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퍼스를 활용한 유의어 분석 연구―‘旅行’와 ‘観光’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Corpus-Based Analysis of Synonyms─Focused on ryokou and kanko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662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코퍼스 검색 시스템인 CEMS, NLB, NLT를 활용하여, 일본어 ‘旅行’와 ‘観光’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旅行’와 ‘観光’의 출현 빈도수, 공기하는 어휘, 패턴별 빈도 순위, 문장 특징 등을 비교・분석하고, 이들 유의어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旅行’와 ‘観光’의 사전에서의 의미 규정을 바탕으로, 이들의 의미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코퍼스 검색 시스템에서 검증하였다.
      먼저, CEMS에서 ‘旅行’, ‘観光’와 공기빈도가 높은 동사와 명사의 특징을 분석하고, 용례를 통해, 이들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또, NLB, NLT에서는 ‘旅行’, ‘観光’의 출현 빈도수, 패턴별 빈도순위, 출현 텍스트 장르 비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코퍼스 검색 시스템에서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旅行’, ‘観光’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하와 같이 규정하였다.
      ‘旅行’와 ‘観光’는 ‘본인이 있던 곳을 떠나, 다른 지역이나 나라로 가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하지만, ‘旅行’는 ‘어떤 목적을 가지고 떠나는 행위’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観光’는 ‘목적지에서의 보고, 듣고, 체험하는 행위’에 초점을 두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코퍼스 검색 시스템인 CEMS, NLB, NLT를 활용하여, 일본어 ‘旅行’와 ‘観光’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旅行’와 ‘観光’의 출현 빈도수, 공기하는 ...

      본 연구에서는 코퍼스 검색 시스템인 CEMS, NLB, NLT를 활용하여, 일본어 ‘旅行’와 ‘観光’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旅行’와 ‘観光’의 출현 빈도수, 공기하는 어휘, 패턴별 빈도 순위, 문장 특징 등을 비교・분석하고, 이들 유의어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旅行’와 ‘観光’의 사전에서의 의미 규정을 바탕으로, 이들의 의미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코퍼스 검색 시스템에서 검증하였다.
      먼저, CEMS에서 ‘旅行’, ‘観光’와 공기빈도가 높은 동사와 명사의 특징을 분석하고, 용례를 통해, 이들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또, NLB, NLT에서는 ‘旅行’, ‘観光’의 출현 빈도수, 패턴별 빈도순위, 출현 텍스트 장르 비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코퍼스 검색 시스템에서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旅行’, ‘観光’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하와 같이 규정하였다.
      ‘旅行’와 ‘観光’는 ‘본인이 있던 곳을 떠나, 다른 지역이나 나라로 가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하지만, ‘旅行’는 ‘어떤 목적을 가지고 떠나는 행위’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観光’는 ‘목적지에서의 보고, 듣고, 체험하는 행위’에 초점을 두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Japanese words ryokou and kankou based on the corpus search systems of CEMS, NLB, and NLT.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word frequency, co-occurrences, frequency rank by pattern, and sentence features of ryokou and kankou,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two synonyms.
      Based on their dictionary definitions, this study hypothesized the meaning of ryokou and kankou and verified their meaning in the corpus search systems.
      First, this study used CEMS to analyze the features of verbs and nouns in co-occurrences highly frequently appearing with ryokou and kankou, and examined their meaning through examples. Then, this study used NLB and NLT to analyze the word frequency of ryokou and kankou, their frequency rank by pattern, and the percentage of types of text in which they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with the three corpus search systems, this study defined the follow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ryokou and kankou.
      What ryokou and kankou had in common was that it shared the meaning of leaving one’s place and going to another region or country. While ryokou focuses on going somewhere else for some purpose, ryokou and kankou focuses on seeing, hearing, and experiencing things at a destin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Japanese words ryokou and kankou based on the corpus search systems of CEMS, NLB, and NLT.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word frequency, co-occurrences, frequency r...

      This study analyz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Japanese words ryokou and kankou based on the corpus search systems of CEMS, NLB, and NLT.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word frequency, co-occurrences, frequency rank by pattern, and sentence features of ryokou and kankou,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two synonyms.
      Based on their dictionary definitions, this study hypothesized the meaning of ryokou and kankou and verified their meaning in the corpus search systems.
      First, this study used CEMS to analyze the features of verbs and nouns in co-occurrences highly frequently appearing with ryokou and kankou, and examined their meaning through examples. Then, this study used NLB and NLT to analyze the word frequency of ryokou and kankou, their frequency rank by pattern, and the percentage of types of text in which they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with the three corpus search systems, this study defined the follow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ryokou and kankou.
      What ryokou and kankou had in common was that it shared the meaning of leaving one’s place and going to another region or country. While ryokou focuses on going somewhere else for some purpose, ryokou and kankou focuses on seeing, hearing, and experiencing things at a destin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미선, "현대일본 문장어의 「男」 관련어휘 사용실태 - 「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를 분석대상으로 -" 일본연구소 49 : 313-337, 2016

      2 김혜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한일 어휘・문화 교육의 가능성 - ‘トイレ’, ‘화장실’ 관련 어휘 및 문화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139-156, 2022

      3 강경완, "코퍼스 기반 의미기술 방법에 관한 연구 -유의어 ‘怖い’ ‘恐ろしい’의 경우-" 국제언어문학회 (50) : 377-401, 2021

      4 고은숙, "일본어 형용사 유의어의 사전 의미 기술과공기어 분석을 통한 의미 변별 연구" 한국일어교육학회 (35) : 56-77, 2016

      5 김혜연, "음식관광, 음식현지화 전략을 위한 ‘라면’과 ‘라멘’의 한일 식문화 이미지 대조분석" 한국관광연구학회 35 (35): 203-217, 2021

      6 강경완, "유의어 기술의 방법 -「開始する」「スタートする」를 예로 -" 한국일어일문학회 115 : 173-192, 2020

      7 강경완, "어법분석을 통한 유의어 기술의 예― 「改善」과 「改良」의 경우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84) : 17-31, 2018

      8 김혜연,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의 '여관'과 일본의 '료칸'의 이미지 비교분석" 한국호텔관광학회 22 (22): 43-55, 2020

      9 강경완, "단어사용에 나타난 어법기술의 방법 -「ルール」「規則」를 예로 -" 한국일어일문학회 111 : 3-20, 2019

      10 김혜연, "공기하는 의미 요소의 특징에서 본「목욕」의 한일 이미지 대조연구 - 텍스트마이닝 결과를 바탕으로 -" 한국일본어학회 (63) : 153-167, 2020

      1 오미선, "현대일본 문장어의 「男」 관련어휘 사용실태 - 「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를 분석대상으로 -" 일본연구소 49 : 313-337, 2016

      2 김혜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한일 어휘・문화 교육의 가능성 - ‘トイレ’, ‘화장실’ 관련 어휘 및 문화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139-156, 2022

      3 강경완, "코퍼스 기반 의미기술 방법에 관한 연구 -유의어 ‘怖い’ ‘恐ろしい’의 경우-" 국제언어문학회 (50) : 377-401, 2021

      4 고은숙, "일본어 형용사 유의어의 사전 의미 기술과공기어 분석을 통한 의미 변별 연구" 한국일어교육학회 (35) : 56-77, 2016

      5 김혜연, "음식관광, 음식현지화 전략을 위한 ‘라면’과 ‘라멘’의 한일 식문화 이미지 대조분석" 한국관광연구학회 35 (35): 203-217, 2021

      6 강경완, "유의어 기술의 방법 -「開始する」「スタートする」를 예로 -" 한국일어일문학회 115 : 173-192, 2020

      7 강경완, "어법분석을 통한 유의어 기술의 예― 「改善」과 「改良」의 경우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84) : 17-31, 2018

      8 김혜연,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의 '여관'과 일본의 '료칸'의 이미지 비교분석" 한국호텔관광학회 22 (22): 43-55, 2020

      9 강경완, "단어사용에 나타난 어법기술의 방법 -「ルール」「規則」를 예로 -" 한국일어일문학회 111 : 3-20, 2019

      10 김혜연, "공기하는 의미 요소의 특징에서 본「목욕」의 한일 이미지 대조연구 - 텍스트마이닝 결과를 바탕으로 -" 한국일본어학회 (63) : 153-167, 2020

      11 손영석, "語彙研究の現状と展望" 한국일본어학회 (67) : 69-86, 2021

      12 "広辞苑"

      13 "ウィキペディアフリー百科辞典"

      14 박노순, "「願う」 「望む」의 콜로케이션 분석" 동아시아일본학회 (74) : 91-108, 2020

      15 "weblio国語辞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