 전공 교과에 대해 허용적인 학교 문화, 동료 교사 및 중요한 타자들의 지원, 체육수업을 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은 교사행위 주체성의 발현을 촉진하는 요인이었다. 반면에, 통합교과로 운영되며 교과 전공보다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개별화 교육을강조하는 담론, 특수체육 전공 교과를 인정하지 않는 현장 문화, 체육을 할 수 없는 물리적 환경 지원의 부재, 특수교사로서의 역할에대한 한정적인 강조, 자신의 전공과목에 대한 성찰의 부재는 교사 행위 주체성 발현의 장벽 요인이 되었다. 또한, 반복적 차원과 평가적 차원의 일치에도 불구하고 투영적 차원에 대한 두려움은 교사 행위 주체성 발현의 장벽으로 작용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체육 교사의 능동적 행위 주체성 발현 가능성, 특수체육 전공 교사들을 위한 현직교사교육의 필요성, 특수교육 현장에서 전공 과목을 인정하는 문화,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재 ; 임효경, "특수체육지도자들의 2009 스페셜올림픽 세계동계대회 참가 경험 및 인식" 한국특수체육학회 17 (17): 191-211, 2009

      2 윤진주, "특수체육교사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3 김민형 ; 임효경, "특수체육교사의 장애학생 스포츠 활동 지도경험: 통합교육현장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 30 (30): 29-45, 2022

      4 임효경, "특수체육교사의 교직 생활과 문화"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5 탁정근, "특수체육교사의 가치정향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6 윤진주 ; 박종률, "특수체육 전공 초임 교사가 교직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대응 전략"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697-711, 2022

      7 정효철 ; 전혜인,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과정을 수정하는 특수교사와 통합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17-134, 2021

      8 조현민 ; 이현수, "코로나19 상황에서의 특수학교 원격 체육수업 운영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특수체육학회 29 (29): 185-201, 2021

      9 김영한 ; 추경진,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413-432, 2010

      10 김동식, "체육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생활기술 습득과정 탐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 김승재 ; 임효경, "특수체육지도자들의 2009 스페셜올림픽 세계동계대회 참가 경험 및 인식" 한국특수체육학회 17 (17): 191-211, 2009

      2 윤진주, "특수체육교사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3 김민형 ; 임효경, "특수체육교사의 장애학생 스포츠 활동 지도경험: 통합교육현장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 30 (30): 29-45, 2022

      4 임효경, "특수체육교사의 교직 생활과 문화"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5 탁정근, "특수체육교사의 가치정향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6 윤진주 ; 박종률, "특수체육 전공 초임 교사가 교직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대응 전략"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697-711, 2022

      7 정효철 ; 전혜인,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과정을 수정하는 특수교사와 통합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17-134, 2021

      8 조현민 ; 이현수, "코로나19 상황에서의 특수학교 원격 체육수업 운영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특수체육학회 29 (29): 185-201, 2021

      9 김영한 ; 추경진,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413-432, 2010

      10 김동식, "체육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생활기술 습득과정 탐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1 Creswell, J. W.,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박영스토리 2021

      12 서덕희, "질적 연구의 '원형'으로서 사례 연구의 방법론적 성격: 사례와 연구자의 대칭적-되기" 한국교육인류학회 23 (23): 1-29, 2020

      13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이해" 박영사 2012

      14 조용환, "질적 연구 :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15 최범권, "지역사회 연계 특수체육 교실 운영 사례를통한 장애학생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161-171, 2013

      16 오지영, "중등 중국어 교사의 정체성 변화 연구: 교사 행위주체성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60 (60): 479-494, 2021

      17 김승재 ; 임효경, "정신지체·정서장애 특수학교 운동부 지도교사의 인식 및 운동부 실태 조사" 한국운동재활학회 6 (6): 63-79, 2010

      18 유용모 ; 김미숙,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사업에 나타난 교사 행위주체성(teacher agency)"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05-935, 2020

      19 이홍우, "삶과 공부. 교육의 목적과 난점" 교육과학사 23-42, 2016

      20 이혜경 ; 김희백, "변화의 주체로서 과학 교사의 행위주체성 탐색-COVID-19에 따른 원격 수업 실행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41 (41): 237-250, 2021

      21 최정규, "대안학교 체육교사의 정체성 형성과 체육수업의 변화"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0

      22 소경희 ; 최유리, "국내 교사 정체성 연구에 드러난 교사 정체성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289-313, 2019

      23 김현수 ; 정혜영, "교육실습과정에서 경험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위치성과 이에 따른 정체성 탐구"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9 (9): 65-90, 2019

      24 김세영, "교육과정 정책 형성 주체자로서 교사의 행위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9 (39): 5-31, 2021

      25 엄수정, "교육과정 (재)구성과 교사 행위주체성: Butler와 Bhabha의 수행성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8 (38): 57-77, 2020

      26 박새은, "교수 수정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 (2): 63-81, 2009

      27 박은주, "교사정체성에 관한 철학적 접근 : 존재론적 정체성의 시론적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35 (35): 71-94, 2018

      28 최유리, "교사의 혼종적 정체성(hybrid identity)에 관한 연구 : ‘페미니스트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29 김정윤, "교사 행위주체성에 관한 체계적 문헌 조사와 지원 방안 탐색" 교육연구소 25 (25): 105-128, 2019

      30 이성회, "교사 행위자성(Teacher Agency) 개념모델이 교사학습공동체 논의에 주는 도전과 함의" 한국성인교육학회 20 (20): 1-27, 2017

      31 나장함, "교과교육 분야 질적연구의 타당도 확보 기법에 대한 고찰 - 참여자 확인, 동료검토, 감사추적을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70 : 233-254, 2017

      32 Palmer, P. J., "가르칠 수 있는 용기" 한문화멀티미디어 2014

      33 Ke lchte rmans, G., "Who I am in how I teach is the message : self-understanding, vulnerability and reflection" 15 (15): 257-272, 2009

      34 Eteläpelto, A., "What is agency? Conceptualizing professional agency at work" 10 : 45-65, 2013

      35 Thorgeirsdottir, H., "The Change Room promotes teachers’ agency to change their practice" 27 (27): 248-268, 2019

      36 Priestley, M., "Teacher agency : An ecological approach" Bloomsbury Publishing 2015

      37 최승오 ; 김재화,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Paraprofessionals for Multiculturalism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한국특수체육학회 25 (25): 43-51, 2017

      38 Danish, S. J., "Reflections on the status and future of community psychology" 28 (28): 16-18, 1995

      39 Coburn, C. E., "Reading coach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and practice" 47 (47): 5-30, 2012

      40 Wertsch, J. V., "Narrative tools of history and identity" 3 (3): 5-20, 1997

      41 Smith, K., "Leaving teaching : lack of resilience or sign of agency?" 23 (23): 928-945, 2017

      42 Namgung, W., "Investigating the professional agency of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in South Korea" 5 (5): 1-17, 2020

      43 Ryan, R. M.,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25 (25): 54-67, 2000

      44 Hoekstra, A., "Experienced teachers' informal workplace learning and perceptions of workplace conditions" 21 (21): 276-298, 2009

      45 Sherman, B., "Agency, identity, power : An agentive triad model for teacher action" 54 (54): 1464-1475, 2021

      46 Biesta, G., "Agency and learning in the lifecourse : Towards an ecological perspective" 39 (39): 132-149, 2007

      47 Lasky, S., "A sociocultural approach to understanding teacher identity, agency and professional vulnerability in a context of secondary school reform" 21 (21): 899-916, 2005

      48 Imants, J., "A model of teacher agency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chool reform" 52 (52): 1-14, 2020

      49 Brooks, D. K., "A life-skills taxonomy : Defining elements of effective functioning through the use of the Delphi technique" University of Georgia 1984

      50 성열관, "2022 개정 교육과정과 교육과정학의 역할" 39 (39): 1-3,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