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선교사의 고등음악교육과 한국 여성의 새로운 정체성 찾기 = Women Missionaries’ Higher Music Education and New Identities for Korean Wome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erican missionaries had great effect on the education for early generations of Korean musician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mong the mission schools, Soongsil and Yeonhui for boys and Ewha for girls produced man...

      American missionaries had great effect on the education for early generations of Korean musician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mong the mission schools, Soongsil and Yeonhui for boys and Ewha for girls produced many musicians. The music education of Soongsil and Yeonhui was conducted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But Ewha which was established by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WFMS) in 1886 was differentiated in that it developed a four-year curriculum as music conservatory. Music Department of Ewha Women’s Specialized College was launched in 1925 and became the first and only higher music education institution in colonial Korea.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and strategies of the higher music education at Ewha and to interpret its effects on colonial Korean society, focusing on the dual identity of Ewha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a mission agency. First, I reveal how Ewha’s music educa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missionary work of WFMS, by looking into faculty members, curriculum, out-of-school activities, the careers of the graduates, etc. Second, I discuss how the education of woman missionaries motivated Korean women to construct a new female identity as educated women. Thus, I argue that although the women missionaries’ higher music education was a practical education for supporting the mission work, it provided, for the same reason, Korean Christian women with the opportunities to receive higher education and work in public sphere, imprinting the identity of “professional women” in Korean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880년대 중엽 입국하기 시작한 미국인 선교사들은 구한말에서 대한제국 그리고 일제강점기에 걸쳐, 정부 주도의 체계적인 서양음악교육이 부재한 상황에서, 초창기 한국 음악가의 양성에 ...

      1880년대 중엽 입국하기 시작한 미국인 선교사들은 구한말에서 대한제국 그리고 일제강점기에 걸쳐, 정부 주도의 체계적인 서양음악교육이 부재한 상황에서, 초창기 한국 음악가의 양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선교사들이 설립한 미션스쿨 중에서도 특히 남자학교인 숭실과 연희 그리고 여자학교인 이화가 다수의 음악가를 배출하였는데, 숭실과 연희의 음악교육이 과외활동으로 진행된 반면 이화의 음악교육은 전문교육으로 차별화되었다.
      미국 북감리회 여성이 조직한 미감리여선교회가 세운 이화학당은 이미 ‘대학과’ 시절인 1920년에 한국에 온 최초의 음악 전공 선교사인 메리 영(Mary Young)을 영입하여 음악교육의 수준을 높였으며, 1925년에 이화학당의 ‘대학과’와 ‘대학예과’를 통합하여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를 설립하였다. 이를 계기로 이화의 음악교육은 식민지 내 최초이자 유일한 고등교육기관이자 제도권 음악학교로 획기적으로 발전하였다.
      이 논문은 이화여전 음악과가 갖는 교육기관이자 선교기관이라는 이중의 정체성에 초점을 맞춰 음악과에서 이루어진 교육의 내용과 목표, 그리고 그것이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을 해석하고자 한다. 첫째, 이화여전 음악과 교육의 구체적인 실제 -교원 구성, 교과과정, 교외활동, 졸업생의 진로 등- 를 분석함으로써 이화의 고등음악교육이 WFMS가 벌이는 사업과 어떻게 결부되었는가를 밝힐 것이다. 둘째, 여성선교사들의 교육이 선교현장이라는 제한된 테두리를 넘어, 한국 여성들이 새로운 여성정체성을 상상 또는 구성하는데 영향을 미쳤음을 논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미국인 여성선교사들에 의한 고등음악교육이 선교사업에 기여하기 위한 실용적이고 방편적인 교육에 머물렀지만, 같은 이유에서 한국여성에게 고등교육을 받고 사회에 진출하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한국사회에 ‘전문직 여성’의 정체성을 각인시켰음을 밝히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梨花女子專門・梨花保育一覽(昭和12年)"

      2 "梨花女子專門學校槪覽"

      3 "梨花學堂一覽"

      4 김수현, "한국근대음악기사자료집, 잡지편" 민속원 2009

      5 김메리, "학교종이 땡땡땡" 현대미학사 1996

      6 오토 미스너(W. Otto Miessner), "피아노 旋律法』(The Melody Way to Play the Piano)" 이화전문학교음악부 1930

      7 최숙경, "프라이: 한국 여성 고등교육의 개척자"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3

      8 민경찬, "청소년을 위한 한국음악사: 양악편" 두리미디어 2006

      9 "중앙"

      10 "조광"

      1 "梨花女子專門・梨花保育一覽(昭和12年)"

      2 "梨花女子專門學校槪覽"

      3 "梨花學堂一覽"

      4 김수현, "한국근대음악기사자료집, 잡지편" 민속원 2009

      5 김메리, "학교종이 땡땡땡" 현대미학사 1996

      6 오토 미스너(W. Otto Miessner), "피아노 旋律法』(The Melody Way to Play the Piano)" 이화전문학교음악부 1930

      7 최숙경, "프라이: 한국 여성 고등교육의 개척자"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3

      8 민경찬, "청소년을 위한 한국음악사: 양악편" 두리미디어 2006

      9 "중앙"

      10 "조광"

      11 허지연, "제국 속의 제국”: 일제강점기 한국의 고등음악교육과 미국의 해외 선교" 이화여자대학교 2017

      12 이진원, "일제강점기 이화전문학교의 전통음악 교육에 관한 고찰" 한국음악사학회 (44) : 367-410, 2010

      13 최승현, "이화음악 1920년대-1930년대의 음악교육" 15 (15): 211-246, 1997

      14 "이화역사관 문서"

      15 허지연, "이화여자전문학교 선교사 음악교사 연구: 연합감리회아카이브 소장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음악학학회 21 (21): 91-124, 2013

      16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의 역사, 1886-2002"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3

      17 김영의, "이화를 빛낸 음악인들" 한국심리검사연구소 출판부 1977

      18 정충량, "이화80년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67

      19 이화100년사 편찬위원회, "이화100년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사 1994

      20 김경일,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20세기 전반기 신여성과 근대성" 푸른역사 2004

      21 "여성"

      22 "신인문학"

      23 "신여성"

      24 "신가정"

      25 위르겐 오스터함멜(Jurgen Osterhammel), "식민주의(Colonialism)" 역사비평사 2006

      26 허지연, "서양음악도입기 여성선교사의 교육활동: 이화여전 음악과의 설립(1925)을 중심으로" 한국음악학학회 23 (23): 87-116, 2015

      27 "삼천리"

      28 허지연, "미국인 선교사와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 - 근대 양악사의 “한국 뛰어넘기”" 한국음악학학회 20 (20): 89-124, 2012

      29 윤은주, "말스베리(마두원)과 숭실" 8 : 89-112, 2016

      30 채현경, "누구의 목소리인가: 서구식 음악교육과 여성의식의 변화" 세계음악학회 (29) : 119-158, 2013

      31 김승태, "내한선교사 총람, 1884-1984"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4

      32 "東京音樂學校一覽(昭和4年)"

      33 上原一馬(우에하라 카즈미), "日本音樂敎育文化史" 音樂之友社 1988

      34 Young, Mary, "What the King Did Not Know" 34 (34): 68-72, 1938

      35 "The Ewha Weekly News Sheet"

      36 "The Ewha College News Sheet"

      37 "The Ewha College Girl"

      38 Harmon, Nolan, "The Encyclopedia of World Methodism" United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74

      39 "The Conservatory Bulletin"

      40 "Northwestern University, The School of Music, Annual Announcement (1927-1928)"

      41 McPherson, Bruce, "Measure by Measure: A History of the New England Conservatory from 1867" The Trustees of the New England Conservatory of Music 1995

      42 "Ewha College Catalogue"

      43 "E-mail from Maryalice Perrin-Mohr, Spaulding Library, New England Conservatory"

      44 "E-mail from Kevin Grace, Head and University Archivist, Archive & Rare Books Library, University of Cincinnati"

      45 "E-mail from Katherine Kominis, Howard Gotlieb Archival Research Center"

      46 "Documents of the General Commission on Archives and History"

      47 "Annual Report of the Korea Woman’s Conference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48 최승현, "<이화음악논집 발간 10주년 기념 특별 기고문> 1930년 이화 음악과의 『피아노旋律法』 출간과 선진 20세기 피아노교수법의 도입" 음악연구소 10 (10): 1-31,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Music Institute of Ewha Womans University ->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5-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6 0.54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