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의 변천과 발전에 관한 연구 -(사)부산섬유조형디자인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and Development of Modern Fiber Art In Busan -Focused on Busan Fiber Design Associat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765613
부산 :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2012
한국어
636.3 판사항(5)
부산
Focused on Busan Fiber Design Association
vii, 165 p. : 삽도,챠트 ; 26 cm
부록: p.110-160
지도교수:
참고문헌: p. 161-16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의 변천과 발전에 관한 연구 -(사)부산섬유조형디자인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and Development of Modern Fiber Art In Busan -Focused on Busan Fiber Design Associati...
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의 변천과
발전에 관한 연구
-(사)부산섬유조형디자인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and Development of Modern Fiber Art In Busan
-Focused on Busan Fiber Design Association
조형디자인학과 박 민 경
지 도 교 수 박 수 철
현대섬유미술에서의 개념은 염직공예에서 순수미술 분야로 파급된 것으로 섬유미술이 도입되면서부터 섬유미술 형식이 평면적 형식으로부터 부조적 이거나 입체적 형식 그리고 나아가 환경 설치 미술로까지 확장되는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결국 이러한 변화 양상은 현대섬유미술이 영향을 받았던 현대미술의 흐름과 일치됨을 알 수 있다.
현대섬유미술은 재료의 선택과 소재 영역의 확대로 여러 변화 속에서 조형예술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실험하고 작가와 관객, 예술 공간과 상업적 공간, 환경과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거리를 좁히고자 하는 ‘총체 예술(Total Art)’로 발전 하였다.
현대섬유미술에 있어서 조형개념은 다변화로서 과거로부터의 그 개념과 양식에 구애받지 않고, 표현 재료와 표현 영역의 확장으로 섬유미술은 평면적 시각에서 입체적 공간으로, 더 나아가 환경 설치로 확대해 가고 있다. 인간정신의 자유로운 주관을 표현하려는 조형의지를 나타낸 많은 예술작품 중에서도 특히, 섬유미술은 섬유만이 갖고 있는 특성인 풍부한 질감과 재료자체의 친밀감으로 인해 많은 작가들에게 소재로 선택되고 있다. 섬유미술은 실용적 의미를 넘어서 미적 수단으로서 공간과 함께 입체구조를 가지는 환경조형으로서도 새로운 개념을 창조하고 있다. 섬유미술의 경향은 작가의 자율성이 중요하게 인식되면서 다양하고 자유로운 형태 추구에 의해 그 영역을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새로운 공간의 인식과 공간 이미지의 확산으로 탈장르의 경향을 띄며, 새로운 소재 개발의 방법론으로 섬유미술은 표현양식으로서 총체적 예술 영역의 자리를 굳히고 있다. 섬유미술은 과거의 단순한 공예적 차원에서 벗어나 폭넓은 창작활동의 수단은 물론이며, 상업적 공간에서도 기능적 역할과 공간조형예술로서 인식을 새롭게 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의 오랜 역사를 지닌 (사)부산섬유조형디자인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작품경향과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고 질적 연구 방법론인 인터뷰 면담의 해석을 토대로 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의 발전 과정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고 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의 발전과 개발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대섬유미술 작가들과 질적 연구방법으로의 인터뷰 면담을 토대로 조사 연구하여, 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의 현대섬유미술의 변천과정을 토대로 현대 섬유미술의 문제의식과 목표를 명확히 제기하여 새로운 가치로 개선하고 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이 영구적으로 발전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부산지역의 현대섬유미술은 새로운 영역확장과 전환을 맞이하여 한국 섬유예술의 대열에서 앞장 설 수 있으며, 나아가 세계 현대미술의 주류와 맥락을 나란히 하고자 한다.
주요어: 현대섬유미술, (사)부산섬유조형디자인협회, 현대섬유미술의 변천
과정, 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의 발전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