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와사키병에서 Epstein Barr Virus Viral Capsid 항체에 대한 연구 = Study of Epstein Barr Virus Antibodies in Kawasaki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3639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 1996. 8

      • 발행연도

        199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가와사키병Epsteinbarrvirusviralcapsid항체

      • KDC

        516.9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22p.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6-20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와사키병은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도 확실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본 질환의 양상과 감염질환과의 관련성이 강력히 시사되고 있는 여러 연구 결과가 있어 원인균 규명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이들 병원체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는 Epstein Barr Virus (EBV)와 가와사키병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3년 6부터 1994년 7월까지 이대부속 동대문 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가와사키병 환아 72명과 EBV감염 증상과 가와사키병이 없는 소아 145명을 대조군으로 삼아 EBV viral capsid antigen (VCA) IgG와 IgM titer를 효소면역법으로 측정비교하였고, 가와사키군 환아의 경우 효소면역법의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해 형광항체법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EBV- VCA IgG의 양성률은 가와사키병 환아에서 75.0%, 대조군에서 59.4%로 가와사키병 환아에서 의미있게 높은 항체양성률을 보였다(P<0.05).
      2)가와사키군에서 EBV-VCA IgG 항체와 연령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3)가와사키병환아에서 VCA IgG 항체가는 ELISA와 IFA 두가지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가 동일하였다.
      4)급성 감염의 지표인 EBV-VCA IgM의 양성률은 가와사키병 환아에서 13.9%(10/72), 대조군에서는 2.1%(3/145)로 가와사키병 환아에서 유의하게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가와사키병 환아의 EBV 항체양성률이 정상보다 높게 측정되어 EBV가 가와사키병의 원인이 될수 있음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으나 가와사키 질환이 다양한 병인론을 갖고 있어서 가와사키 질환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더 광범위한 병원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가와사키병은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도 확실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본 질환의 양상과 감염질환과의 관련성이 강력히 시사되고 있는 여러 연구 결과가 ...

      가와사키병은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도 확실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본 질환의 양상과 감염질환과의 관련성이 강력히 시사되고 있는 여러 연구 결과가 있어 원인균 규명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이들 병원체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는 Epstein Barr Virus (EBV)와 가와사키병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3년 6부터 1994년 7월까지 이대부속 동대문 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가와사키병 환아 72명과 EBV감염 증상과 가와사키병이 없는 소아 145명을 대조군으로 삼아 EBV viral capsid antigen (VCA) IgG와 IgM titer를 효소면역법으로 측정비교하였고, 가와사키군 환아의 경우 효소면역법의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해 형광항체법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EBV- VCA IgG의 양성률은 가와사키병 환아에서 75.0%, 대조군에서 59.4%로 가와사키병 환아에서 의미있게 높은 항체양성률을 보였다(P<0.05).
      2)가와사키군에서 EBV-VCA IgG 항체와 연령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3)가와사키병환아에서 VCA IgG 항체가는 ELISA와 IFA 두가지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가 동일하였다.
      4)급성 감염의 지표인 EBV-VCA IgM의 양성률은 가와사키병 환아에서 13.9%(10/72), 대조군에서는 2.1%(3/145)로 가와사키병 환아에서 유의하게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가와사키병 환아의 EBV 항체양성률이 정상보다 높게 측정되어 EBV가 가와사키병의 원인이 될수 있음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으나 가와사키 질환이 다양한 병인론을 갖고 있어서 가와사키 질환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더 광범위한 병원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tiology of the Kawasaki disease remains unclear, but many strong clinical and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suggest an infectious etiology. However, conventional bacterial and viral cultures and extensive serologic studies have not revealed a consistent causative agent.
      Seventy-two Kawasaki patients were studied to know the relation between EBV and Kawasaki disease. 145 normal children who have no evidence of Kawasaki disease or EBV infection were also analyzed as control group. The Viral Capsid Antigen (VCA) -IgG titer and IgM were measured in both groups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The positive rate of EBV-VCA Ig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Kawasaki disease group(75.0%)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59.4%).
      2)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ge and EBV-VCA IgG antibody titer in Kawasaki disease group.
      3)VCA-IgG antibody titers were very similar in ELISA and IFA method.
      4)The positive rate of EBV- VCA IsM, the indicator of acute EBV inf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Kawasaki disease (13.9%)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high positive rate of EBV antibody measured in Kawasaki diesease patients suggested that EBV might be etiologic pathogen of Kawasaki disease. While the stereotyped nature of Kawasaki disease makes the multiple pathogenesis, more extensive research for identifying the cause of Kawasaki disease will be necessary.
      번역하기

      The etiology of the Kawasaki disease remains unclear, but many strong clinical and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suggest an infectious etiology. However, conventional bacterial and viral cultures and extensive serologic studies have not revealed a con...

      The etiology of the Kawasaki disease remains unclear, but many strong clinical and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suggest an infectious etiology. However, conventional bacterial and viral cultures and extensive serologic studies have not revealed a consistent causative agent.
      Seventy-two Kawasaki patients were studied to know the relation between EBV and Kawasaki disease. 145 normal children who have no evidence of Kawasaki disease or EBV infection were also analyzed as control group. The Viral Capsid Antigen (VCA) -IgG titer and IgM were measured in both groups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The positive rate of EBV-VCA Ig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Kawasaki disease group(75.0%)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59.4%).
      2)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ge and EBV-VCA IgG antibody titer in Kawasaki disease group.
      3)VCA-IgG antibody titers were very similar in ELISA and IFA method.
      4)The positive rate of EBV- VCA IsM, the indicator of acute EBV inf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Kawasaki disease (13.9%)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high positive rate of EBV antibody measured in Kawasaki diesease patients suggested that EBV might be etiologic pathogen of Kawasaki disease. While the stereotyped nature of Kawasaki disease makes the multiple pathogenesis, more extensive research for identifying the cause of Kawasaki disease will be necessa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Ⅳ
      • 논문개요 = Ⅶ
      • Ⅰ. 서론 = 1
      • Ⅱ. 대상 및 방법 = 2
      • 1. 연구대상 = 2
      • 목차 = Ⅳ
      • 논문개요 = Ⅶ
      • Ⅰ. 서론 = 1
      • Ⅱ. 대상 및 방법 = 2
      • 1. 연구대상 = 2
      • 2. 연구방법 = 2
      • 3. 통계방법 = 3
      • Ⅲ. 결과 = 4
      • 1. 연령별 EBV-VCA IgG 항체 양성률 = 4
      • 2. 가와사키 환아군에서 EBV-VCA IgG 항체가 = 6
      • 3. EBV-VCA IgM 항체 양성률 = 9
      • Ⅳ. 고찰 = 10
      • Ⅴ. 결론 = 15
      • 참고문헌 = 16
      • 영문초록 = 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