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리발마의 해석에 근거한 초기불교 공삼매(空三昧)의 의미 = The Meaning of Emptiness Samādhi in Early Buddhism based on Harivarman’s Interpre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849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하리발마의 성실론(成實論)에는 삼삼매(三三昧) 셋을 공(空)의 의미 한 가지로써 파악하는 선관(禪觀)이 나타난다. 이에 근거하면, 공삼매의 의미를 해명하는 것이 삼삼매의의미를 이해하는 핵심과제가 된다.
      성실론에서 하리발마는 수많은 경문(經文)을 인용하여 주장의 근거로 삼는 경우가 많지만, 경문의 출처를 찾아내는 일은 매우 어렵다.
      성실론 「삼삼매품(三三昧品)」에는 5개소의 경증(經證)이 있지만, 공삼매의 의미를 밝히는 데 크게 도움되지 않는다. 따라서 현존하는 남북 양전에서 갖가지 형태로 공삼매의 의미가 서술되는 경문을 먼저 발굴하여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바탕하여 초기불전에 나타난 공개념, 공삼매의 의미를 밝히는 데 주력할 것이다.
      분석결과 공개념과 공삼매의 의미는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 번째 의미는 ‘없음, 결여’의 뜻으로 쓰이는 경우이다. 선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하위 단계에 존재하는지각작용을 차례로 제거하면서 상위의 선정으로 향상해나가는 과정을 묘사할 때 ‘없음’ 이라는 공의 뜻이 중심 역할을 하고 있는 사례이다.
      두 번째 의미는 ‘비움’이다. 비움이란 모조리 없앤다는 말이 아니라 마음을 더럽히고문제를 일으키는 부적절한 감정들을 비워낸다는 뜻이다. 탐욕, 분노, 무지 따위를 양산하는 외부대상에 끌려나가지 않고 안으로 마음의 힘을 해치는 요소들을 비워나가는 과정을공으로 해석한 대의가 드러나는 경우이다.
      세 번째 의미는 경험 현상의 내용을 구성하는 대상을 실체로 보지 않는 사고방식이다.
      망상과 아만에 토대한 중생이라는 생각의 문제점 지적, ‘나[吾我], 남[人], 목숨[壽命]’에 대해 분별하는 생각 없이 헤아리는 경지, 심리 현상을 지어내어 구성하는 작용[行, saṅkhārā]의 근간을 잘라냄, 모든 현상을 공의 이치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의 확보, 무엇보다 우리가 존재라고 말하는 경험현상은 모두 텅 비어 있는 것이라고 관찰한다는 논지가분명하게 드러나고 있어서 하리발마 삼삼매관의 연원을 찾아낼 수 있다.
      번역하기

      하리발마의 성실론(成實論)에는 삼삼매(三三昧) 셋을 공(空)의 의미 한 가지로써 파악하는 선관(禪觀)이 나타난다. 이에 근거하면, 공삼매의 의미를 해명하는 것이 삼삼매의의미를 이해하는 ...

      하리발마의 성실론(成實論)에는 삼삼매(三三昧) 셋을 공(空)의 의미 한 가지로써 파악하는 선관(禪觀)이 나타난다. 이에 근거하면, 공삼매의 의미를 해명하는 것이 삼삼매의의미를 이해하는 핵심과제가 된다.
      성실론에서 하리발마는 수많은 경문(經文)을 인용하여 주장의 근거로 삼는 경우가 많지만, 경문의 출처를 찾아내는 일은 매우 어렵다.
      성실론 「삼삼매품(三三昧品)」에는 5개소의 경증(經證)이 있지만, 공삼매의 의미를 밝히는 데 크게 도움되지 않는다. 따라서 현존하는 남북 양전에서 갖가지 형태로 공삼매의 의미가 서술되는 경문을 먼저 발굴하여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바탕하여 초기불전에 나타난 공개념, 공삼매의 의미를 밝히는 데 주력할 것이다.
      분석결과 공개념과 공삼매의 의미는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 번째 의미는 ‘없음, 결여’의 뜻으로 쓰이는 경우이다. 선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하위 단계에 존재하는지각작용을 차례로 제거하면서 상위의 선정으로 향상해나가는 과정을 묘사할 때 ‘없음’ 이라는 공의 뜻이 중심 역할을 하고 있는 사례이다.
      두 번째 의미는 ‘비움’이다. 비움이란 모조리 없앤다는 말이 아니라 마음을 더럽히고문제를 일으키는 부적절한 감정들을 비워낸다는 뜻이다. 탐욕, 분노, 무지 따위를 양산하는 외부대상에 끌려나가지 않고 안으로 마음의 힘을 해치는 요소들을 비워나가는 과정을공으로 해석한 대의가 드러나는 경우이다.
      세 번째 의미는 경험 현상의 내용을 구성하는 대상을 실체로 보지 않는 사고방식이다.
      망상과 아만에 토대한 중생이라는 생각의 문제점 지적, ‘나[吾我], 남[人], 목숨[壽命]’에 대해 분별하는 생각 없이 헤아리는 경지, 심리 현상을 지어내어 구성하는 작용[行, saṅkhārā]의 근간을 잘라냄, 모든 현상을 공의 이치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의 확보, 무엇보다 우리가 존재라고 말하는 경험현상은 모두 텅 비어 있는 것이라고 관찰한다는 논지가분명하게 드러나고 있어서 하리발마 삼삼매관의 연원을 찾아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Harivarman ’ s Satyasiddhi-Śāstra(成實論), there appears a meditative contemplation(禪觀) that understands the threefold samādhi(三三昧) as a single meaning of emptiness(空). Based on this, clarifying the meaning of the emptiness samādhi(空三昧) becomes the key task for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the threefold samādhi.
      In the Satyasiddhi-Śāstra, Harivarman frequently cites numerous scriptural passages as the basis for his arguments, but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trace the sources of these passages. In the “Chapter on the threefold Samādhi”(三 三昧品) of the Satyasiddhi-Śāstra, there are five scriptural citations, but they do not significantly help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emptiness samādhi.
      Therefore, it is necessary first to analyze scriptural passages in the extant Chinese Āgama and Nikāya transmissions that describe the meaning of the emptiness samādhi in various form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will focus on elucidating the concept of emptiness and the meaning of the emptiness samādhi as they appear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concepts of emptiness(空) and emptiness samādhi(空三昧)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key meanings:

      1. Absence or Lack This refers to the use of “ emptiness ” to describe the sequential elimination of lower-level perceptual functions during meditative progression. For example, as one ascends through stages of meditation (dhyāna), the idea of “ absence ” plays a central role in transcending coarse mental activities (e.g., discarding sensory perceptions in higher meditative states).


      2. Emptying(Cleansing) “Emptying” here does not mean total annihilation but rather purging the mind of defilements—such as greed, anger, and ignorance—that distort clarity. This involves rejecting external objects that fuel harmful emotions and inwardly removing factors that weaken mental stability. It reflects a process of cultivating inner purity by letting go of attachments.
      3. Non-Substantiality of Phenomena This denotes a philosophical stance that rejects reifying experiential phenomena.
      Key aspects include: Critiquing the delusion of a fixed “ self” (吾我), “ others ” (人), or “life ” (壽命), Observing phenomena without conceptual discrimination, Severing the root of mental constructs (saṅkhārā, 行) that fabricate psychological realities. Acquiring the ability to perceive all phenomena through the lens of emptiness. Recognizing that what we call “ existence ” is fundamentally empty. These points clarify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Harivarman ’ s three samādhis, tracing their origins to early Buddhist thought.
      번역하기

      In Harivarman ’ s Satyasiddhi-Śāstra(成實論), there appears a meditative contemplation(禪觀) that understands the threefold samādhi(三三昧) as a single meaning of emptiness(空). Based on this, clarifying the meaning of the emptiness sam...

      In Harivarman ’ s Satyasiddhi-Śāstra(成實論), there appears a meditative contemplation(禪觀) that understands the threefold samādhi(三三昧) as a single meaning of emptiness(空). Based on this, clarifying the meaning of the emptiness samādhi(空三昧) becomes the key task for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the threefold samādhi.
      In the Satyasiddhi-Śāstra, Harivarman frequently cites numerous scriptural passages as the basis for his arguments, but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trace the sources of these passages. In the “Chapter on the threefold Samādhi”(三 三昧品) of the Satyasiddhi-Śāstra, there are five scriptural citations, but they do not significantly help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emptiness samādhi.
      Therefore, it is necessary first to analyze scriptural passages in the extant Chinese Āgama and Nikāya transmissions that describe the meaning of the emptiness samādhi in various form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will focus on elucidating the concept of emptiness and the meaning of the emptiness samādhi as they appear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concepts of emptiness(空) and emptiness samādhi(空三昧)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key meanings:

      1. Absence or Lack This refers to the use of “ emptiness ” to describe the sequential elimination of lower-level perceptual functions during meditative progression. For example, as one ascends through stages of meditation (dhyāna), the idea of “ absence ” plays a central role in transcending coarse mental activities (e.g., discarding sensory perceptions in higher meditative states).


      2. Emptying(Cleansing) “Emptying” here does not mean total annihilation but rather purging the mind of defilements—such as greed, anger, and ignorance—that distort clarity. This involves rejecting external objects that fuel harmful emotions and inwardly removing factors that weaken mental stability. It reflects a process of cultivating inner purity by letting go of attachments.
      3. Non-Substantiality of Phenomena This denotes a philosophical stance that rejects reifying experiential phenomena.
      Key aspects include: Critiquing the delusion of a fixed “ self” (吾我), “ others ” (人), or “life ” (壽命), Observing phenomena without conceptual discrimination, Severing the root of mental constructs (saṅkhārā, 行) that fabricate psychological realities. Acquiring the ability to perceive all phenomena through the lens of emptiness. Recognizing that what we call “ existence ” is fundamentally empty. These points clarify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Harivarman ’ s three samādhis, tracing their origins to early Buddhist though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