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항공 안전문화 진단지 가중치 개발 및 관리에 대한 연구 - 조종사를 대상으로 한 ASC-IT 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Weight Development of Safety Culture Assessment and the Management of it-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ASC-IT model to pilot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8545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clared COVID-19 Pandemonics, the aviation sector has faced many unexpected challenges.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job insecurity and health problems that can be infected are great stress for pilots. ICAO,...

      Sinc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clared COVID-19 Pandemonics, the aviation sector has faced many unexpected challenges.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job insecurity and health problems that can be infected are great stress for pilots. ICAO, IFALPA, and IATA stress that pilots must be physically and emotionally healthy for flight safety.
      Unexpected difficulties in aviation pose a severe threat to our safety. The threat eventually links to accidents. On May 22, 2020, PK8303, flying from Lahore to Karachi, crashed into a residential area after an insecure approach, killing 97 of the 99 passengers on board. Also, on August 7, IX1344 from Dubai to Kozhikode crashed into a valley over a runway in bad weather, killing 16 people. Those accidents show that failure to address safety-related issues in a Pandemic context can lead to near-disaster accidents.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xplore ways to prevent accidents under the recently increased instability situations fundamentally.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aviation sector is carried out through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SM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dealing with all unstable situations with SMS alone. SMS is just hardware, and if the software does not work correctly, its performance will not work. For SMS to work correctly, a software safety culture must be positively formed. Even if SMS is perfect, it does not correctly respond to new safety issues if the safety culture is negatively formed. Management is necessary to transform the safety culture positively. Management requires measurement and quantification. While reviewing the literature for measuring safety culture, the airline safety culture guidelines (2017)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ere identified. The safety culture diagnosis site provid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s an ASC-IT model and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diagnosis site used in other fields to assessment its appropriateness. Furthermore, we incorporate AHP weighting methods into the study in a way that can specify the pilot.
      The literature research section looked at the definition of safety, general safety management methods, and safety management concepts in aviation and reviewed the safety culture initiative, the definition of safety culture, and the stage of safety culture management. Besides, how to manage safety culture was identified in the PDCA procedure.
      The conformity of safety culture diagnosis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comparing the models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ith IAEA models, NOSACQ-50 and GAIN, and summarized the meaning of 21 operational definitions and sub-factors of the ASC-IT model. This study's condition is to leave the main and sub-factors of the ASC-IT model intact, and the metric that measures it is made clear that the original seeks.
      Executives of the current team leader or higher who are in charge of safety management and policies at the airline for more than 20 years participated in a pair-by-side comparison with each safety culture diagnosis site and calculated the weight for each factor by reflecting the results.
      The study applied the complementary metric to 10 pilots with more than ten years of experience at private airlines to compare the weighted and unweighted results. Ten samples were selected to substantially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weight was applied. The safety culture management methods and progress were reviewed through surveys and result in analysis.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are not sure if it is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because the ASC-IT model has been used as it is. As a result, the need to develop safety culture diagnostic sites in the Korean aviation sector was also recognized. Also, the question of whether this could be used for all airlines was identified because it only reflected the opinions of the safety management experts of a particular airli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earch under the leadership of government-led or private pilots' associ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보건기구(WHO)의 COVID-19 팬데믹 선언 이후 항공분야는 예상하지 못한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다. 특히 고용불안과 감염될 수 있다는 건강에 대한 염려는 조종사에게 큰 스트레스이다. ICAO와...

      세계보건기구(WHO)의 COVID-19 팬데믹 선언 이후 항공분야는 예상하지 못한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다. 특히 고용불안과 감염될 수 있다는 건강에 대한 염려는 조종사에게 큰 스트레스이다. ICAO와 IFALPA, IATA는 비행안전을 위해 조종사가 신체적·정서적으로 비행에 적합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결과적으로 심각한 위협이 되고 그 위협은 결국 사고로 이어진다. 2020년, 5월 22일 Lahore에서 Karachi로 비행 중이었던 PK8303편은 불안전한 접근으로 복행 후 주거지역에 추락하여 99명의 탑승자 중 97명이 사망한 사고가 있었다. 또한 8월 7일, Dubai에서 Kozhikode로 비행 중이었던 IX1344편은 나쁜 기상하에서 무리한 착륙으로 활주로를 초과하여 계곡으로 추락함으로 16명이 사망한 사고로 이어졌다. 이는 팬데믹 상황에서 안전과 관련된 이슈를 관리하지 못하면 재난에 가까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본 연구는 최근 증가된 불안전 상황 하에 사고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기 위해 시작됐다. 항공분야의 안전관리는 안전관리시스템(이하 SMS)을 통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SMS만으로 모든 불안전한 상황을 관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SMS는 하드웨어이기 때문에 이를 가동하는 소프트웨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그 성능이 발휘되지 않는다.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인 안전문화가 긍정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SMS가 외형적으로 완벽하더라도 안전문화가 부정적으로 형성되어있다면 새롭게 제기되는 안전이슈에 대해서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다. 안전문화를 긍정적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관리가 필요하다. 관리하기 위해서는 측정하여 수치화할 수 있어야 한다. 안전문화를 어떻게 측정할지 문헌을 고찰하던 중 국토교통부에서 발행한 항공사 안전문화 가이드라인(2017)을 확인했다. 정부에서 제공한 안전문화 진단지는 ASC-IT 모델이며, 본 연구에서는 그 적절성을 살피기 위해 타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진단지와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조종사를 특정하기 위해서 AHP 가중치 부여 방법을 연구에 접목시켰다.
      문헌연구에서는 안전의 정의, 일반적인 안전관리 방법, 항공분야의 안전관리의 개념을 살폈고, 안전문화의 태동과 안전문화의 정의, 안전문화 관리의 단계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안전문화의 관리방법으로 PDCA절차를 확인하였다.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한 모델과 IAEA의 모델, NOSACQ-50, GAIN 모델을 비교분석하여 안전문화 진단에 대한 적합성을 확인하였고, ASC-IT 모델의 주요인 6개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하위요인 21개가 의미하는 내용을 명확하게 정리했다. 본 연구의 기본조건은 ASC-IT 모델의 주요인과 하위요인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며, 이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는 원본의 내용을 그대로 담되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항공사에서 20년 이상의 안전관리와 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현재의 팀장급 이상 임원이 참여하여 안전문화 진단지의 각 요인에 대한 쌍대비교를 했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각 요인별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와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은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연구를 통해 보완된 측정지표를 민간 항공사에서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조종사 10명에게 적용하였다. 10명의 표본을 선정한 이유는 가중치 적용 전과 후에 대한 차이를 실질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마지막으로 설문과 결과분석 과정을 통해 안전문화를 관리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ASC-IT 모델을 번역하여 사용했기 때문에 한국상황에 적합한지에 대해 분석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향후 한국형 항공분야의 안전문화 진단지 개발의 필요성도 인식한 계기가 되었다. 또한, 특정 항공사의 안전관리 전문가의 의견만 반영했기 때문에 이를 전 항공사를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 주도 혹은, 민간조종사 협회 주도로 연구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방법 및 구성 5
      • 제 2 장 이론적 고찰 7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방법 및 구성 5
      • 제 2 장 이론적 고찰 7
      • 제 1 절 안전문화 7
      • 1. 안전의 개념과 관리 7
      • 2. 안전문화의 개념과 관리 14
      • 제 2 절 안전문화 진단지 비교 연구 26
      • 1. 원자력 분야 26
      • 2. 일반산업분야(NOSACQ-50) 27
      • 3. GAIN 모델 28
      • 4. 항공분야 안전문화 진단지(ASC-IT 모델) 29
      • 제 3 절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관련 문헌연구 34
      • 1. AHP의 개념 34
      • 2. AHP를 활용한 선행연구 39
      • 제 3 장 연구설계 41
      • 제 1 절 요인의 도출 41
      • 1. 요인도출 절차 및 방법 41
      • 제 2 절 AHP를 이용한 연구모형의 설계 43
      • 1. 요인 선정 43
      • 2. AHP 분석 설계 43
      • 제 4 장 결과분석 51
      • 제 1 절 ASC-IT 모델의 측정지표 비교분석 51
      • 1. IAEA 모델과 ASC-IT 모델 비교 51
      • 2. NOSACQ-50과 ASC-IT 모델 비교 53
      • 3. GAIN모델과 ASC-IT 모델 비교 55
      • 4. ASC-IT 모델과 진단지의 비교분석 종합 58
      • 제 2 절 AHP 설문 및 데이터 분석 60
      • 1. 표본 선정 60
      • 2. 일관성 검증 61
      • 3. 상대적 중요도 분석 61
      • 제 3 절 AHP 적용 전과 후에 대한 비교분석 70
      • 1. 가중치 적용결과와 적용하지 않은 결과의 비교 70
      • 2. 결과 종합 및 제언 78
      • 제 5 장 결 론 81
      • 제 1 절 요약 81
      •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82
      • 참고문헌 84
      • ABSTRACT 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