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독대학생의 종교성향, 대학생활적응이 주관적 안녕감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시에 소재한 H 신학대학교에 다니 고 있는 대학생 195명의 학생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361890
서울 :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11
학위논문(석사) --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 기독상담학과 , 2011. 2
2011
한국어
서울
v, 61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독대학생의 종교성향, 대학생활적응이 주관적 안녕감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시에 소재한 H 신학대학교에 다니 고 있는 대학생 195명의 학생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
본 연구는 기독대학생의 종교성향, 대학생활적응이 주관적 안녕감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시에 소재한 H 신학대학교에 다니
고 있는 대학생 195명의 학생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사,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대학생의 종교성향과 대학생활적응, 주관적 안녕감의 관
계를 살펴본 결과 주관적 안녕감은 종교성향의 내재적 성향 및 대학
생활적응의 대학에 대한 애착, 정서적 적응, 사회적 적응, 학업적 적응
과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신체적 적응과는 낮은 정적상관이 있었다.
종교성향의 외재적 성향과는 낮은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기독대학생의 종교성향이 주관적 안녕감, 생활만족도, 긍정정
서,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내재적 성향은 생활만족
도와 긍정정서에 영향을 미치고, 외재적 성향은 부정 정서에 유의미
한 영향을 주었다. 이에 대한 설명력은 34%(R2=.34)였다. 셋째, 기독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이 주관적 안녕감, 생활만족도, 긍
정정서,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주관적 안녕감에는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설명력은 49%(R2=.49)였으며, 신체적 적응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에 기독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는 종교성향과 대학생활적응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가정, 학교, 사회가 서로 상호작용하
여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한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 또한 상담이나
프로그램이 마련된다면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of 195 students of H Theology University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ropensity of religion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on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used the SPSS WIN 18.0 program ...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of 195 students of H Theology
University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ropensity of religion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on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used the SPSS WIN 18.0 program and
thereb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relations of the
propensity of religi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ive well-being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mmanent
propensity of religion and affection about the university, emotional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and scholastic adaptation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had low positive correlation with physical
adaptation. It had low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external
propensity of relig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propensity of religion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degree of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the internal propensity influence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 and the external propensity
influenced the negative emotion significantly. The explanatory
power about his was 34%(R2=.34).
Thir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degree of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only scholast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emotional adaptation and affection about the university among
subordinate variables of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fluenced the
subjective well-being significantly. The explanatory power about
this was 49%(R2=.49), and physical adaptation failed to influence
significantly.
The propensity of religion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and therefore it is needed for homes, schools
and the society to mutually interact and thereby to be concerned
and to direct through various approaches. In addition, it seems that
if consultation or a program is arranged, it will help in a practical
wa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