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물다양성과 합성생물학 관련 법적 쟁점과 과제 - 2018년 7월 25일 ECJ 판결(EuGH, Urt. v. 25. 7. 2018-C-528/16)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8년 7월 25일 유럽 사법재판소(ECJ)는 돌연변이유발에 의해 얻어진 생물체가 유전자변형생물체(GMO)를 의미하며 원칙적으로 유럽연합 환경방출 지침(GMO Directive)에 규정된 의무에 따른다는 획...

      2018년 7월 25일 유럽 사법재판소(ECJ)는 돌연변이유발에 의해 얻어진 생물체가 유전자변형생물체(GMO)를 의미하며 원칙적으로 유럽연합 환경방출 지침(GMO Directive)에 규정된 의무에 따른다는 획기적 판단에 따라 판결하였다. ECJ는 돌연변이유발에 의해 얻어진 생물체가 GMO라는 것을 확인했는데, 왜냐하면 이것은 돌연변이유발의 방법과 절차를 통해 생물체의 유전물질을 자연적으로는 가능하지 않는 변화를 시도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생물체는 원칙적으로 유럽연합 GMO Directive의 적용범위에 속하며 여기에 언급된 의무를 따른다.
      유럽연합 GMO Directive가 채택된 이후 등장한 돌연변이유발 기술로 얻은 생물체에도 이러한 지침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와 관련하여, ECJ는 이 새로운 돌연변이유발 기술 사용에 따른 위해성이 형질전환으로 만들어지는 GMO의 생산과 방출에 따른 위해성과 유사하다고 입증될 만하다고 여기고 있다. 왜냐하면 돌연변이유발을 통한 생물체 유전물질의 직접 변형은 외래유전자를 생물체에 집어넣을 때와 유사한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으며, 또한 전통적인 돌연변이유발 절차로 만든 유전자변형 변종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속도로, 새로운 돌연변이유발 기술들이 유전자변형 변종들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공통의 위해성의 관점에서 보면, 새로운 돌연변이유발 기술로 얻은 생물체를 유럽연합GMO Directive의 적용 범위에서 배제하는 것은 이러한 지침이 추구하는 목표, 즉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대한 역효과의 방지라는 목표를 훼손할 것이며, 그 지침이 시행하고자 하는 사전예방의 원칙을 준수하기 힘들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유럽연합 GMO Directive는 이 지침이 채택된 이후에 등장한 돌연변이유발 기술에 의한 생물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July 25th 2018,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ECJ) has decided in a spectacular fundamental judgment that organisms obtained by mutagenesis are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GMO) and are, in principle, subject to the obligations laid down by the G...

      On July 25th 2018,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ECJ) has decided in a spectacular fundamental judgment that organisms obtained by mutagenesis are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GMO) and are, in principle, subject to the obligations laid down by the GMO directive. The ECJ held that organisms obtained by mutagenesis are GMOs, because the methods and methods of mutagenesis are used to make a naturally impossible change in the genetic material of an organism. As a consequence those organisms come, in principle within the scope of the GMO Directive and are subject to the obligations of that directive.
      With regard to the question whether the GMO Directive may also be applicable to organisms obtained by mutagenesis techniques that have emerged since its adoption, the Court considers that the risks linked to the use of these new mutagenesis techniques might prove to be similar to those that result from the production and release of a GMO through transgenesis, since the direct modification of the genetic material of an organism through mutagenesis makes it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s as the introduction of a foreign gene into the organism and those new techniques make it possible to produce genetically modified varieties at a rate out of all proportion to those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al methods of mutagenesis.
      In view of these shared risks, excluding organisms obtained by new mutagenesis techniques from the scope of the GMO Directive would compromise the objective pursued by that directive, which is to avoid adverse effects on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and would fail to respect the precautionary principle which that directive seeks to implement. It follows that the GMO Directive is also applicable to organisms obtained by mutagenesis techniques that have emerged since its adop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생물다양성과 합성생물학 및 유전자가위 기술
      • Ⅲ. 2018년 7월 25일 ECJ 판결(EuGH, Urt. v. 25. 7. 2018-C-528/16) 분석
      • Ⅳ. ECJ 판결(EuGH, Urt. v. 25. 7. 2018-C-528/16)에 대한 평가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생물다양성과 합성생물학 및 유전자가위 기술
      • Ⅲ. 2018년 7월 25일 ECJ 판결(EuGH, Urt. v. 25. 7. 2018-C-528/16) 분석
      • Ⅳ. ECJ 판결(EuGH, Urt. v. 25. 7. 2018-C-528/16)에 대한 평가
      • Ⅴ. 결론 및 전망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인호, "유전자편집기술에 관한 미국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미국헌법학회 30 (30): 213-242, 2019

      2 정상배, "유전자 재조합기술 판결 사례로 바라본 합성생물학에서의 지식재산권 활용" 2017

      3 권순일, "유용한 생명체 조립을 추구하는 합성생물학, 그 현황과 전망" 17 (17): 2016

      4 우태민, "사전예방원칙과 합성생물학 거버넌스: 생물다양성 협약의 합성생물학 논의를 중심으로" 2015

      5 Renesse, Dorothea von, "Überbelohnung” Anmerkungen zum Stoffschutz für biotechnologische Erfindungen" 2002

      6 Hufen, Friedhelm, "Wissenschaft zwischen Freiheit und Kontrolle" NVwZ 2017

      7 Zech, Herbert, "Stoffschutz bei gentechnischen Patenten Rechtslage nach Erlass des Biopatentgesetzes und Auswirkung auf Chemiepatente" 2006

      8 Zech, Herbert, "Pflanzenbezogene Erfindungen in der EU aktueller Stand" 2017

      9 Spranger, Tade Matthias, "Neue Techniken und Europäisches Gentechnikrecht" 2018

      10 Luttermann, Claus, "Nachbarrechtliche Haftungsverfassung für gentechnisch veränderte Organismen" 2011

      1 장인호, "유전자편집기술에 관한 미국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미국헌법학회 30 (30): 213-242, 2019

      2 정상배, "유전자 재조합기술 판결 사례로 바라본 합성생물학에서의 지식재산권 활용" 2017

      3 권순일, "유용한 생명체 조립을 추구하는 합성생물학, 그 현황과 전망" 17 (17): 2016

      4 우태민, "사전예방원칙과 합성생물학 거버넌스: 생물다양성 협약의 합성생물학 논의를 중심으로" 2015

      5 Renesse, Dorothea von, "Überbelohnung” Anmerkungen zum Stoffschutz für biotechnologische Erfindungen" 2002

      6 Hufen, Friedhelm, "Wissenschaft zwischen Freiheit und Kontrolle" NVwZ 2017

      7 Zech, Herbert, "Stoffschutz bei gentechnischen Patenten Rechtslage nach Erlass des Biopatentgesetzes und Auswirkung auf Chemiepatente" 2006

      8 Zech, Herbert, "Pflanzenbezogene Erfindungen in der EU aktueller Stand" 2017

      9 Spranger, Tade Matthias, "Neue Techniken und Europäisches Gentechnikrecht" 2018

      10 Luttermann, Claus, "Nachbarrechtliche Haftungsverfassung für gentechnisch veränderte Organismen" 2011

      11 Faltus, Timo, "Mutagene(se) des Gentechnikrechts" 2018

      12 Seitz, Claudia, "Modifiziert oder nicht? Regulatorische Rechtsfragen zur Genoptimierung durch neue biotechnologische Verfahren" 2018

      13 Osterkamp, Jan, "Gentechnik-Innovation auch für die Landwirtschaft" 2017

      14 Fateh-Moghadam, Bijan, "Genome Editing als strafrechtliches Grundlagenproblem" 2017

      15 Gelinsky, Eva, "Geistige Eigentumsrechte im Bereich der neuen Pflanzenzuchtverfahren" 2013

      16 Reimer, Franz, "Forschung in Freiheit und Risiko" 2012

      17 Appel, Ivo, "Europas Sorge um die Vorsorge Zur Mitteilung der Europäischen Kommission über die Anwendbarkeit des Vorsorgeprinzips" 2001

      18 Streinz, Rudolf, "Erstreckung des Begriffs”, genetisch veränderter Organismus “auf Verfahren der Mutagenese" 2019

      19 Kilger, Christian, "Ende des absoluten Stoffschutzes? ZurUmsetzung der Biotechnologie-Richtlinie" 2005

      20 Schroeder, Werner, "Die Sicherung eines hohen Schutzniveaus für Gesundheits-, Umwelt- und Verbraucherschutz im europäischen Binnenmarkt" 2002

      21 Berlincourt-Heinecke, Hélène, "Chancen und Risiken von Pflanzeninnovationen im Recht" 2017

      22 Rengeling, Hans-Werner, "Bedeutung und Anwendbarkeit des Vorsorgeprinzips im europäischen Umweltrecht" 2000

      23 Griebsch, Thorsten, "Anwendbarkeit des Gentechnikgesetzes auf nach CRISPR/Cas9verändertes Saatgut" NuR 2018

      24 조인성,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전자 가위(genome editing) 기술 규제: 유럽 사법재판소 판결(EuGH, Urt. v. 25. 7. 2018 – C-528/16)을 중심으로" 과학기술법연구원 25 (25): 165-199,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69 1.034 1.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