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 연구 :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597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과정 내적 타당성 평가의 일반적 특성과 언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언어 교육과정이 지닌 실제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를 설계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는 교육과정 계획과 개발, 운영, 순환이라는 활동 단계 간의 인과 관계를 통해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이 얼마나 타당하게 개발되었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학습자의 성과 측정을 중심으로 교육의 목표 달성도를 평가하는 ‘교육과정 외적 타당성 평가’와 대비된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는 교육과정의 외적 타당성 평가 위주로 논의가 이루어져 왔으나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교육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모든 활동 단계를 종합적으로 바라보고 이에 관계하는 교육과정 변인을 고려하여 평가하는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개발할 때 어떤 범주와 구인으로 평가하여야 하는지를 교육과정 활동의 전(全) 단계에 따라 종합적으로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평가 이론을 통한 방법 주도 평가와 실제 교육과정의 귀납적 분석 방법을 함께 결합하여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방법론적 다원주의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를 종합적으로 설계하기 위하여 언어 교육과정에서의 내적 타당성 평가의 개념과 속성, 교육과정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그리고 평가 체제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교육과정은 전개 과정에 따라 계획, 개발, 운영, 순환의 네 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가 유기적으로 연관성을 가지고 순환할 때 교육의 질이 향상된다. 그리고 교육과정의 각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학습자’, ‘교사’, ‘교육 내용’, ‘환경’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 변인들 가운데 개별 교육과정을 특징짓는 요인인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목표, 내용, 방법, 총평) 간 논리 관계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의 전개 단계와 변인, 교육 내용의 기본 요소를 바탕으로 언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를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또한, 국외 주요 언어 교육과정의 체제를 분석하여 이들 교육과정에 내재하는 공통 항목과 인과 관계를 중심으로 한 언어 교육과정의 맥락 목록을 도출하였다.
      이처럼 이론적 고찰과 맥락 목록을 결합하여 평가 단계와 영역, 평가 범주 및 평가 구인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언어 교육과정의 평가 체제를 국외 주요 언어 교육과정(WIDA 기준, 캐나다 언어 기준, 유럽공통참조기준)에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평가 체제의 수정․보완을 위한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 체제를 10명의 한국어 교육과정 전문가를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설문과 인터뷰를 통하여 검증‧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를 설계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평가 목적, 평가 수준 및 평가 체제와 같은 세 가지 측면에 기반한 평가 모형의 설계 원리를 제시하고, 세부적으로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를 설계하였다. 평가 체제의 설계 원리로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논리를 도출해야 하고, 다양한 이해 당사자가 참여하는 숙의 평가로 실시하여야 하며, 각 단계의 평가 결과가 상호작용하는 회귀적 평가로 실시되어야 함을 밝혔다. 이러한 설계 원리에 따라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를 평가 단계(계획, 개발, 운영, 순환), 평가 영역(상황 평가, 투입 평가, 과정 평가, 산출 평가), 평가 범주(4개의 대범주와 15개의 소범주) 및 범주별 평가 구인으로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구축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의 유용성을 보이기 위해 국가 수준의 한국어 교육과정인 ‘한국어(KSL) 교육과정(교육부, 2017)’에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개선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계획 단계에서는 교육과정의 성격을 제고하고 개발 원리를 명시할 것, 개발 단계에서는 성취 기준을 상세화하여 제시하되 이를 다양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조직할 것, 운영 단계에서는 교육과정의 운영 요건과 실행 가능성을 향상시킬 것, 마지막으로 순환 단계에서는 지속적인 교육과정 평가와 교원 연수를 실시해야 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육과정 내적 타당성 평가의 일반적 특성과 언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언어 교육과정이 지닌 실제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한국어 ...

      본 연구는 교육과정 내적 타당성 평가의 일반적 특성과 언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언어 교육과정이 지닌 실제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를 설계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는 교육과정 계획과 개발, 운영, 순환이라는 활동 단계 간의 인과 관계를 통해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이 얼마나 타당하게 개발되었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학습자의 성과 측정을 중심으로 교육의 목표 달성도를 평가하는 ‘교육과정 외적 타당성 평가’와 대비된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는 교육과정의 외적 타당성 평가 위주로 논의가 이루어져 왔으나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교육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모든 활동 단계를 종합적으로 바라보고 이에 관계하는 교육과정 변인을 고려하여 평가하는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개발할 때 어떤 범주와 구인으로 평가하여야 하는지를 교육과정 활동의 전(全) 단계에 따라 종합적으로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평가 이론을 통한 방법 주도 평가와 실제 교육과정의 귀납적 분석 방법을 함께 결합하여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방법론적 다원주의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를 종합적으로 설계하기 위하여 언어 교육과정에서의 내적 타당성 평가의 개념과 속성, 교육과정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그리고 평가 체제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교육과정은 전개 과정에 따라 계획, 개발, 운영, 순환의 네 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가 유기적으로 연관성을 가지고 순환할 때 교육의 질이 향상된다. 그리고 교육과정의 각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학습자’, ‘교사’, ‘교육 내용’, ‘환경’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 변인들 가운데 개별 교육과정을 특징짓는 요인인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목표, 내용, 방법, 총평) 간 논리 관계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의 전개 단계와 변인, 교육 내용의 기본 요소를 바탕으로 언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를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또한, 국외 주요 언어 교육과정의 체제를 분석하여 이들 교육과정에 내재하는 공통 항목과 인과 관계를 중심으로 한 언어 교육과정의 맥락 목록을 도출하였다.
      이처럼 이론적 고찰과 맥락 목록을 결합하여 평가 단계와 영역, 평가 범주 및 평가 구인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언어 교육과정의 평가 체제를 국외 주요 언어 교육과정(WIDA 기준, 캐나다 언어 기준, 유럽공통참조기준)에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평가 체제의 수정․보완을 위한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 체제를 10명의 한국어 교육과정 전문가를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설문과 인터뷰를 통하여 검증‧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를 설계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평가 목적, 평가 수준 및 평가 체제와 같은 세 가지 측면에 기반한 평가 모형의 설계 원리를 제시하고, 세부적으로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를 설계하였다. 평가 체제의 설계 원리로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논리를 도출해야 하고, 다양한 이해 당사자가 참여하는 숙의 평가로 실시하여야 하며, 각 단계의 평가 결과가 상호작용하는 회귀적 평가로 실시되어야 함을 밝혔다. 이러한 설계 원리에 따라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를 평가 단계(계획, 개발, 운영, 순환), 평가 영역(상황 평가, 투입 평가, 과정 평가, 산출 평가), 평가 범주(4개의 대범주와 15개의 소범주) 및 범주별 평가 구인으로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구축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의 유용성을 보이기 위해 국가 수준의 한국어 교육과정인 ‘한국어(KSL) 교육과정(교육부, 2017)’에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개선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계획 단계에서는 교육과정의 성격을 제고하고 개발 원리를 명시할 것, 개발 단계에서는 성취 기준을 상세화하여 제시하되 이를 다양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조직할 것, 운영 단계에서는 교육과정의 운영 요건과 실행 가능성을 향상시킬 것, 마지막으로 순환 단계에서는 지속적인 교육과정 평가와 교원 연수를 실시해야 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sign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y investigating theoretical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and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language curriculum and by understanding the practical nature of language curriculum.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of a Curriculum’ refers to evaluating how valid the goal and the contents of a curriculum are developed by investigating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stages of a curriculum, such as planning,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recycling. This concept contrasts with ‘the External Validity Evaluation of a Curriculum,’ which evaluates the educational achievement based on the assessment of learners’ performance. While the discussion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mainly about the external validity evalu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t is required to conduct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of a curriculum, which maintains a synthetic view on the whole process of the curriculum and makes an evaluation with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al variables of the curriculum. In this light, this study is to synthetically design the criteria and the construct of the evaluation which are required in planning and developing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whole process of the curricular activity. To this end, the study applies methodological pluralism that makes a comprehensive approach and combines method-oriented evaluation through the evaluation theory with the inducive analysis of the actual curriculum.
      This study first conducts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concept and the nature of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of a language curriculum, the variables affecting the evaluation of a curriculum to synthetically design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a general sense, a curriculum consists of four stages of planning,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recycling, and their organic recycling improves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study also examines several variables affecting each stage of the curriculum, including ‘learners’, ‘teachers’, ‘subject matter’, and ‘milieu.’ What this study investigates with particular focus on is a logical relation among basic elements of the ‘learning contents,’ (objectives, contents, method and assessment) which characterize the individual curriculums.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a language curriculum is theoretically investigated, based on stages, variables and basic elements of a curriculum. In addition, by analyzing major foreign language curriculums, the study draws a context inventory of a language curriculum with commonplaces and causal relationship inherent in those curriculums.
      In this wise, the study, by combining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with the context inventory, draws an evaluation area, evaluation criteria and a evaluation construct. This evaluation framework drawn is applied
      to the major foreign language curriculums (according to WIDA, Canadian languages and European common reference) for analysis, so as to revise and complement the evaluation framework. Moreover, this framework has been verified and complemented through semi-structured surveys by and interviews with 10 expert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has finally led to the design of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suggested by this study.
      Putting the investigations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e design principle of the evaluation model based on 3 factors, such as evaluation objectives, evaluation levels and evaluation framework, and establishes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detail. In this regard, the study proposes that the internal logic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e established as the design principle of the evaluation framework, the evaluation be conducted in deliber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be performed in interactions of evaluations in each stage.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principle, the study designs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four stages, including evaluation stages (planning,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recycling), evaluation areas (context evaluation, input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and product evaluation), evaluation criteria (4 large criteria and 15 small criteria), and evaluation constructs by criteria.
      Finally, to demonstrate the utility of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signed in this study, it has been applied to and analyzed in the ‘KSL Curriculum (MOE, 2017)’, a national level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has also shown some improvement points of the KSL Curriculum.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KSL Curriculum, the study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be enhanced and the development principle be specified in planning stage; The achievement standards be specified as well as maintain flexibility to apply them to various fields of education in development stage; The implementation requirement and feasibility be improved in implementation stage; Continuous evaluation on curriculum and teacher training are necessary in recycling stag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sign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y investigating theoretical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and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languag...

      This study aims to design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y investigating theoretical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and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language curriculum and by understanding the practical nature of language curriculum.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of a Curriculum’ refers to evaluating how valid the goal and the contents of a curriculum are developed by investigating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stages of a curriculum, such as planning,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recycling. This concept contrasts with ‘the External Validity Evaluation of a Curriculum,’ which evaluates the educational achievement based on the assessment of learners’ performance. While the discussion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mainly about the external validity evalu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t is required to conduct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of a curriculum, which maintains a synthetic view on the whole process of the curriculum and makes an evaluation with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al variables of the curriculum. In this light, this study is to synthetically design the criteria and the construct of the evaluation which are required in planning and developing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whole process of the curricular activity. To this end, the study applies methodological pluralism that makes a comprehensive approach and combines method-oriented evaluation through the evaluation theory with the inducive analysis of the actual curriculum.
      This study first conducts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concept and the nature of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of a language curriculum, the variables affecting the evaluation of a curriculum to synthetically design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a general sense, a curriculum consists of four stages of planning,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recycling, and their organic recycling improves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study also examines several variables affecting each stage of the curriculum, including ‘learners’, ‘teachers’, ‘subject matter’, and ‘milieu.’ What this study investigates with particular focus on is a logical relation among basic elements of the ‘learning contents,’ (objectives, contents, method and assessment) which characterize the individual curriculums.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a language curriculum is theoretically investigated, based on stages, variables and basic elements of a curriculum. In addition, by analyzing major foreign language curriculums, the study draws a context inventory of a language curriculum with commonplaces and causal relationship inherent in those curriculums.
      In this wise, the study, by combining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with the context inventory, draws an evaluation area, evaluation criteria and a evaluation construct. This evaluation framework drawn is applied
      to the major foreign language curriculums (according to WIDA, Canadian languages and European common reference) for analysis, so as to revise and complement the evaluation framework. Moreover, this framework has been verified and complemented through semi-structured surveys by and interviews with 10 expert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has finally led to the design of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suggested by this study.
      Putting the investigations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e design principle of the evaluation model based on 3 factors, such as evaluation objectives, evaluation levels and evaluation framework, and establishes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detail. In this regard, the study proposes that the internal logic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e established as the design principle of the evaluation framework, the evaluation be conducted in deliber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be performed in interactions of evaluations in each stage.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principle, the study designs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four stages, including evaluation stages (planning,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recycling), evaluation areas (context evaluation, input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and product evaluation), evaluation criteria (4 large criteria and 15 small criteria), and evaluation constructs by criteria.
      Finally, to demonstrate the utility of the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signed in this study, it has been applied to and analyzed in the ‘KSL Curriculum (MOE, 2017)’, a national level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has also shown some improvement points of the KSL Curriculum.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KSL Curriculum, the study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be enhanced and the development principle be specified in planning stage; The achievement standards be specified as well as maintain flexibility to apply them to various fields of education in development stage; The implementation requirement and feasibility be improved in implementation stage; Continuous evaluation on curriculum and teacher training are necessary in recycling st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선행 연구 4
      • 1.2.1. 국외 언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연구 4
      • 1.2.2. 국내 한국어 교육과정 평가 및 분석 연구 9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선행 연구 4
      • 1.2.1. 국외 언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연구 4
      • 1.2.2. 국내 한국어 교육과정 평가 및 분석 연구 9
      • 1.3. 연구 범위 12
      • 2. 논의의 전제와 연구 방법 14
      • 2.1. 교육과정 평가와 내적 타당성 평가의 개념 14
      • 2.1.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14
      • 2.1.2. 내적 타당성 평가의 개념 17
      • 2.2. 교육과정 내적 타당성 평가의 속성 및 변인 19
      • 2.2.1. 교육과정 내적 타당성 평가의 속성 19
      • 2.2.2. 교육과정 내적 타당성 평가의 변인 22
      • 2.3. 언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 25
      • 2.3.1. 교육과정 내적 타당성 평가의 개념적 모형 25
      • 2.3.2. 의사 결정을 위한 교육과정 평가 체제 28
      • 2.3.3. 내적 타당성 평가를 위한 분석 항목 30
      • 1) 교육과정 분석을 위한 범주와 항목 30
      • 2) 언어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분석 항목 35
      • 2.4. 연구 방법 37
      • 2.4.1. 연구 절차 38
      • 2.4.2. 분석 영역 및 대상 44
      • 1) 분석 영역 44
      • 2) 분석 대상 46
      • 3. 국외 언어 교육과정 분석 50
      • 3.1. 내적 타당성 분석을 위한 평가 체제 50
      • 3.1.1. 맥락 목록 구성 50
      • 3.1.2. 평가 체제 설계 52
      • 3.2. 미국의 ‘WIDA 기준’ 분석 60
      • 3.2.1. 상황 평가: 교육과정의 기원과 체계 60
      • 3.2.2. 투입 평가: 교육과정의 고유 영역 64
      • 3.2.3. 과정 평가: 교육과정 운영 72
      • 3.2.4. 산출 평가: 교육과정 비평 76
      • 3.3. 캐나다의 ‘캐나다 언어 기준(CLB)’ 분석 77
      • 3.3.1. 상황 평가: 교육과정의 기원과 체계 77
      • 3.3.2. 투입 평가: 교육과정의 고유 영역 81
      • 3.3.3. 과정 평가: 교육과정 운영 89
      • 3.3.4. 산출 평가: 교육과정 비평 93
      • 3.4. 유럽의 ‘유럽공통참조기준(CEFR)’ 분석 94
      • 3.4.1. 상황 평가: 교육과정의 기원과 체계 94
      • 3.4.2. 투입 평가: 교육과정의 고유 영역 98
      • 3.4.3. 과정 평가: 교육과정 운영 108
      • 3.4.4. 산출 평가: 교육과정 비평 111
      • 4.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 설계 113
      • 4.1. 국외 언어 교육과정 분석 결과의 비교 및 논의 113
      • 4.1.1. 상황 평가의 결과 비교 및 논의 113
      • 4.1.2. 투입 평가의 결과 비교 및 논의 118
      • 4.1.3. 과정 평가의 결과 비교 및 논의 124
      • 4.1.4. 산출 평가의 결과 비교 및 논의 128
      • 4.1.5. 평가 체제의 수정 내역 131
      • 4.2.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 검증 133
      • 4.2.1. 설문과 인터뷰 대상자의 기본 정보 134
      • 4.2.2. 평가 단계, 평가 범주 및 평가 구인 설계에 대한 의견 135
      • 4.3. 한국어 교육과정 내적 타당성 평가의 개념적 모형 139
      • 4.4. 한국어 교육과정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의 설계 원리 141
      • 4.4.1.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논리를 도출하는 평가 체제 142
      • 4.4.2. 다양한 이해 당사자가 참여하는 숙의 평가 접근법 143
      • 4.4.3. 회귀적 평가 체제 145
      • 4.5.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모형과 평가 체제 147
      • 5. 한국어 교육과정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의 적용 155
      • 5.1. 한국어 교육과정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의 적용 대상 155
      • 5.2. 한국어 교육과정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의 적용 실제 156
      • 5.2.1. 상황 평가: 교육과정의 환경과 체계 156
      • 5.2.2. 투입 평가: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 163
      • 5.2.3. 과정 평가: 교육과정 운영 176
      • 5.2.4. 산출 평가: 교육과정 비평 183
      • 5.3. 한국어 교육과정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의 적용 결과 186
      • 5.3.1. 상황 평가: 교육과정의 성격 제고와 개발 원리 명시 186
      • 5.3.2. 투입 평가: 성취 기준의 상세화와 내용 조직의 유연화 188
      • 5.3.3. 과정 평가: 교육과정 운영 요건과 실행 가능성 제고 191
      • 5.3.4. 산출 평가: 지속적인 교육과정 평가와 교원 연수 실시 193
      • 6. 결론 195
      • 《참고 문헌》 200
      • 《부록》 212
      • 《Abstract》 21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 2011

      2 김영화, 홍은숙, 이한규, 우용제, 김재춘, 김재웅, "『교육학에의 초대』", 교 육과학사, 2016

      3 교육부, "『한국어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7호-131호, [별책 43], 2017

      4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어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4호 [별책 27], 2012

      5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용어사전』", 학지사, 2004

      6 배두본, "『외국어 교육 과정론』", 한국문화사, 2006

      7 김세영, "교육과정 분석 관점 고찰",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통합교육과정연구』제5권 제1호, 51-75쪽, 2011

      8 김대현, 김석우,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 2011

      9 이미혜, "한국어 교육과정의 재검토", 국 제한국어교육학회, 제25차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210-219쪽, 2015

      10 김재복,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모형", 한국교육과정학회,『교육과정연구』제16권 제1호, 375-395쪽, 1998

      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 2011

      2 김영화, 홍은숙, 이한규, 우용제, 김재춘, 김재웅, "『교육학에의 초대』", 교 육과학사, 2016

      3 교육부, "『한국어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7호-131호, [별책 43], 2017

      4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어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4호 [별책 27], 2012

      5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용어사전』", 학지사, 2004

      6 배두본, "『외국어 교육 과정론』", 한국문화사, 2006

      7 김세영, "교육과정 분석 관점 고찰",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통합교육과정연구』제5권 제1호, 51-75쪽, 2011

      8 김대현, 김석우,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 2011

      9 이미혜, "한국어 교육과정의 재검토", 국 제한국어교육학회, 제25차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210-219쪽, 2015

      10 김재복,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모형", 한국교육과정학회,『교육과정연구』제16권 제1호, 375-395쪽, 1998

      11 교육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호-74호 [별책 1], 2015

      12 김진석, "『영어과 교육과정 및 평가』", 한국문화사, 2015

      13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 교육 선진화 방안 발표", 교육과학기술부, 2012

      14 최호성, "학교 교육과정 평가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15 민현식, "한국어 표준교육과정 기술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한국어교육』제15권 1호, 51-92쪽, 2004

      16 교육과학기술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4호 [별책 1], 2012

      17 허용, "『세종학당 교육과정 개발 연구』", 국립국어원, 2007

      18 황규호, "교육과정 질 관리 및 개선 방향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제 44집 제4호, 99-121쪽, 2013

      19 이해영, "학문 목적 한국어 교과과정 설계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한국어교육』제15권 1호, 137-174쪽, 2004

      20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초등학교", 교육부, 2016

      21 김혜숙, "『교육프로그램 평가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14

      22 원진숙, "『2012 한국어(KSL) 교육과정 개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2

      23 정희원, "한국의 다문화 사회화와 언어 교육 정책", 국립국어원,『새국어생활』23-4, 73-98쪽, 2013

      24 심혜령,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의의와 향후 과제", 제26차 국제학 술대회 논문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6

      25 심혜령, "『2017년 한국어(KSL)교재 개발 기초 연구』", 국립국어원, 2017

      26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국립국어원, 2010

      27 모경환, 황혜원, "미국의 이중 언어 교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국립국어원,『새국어 생활』23-4, 42-72쪽, 2013

      28 김영란, "KSL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회,『국어교육학연구』 제49집 제3호, 60-92쪽, 2014

      29 허용,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2009

      30 박일수,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및 개념 모형 개발", 한국교육과정학회,『교육과정연 구』제28권 제1호, 113-134쪽, 2010

      31 김정숙,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연구", 이중언어학회,『이중언어 학』제47호, 331-349쪽, 2011

      32 염철현, "미국의 이중언어교육법 변천과정에 대한 고찰", 『비교교육연 구』18-3, 103-122쪽, 2008

      33 조항록,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육과정 개편 연구", 법무부 출 입국 외국인정책본부, 2012

      34 박형민, "『한국어(KSL) 교육과정 운영방안 연구보고서』", 국가평 생교육진흥원 중앙다문화교육센터, 2014

      35 윤어진, "다문화 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6 최정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교육과정과 평가.”", 이중언어학회,『이중언어학』 제31호, 277-313쪽, 2006

      37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 국립국 어원, 2011

      38 한상미,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언어와 문 화』12-1, 51-77쪽, 2016

      39 백남진, 온정덕,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에서 기준과 수행의 의미",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32-4, 17-46쪽, 2014

      40 홍종명,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KSL 교육과정의 비판적 고찰", 국제어문학회, 『국제어문』제64집, 273-295쪽, 2015

      41 박일수, "교육과정 평가와 프로그램 평가 접근방법과의 관계", 한국초등교육학회,『초등교 육연구』22-1, 223-248쪽, 2009

      42 박정아, ",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국립국어원, 『새국 어생활』22-3, 5-19쪽, 2012

      43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 국립 국어원, 2017

      44 양정실, "국어과 교육과정 정책 결정 양상과 합리성 제고 방안", 국어교육학회,『국어 교육학연구』제51집 제2호, 55-79쪽, 2016

      45 김정숙,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및 연계 학문적 특성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한국어 교육』23-2, 39-59쪽, 2012

      46 허경철,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철학: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교육과정학회,『교 육과정연구』20-2, 1-26쪽, 2002

      47 박민정, 성열관, "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2000년 이후를 중 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교육과정연구』29-4, 25-46쪽, 2011

      48 이원석, "프로그램 평가에서의 맥락과 일반화: 의의와 조화 가능성", 한국교육학회, 『교육평가연구』24-1, 73-88쪽, 2011

      49 정혜승, "성취 기준 중심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123, 183-212쪽, 2007

      50 김재욱, "이주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현황과 정책에 대한 소고", 국립국어원, 『새국어생활』22-3, 67-81쪽, 2012

      51 김가람, 김호정,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한국언어문화학』14-1, 75-110쪽, 2017

      52 김선정, 민경모, "해외 초 중등학교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적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언어와 문화』6-3, 135-161쪽, 2010

      53 곽재용, "‘한국어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국제언어문학』제26호", 국제언어문학회, 1-25쪽, 2012

      54 김일란,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수요목 개발 연 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몬, 2007

      55 박석준, 심혜령, "한국어(KSL) 교육과정에서의 학습 한국어 개념 설정 원리와 실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언어와 문화』13-3, 97-115쪽, 2017

      56 배호순, "학교교육과정 평가 설계의 합리화를 위한 프로그램논리의 적 용", 한국교육평가학회,『교육평가연구』제16권 제1호, 1-18쪽, 2003

      57 모경환, 홍종명, 임정수, 이재분, "다문화가정 학생 언어교육의 국내외 현황 및 언어교육 강화 방안", 한국다문화교육학회, 다문화교육연구 8-3, 197-226쪽, 2015

      58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교육과정 활용 점검 및 보완 연구』", 국립국어원, 2016

      59 박경희, 최호성, "학교 교육과정 평가 모형의 구안과 시 도 교육청 평 가 실제의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교육과정연구』20-2, 71-95쪽, 2002

      60 전은주, "다문화 사회와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목 표설정 방향", 국어교육학회,『국어교육학연구』제33호, 629-656쪽, 2014

      61 양도원, "유럽공통참조기준과 한국의 외국어 교육과정 -제2외국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교원교육』25-1, 142-156쪽, 2009

      62 김윤주,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KSL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과 향후 과제", 한국언어문학회,『한국언어문학』93, 359-386쪽, 2015

      63 계보경, "미국 모든학생성공법(ESSA)의 주요내용 및 낙오아동방지법 (NCLB)과의 비교",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2016 이슈 리포트』, 2016

      64 김윤주, "미국 ESL 교육과정 ‘WIDA' 고찰을 통한 KSL 한국어 교 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국어교육학회,『국어교육학연구』50-2, 141-171쪽, 2015

      65 전진석, "Posner의 교육과정 분석 이론에 의한 제 6차 초등학교 자연 과 교육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66 강승혜,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한국어교육론 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편", 한국문화사, 17-125쪽, 2005

      67 Posner, G. J., "Analyzing the curriculum(3rd.), 권낙원 최화숙 한현 숙 공역(2012), 『교육과정 분석』", 교육과학사, 2004

      68 박소영, "『국가 교육과정의 평가 체제 연구(1)-평가 체제의 기본 틀 구안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69 나카지마 가즈코, "다중 언어 육성 이론의 동향과 캐나다, 미국, 일본 의 다언어 다문화 교육정책", 국립국어원,『새국어생활』23-4, 3-18쪽, 2013

      70 김재춘, 조덕주, 노국향, "『초 중등 교육과정 평가 방안: 제7차 교육과정 평가 실행에 대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71 박선미, "제7차 사회과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국민공통기본 교 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 교육학회,『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13(3), 301-315쪽, 2005

      72 안미란, "문화 정책의 맥락에서 파악한 유럽평의회의 다언어주의와 다 중언어주의의 개념", 한국독일어교육학 회, 『외국어로서의 독일어』26, 153-177쪽, 2010

      73 손희연, 조태린,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에 대한 소고 –교육 대상과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 회,『새국어교육』104, 327-361쪽, 2015

      74 오영인, "미국의 언어정책과 정체성 문제 - 21세기 전환기 이중언어 교육을 둘러싼 담론적 각축", 한국미국사학회,『미국사연구』41, 151-190쪽, 2015

      75 오영인, "미국 이중언어 교육정책과 이민자들: 1968년 이중언어 교육 법과 1970년 개정안을 심으로", 한국미국사학회,『미국사연구』35, 161-190쪽, 2012

      76 박석준, "『한국어 교육과정 수정 보완 및 한국어 성취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사업 최종 보고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중앙다문화교육 센터, 2016

      77 김윤주,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방안: 다문화 시대 문식성 교육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78 오미형, "한국아동문학의 외국어번역에 있어 자국화와 이국화 -『고양 이 학교』영역본 사례 연구", 건국대학교 동화 와번역연구소,『동화와번역』제13집, 1-27쪽, 2007

      7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다문화 가정을 위한 교수 학습 지원 방안 연구 Ⅲ-한국어교육 지원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80 홍종명, "KSL 교육과정 한국어 진단평가 도구 분석 연구 - 내용타 당도 분석과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청람어 문교육학회,『청람어문교육』53집, 301-326쪽, 2015

      81 김영천, 허창수, 조재식, "교육학/교육과정 연구에서 질적 연구자가 고 려해야 하는 타당도이슈들: 그 다양한 접근들의 이해", 한국교육과정학회,『교육과정 연 구』24-1, 61-95쪽, 2006

      82 임형재, "외국인을 위한 통․번역 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평가 - 중․일 학습자의 자가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언어와 문화』 12-3, 177-203쪽, 2016

      83 안미란, 최정순,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 공동 기본지침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과 등급기술 시안 (1).”", 한국독일어교육학회, 『외국어 로서의 독일어』16, 125-147쪽, 2005

      84 안미란, 최정순,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 공동 기본지침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과 등급기술 시안 (2).”", 한국독일어교육학회,『외국어로 서의 독일어』17, 7-29쪽, 2005

      85 Brown, H. D.,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5th), 이흥수 박주경 이병민 이소영 최연희 차경환 이성희 공역(2007),『외국어 교수 학습의 원리』",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2007

      86 Europarat Eds., "Gemeinsamer europaischer Referenzrahmen fur sprachen: lernen, lehren, beurteilen, 김한란 외 역(2010),『언어 학 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한국문화사, 2001

      87 Council of Europe, ",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Learning, Teaching, Assessment, 김한란 외 역(2010),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한국문화사, 2001

      88 박순경, 이미숙, "백경선, 김진숙, 민용성, 이근호, 이승미, 김사훈, 박명옥, 민부자,『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고등학교 교육 과정 해설 연구- 증보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