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연정, "학습관리시스템의 대시보드 설계를 위한 학습자 중심 요구분석: 분석과 설계 도구로서 활동이론의 적용" 한국교육공학회 30 (30): 221-258, 2014
2 남창우, "포스트 코로나 공학교육에 대한 소고(小考)포스트 코로나 교육의 대전환을 위한 공학교육의 중단기적 계획" 27 (27): 31-33, 2020
3 이용상,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23): 39-57, 2020
4 김경아, "코로나19, 위기를 기회로 바꾼 온라인 영어수업 어떻게 할까요?" 56-56, 2020
5 박은경,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불안감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20-338, 2020
6 한국대학신문, "코로나19 전 세계 강타 … 원격수업 급부상"
7 권순정, "코로나19 이후 교육의 과제: 재조명되는 격차와 불평등, 그리고 학교의 역할"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2020
8 정향기, "코로나19 상황의 대학교육에 있어서 전면적 온라인 수업 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92-412, 2020
9 이동주,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59-377, 2020
10 성지윤, "초임교사가 마주한 온라인 영어 수업에서의 어려움과 극복방법" 57-58, 2020
1 박연정, "학습관리시스템의 대시보드 설계를 위한 학습자 중심 요구분석: 분석과 설계 도구로서 활동이론의 적용" 한국교육공학회 30 (30): 221-258, 2014
2 남창우, "포스트 코로나 공학교육에 대한 소고(小考)포스트 코로나 교육의 대전환을 위한 공학교육의 중단기적 계획" 27 (27): 31-33, 2020
3 이용상,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23): 39-57, 2020
4 김경아, "코로나19, 위기를 기회로 바꾼 온라인 영어수업 어떻게 할까요?" 56-56, 2020
5 박은경,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불안감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20-338, 2020
6 한국대학신문, "코로나19 전 세계 강타 … 원격수업 급부상"
7 권순정, "코로나19 이후 교육의 과제: 재조명되는 격차와 불평등, 그리고 학교의 역할"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2020
8 정향기, "코로나19 상황의 대학교육에 있어서 전면적 온라인 수업 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92-412, 2020
9 이동주,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59-377, 2020
10 성지윤, "초임교사가 마주한 온라인 영어 수업에서의 어려움과 극복방법" 57-58, 2020
11 오지수, "초등영어 온라인 수업: 도전과 극복, 남은 과제" 63-63, 2020
12 교육부,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기준안 마련"
13 신은진, "일본어수업 블렌디드러닝 실천연구- 교직과목 “논리와 논술”의 LMS활용 -" 한국일어교육학회 (45) : 77-93, 2018
14 최수정, "이러닝시스템의 매체풍부성, 매체유용성, 매체경험이 학습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전략학회 14 (14): 27-48, 2007
15 백이연,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 교양 일본어 수업을 대상으로 " 한국일어교육학회 (52) : 59-74, 2020
16 안정은, "언택트 영어교실에서 컨택트하기" 62-62, 2020
17 송수연, "언택트 시대의 대학교육: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강의 만족도와 수강지속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1 (21): 1099-1126, 2020
18 이선미, "실시간 원격 영어수업을 위한 수업 설계 및 실제" 54-55, 2020
19 최정선,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1) : 135-168, 2020
20 한송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 연구: A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395-418, 2020
21 전미현, "소통 교육을 위한 학습관리시스템" 37-42, 2014
22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53-173, 2020
23 유인식, "고등교육에서 Moodle을 이용한 LMS 구축" 30 (30): 63-69, 2012
24 이인숙, "e러닝 : 사이버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문음사 2002
25 장이분, "Teacher Reflection on Emergency Remote Teaching (ERT) during the Coronavirus Pandemic in a Multicultural EAP Classroom in South Korea"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235-257, 2020
26 Colpaert, J., "Pedagogy-driven design for online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23 (23): 477-497, 2006
27 Hodgson, P., "How to teach in cyberspace" 74 (74): 34-36, 1999
28 Bloom, B. S., "Effective instruction"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81
29 Zimmerman, J., "Coronavirus and the great online learning experiment"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30 Flottemesch, K., "Building effective interaction in distance education: A review of literature" 46-51,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