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지의무 위반과 보험자의 악의,중과실 -대법원 판례의 분석 = Breach of duty of disclosure and Insurer`s bad faith,gross negligen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analysis of recent Supreme Court Cases,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influences that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IT) gives to the duty of disclosure, especially to interpretation of meaning of ‘gross negligence’ in Art. 651 proviso of Commercial Act. Art. 651 proviso of Commercial Act provides that even if a policyholder or the insured violated the duty of disclosure, the insurer may not terminate the contract, if at the time of making the insurance contract the insurer knew the non-disclosure or misrepresentation or failed to do so due to gross negligence. The writer’s opinion is that Art. 651 proviso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to protect the policyholder or the insured in conflicts over the duty of disclosure with the insurer, especially in Korea which has a relatively falling behind legal system on the duty of disclosure. When we, reflecting the development of IT in these days, interpret broadly the meaning of ‘gross negligence’ in art. 651 proviso of Commercial Act, it is substantially possible for duty of disclosure to be made passive as a duty of answer. In this respect, the writer is of same opinion as the Supreme Court which has interpreted broadly the meaning of ‘gross negligence’ in Art. 651 proviso in recent cases. And it is also recommended to amend the Art. 651 proviso for ‘gross negligence’ to be relieved as ‘negligence’ to protect the policyholder. This article is comprised as follows, Ⅰ. Introduction Ⅱ. Supreme Court Cases1. Case 2001. 1. 5. 2000da40353 [CaseⅠ] 2. Case 2001. 2. 13. 99da13737 [CaseⅡ] 3. Case 2011. 12. 8. 2009da20451 [CaseⅢ] Ⅲ. Study1. Legal Issues 2. Art. 651 proviso of Commercial Act 3. Development of IT and Insurer’s bad faithㆍgross negligence 4. Analysis Ⅳ. Conclusion
      번역하기

      With the analysis of recent Supreme Court Cases,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influences that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IT) gives to the duty of disclosure, especially to interpretation of meaning of ‘gross negligence’ in Art. 651 pr...

      With the analysis of recent Supreme Court Cases,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influences that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IT) gives to the duty of disclosure, especially to interpretation of meaning of ‘gross negligence’ in Art. 651 proviso of Commercial Act. Art. 651 proviso of Commercial Act provides that even if a policyholder or the insured violated the duty of disclosure, the insurer may not terminate the contract, if at the time of making the insurance contract the insurer knew the non-disclosure or misrepresentation or failed to do so due to gross negligence. The writer’s opinion is that Art. 651 proviso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to protect the policyholder or the insured in conflicts over the duty of disclosure with the insurer, especially in Korea which has a relatively falling behind legal system on the duty of disclosure. When we, reflecting the development of IT in these days, interpret broadly the meaning of ‘gross negligence’ in art. 651 proviso of Commercial Act, it is substantially possible for duty of disclosure to be made passive as a duty of answer. In this respect, the writer is of same opinion as the Supreme Court which has interpreted broadly the meaning of ‘gross negligence’ in Art. 651 proviso in recent cases. And it is also recommended to amend the Art. 651 proviso for ‘gross negligence’ to be relieved as ‘negligence’ to protect the policyholder. This article is comprised as follows, Ⅰ. Introduction Ⅱ. Supreme Court Cases1. Case 2001. 1. 5. 2000da40353 [CaseⅠ] 2. Case 2001. 2. 13. 99da13737 [CaseⅡ] 3. Case 2011. 12. 8. 2009da20451 [CaseⅢ] Ⅲ. Study1. Legal Issues 2. Art. 651 proviso of Commercial Act 3. Development of IT and Insurer’s bad faithㆍgross negligence 4. Analysis Ⅳ. Conclus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정, "일본 보험법상 고지의무제도의 개혁" 한국기업법학회 22 (22): 383-407, 2008

      2 최병규, "외국의 개정 보험계약법과 고지의무의 나아갈 방향" 한국경영법률학회 19 (19): 91-116, 2009

      3 박세민, "영국의 고지의무에 있어서 유인요소에 대한 해석과 우리 보험법에의 적용문제" 한국보험학회 63 : 109-144, 2002

      4 정진세 교수 정년기념논문 간행위원회, "상사법연구" 2001

      5 정찬형, "상법강의(하)" 박영사 2014

      6 박세민, "보험사기에 대한 현행 대응방안 분석과 그 개선책에 대한 연구" 한국법학원 (111) : 140-177, 2009

      7 장덕조, "보험법연구5" 삼지원 2003

      8 한기정, "보험법연구3" 삼지원 1999

      9 한창희, "보험법 판례연구집" 법영사 2010

      10 한창희, "보험법" 국민대학교 출판부 2011

      1 김선정, "일본 보험법상 고지의무제도의 개혁" 한국기업법학회 22 (22): 383-407, 2008

      2 최병규, "외국의 개정 보험계약법과 고지의무의 나아갈 방향" 한국경영법률학회 19 (19): 91-116, 2009

      3 박세민, "영국의 고지의무에 있어서 유인요소에 대한 해석과 우리 보험법에의 적용문제" 한국보험학회 63 : 109-144, 2002

      4 정진세 교수 정년기념논문 간행위원회, "상사법연구" 2001

      5 정찬형, "상법강의(하)" 박영사 2014

      6 박세민, "보험사기에 대한 현행 대응방안 분석과 그 개선책에 대한 연구" 한국법학원 (111) : 140-177, 2009

      7 장덕조, "보험법연구5" 삼지원 2003

      8 한기정, "보험법연구3" 삼지원 1999

      9 한창희, "보험법 판례연구집" 법영사 2010

      10 한창희, "보험법" 국민대학교 출판부 2011

      11 최기원, "보험법" 박영사 1993

      12 양승규, "보험법" 삼지원 2004

      13 장덕조, "보험법" 법문사 2011

      14 박세민, "보험법" 박영사 2013

      15 한기정, "보험계약자의 사기에 의해서 체결된 보증보험계약의 효력" 한국상사법학회 22 (22): 495-523, 2003

      16 한기정, "보험계약자의 고지의무와 보험자의 탐지의무" 16 (16): 1997

      17 이근우, "보험계약상 고지의무위반의 형법적 의미" 법학연구소 (54) : 325-354, 2012

      18 허일태, "보험계약상 고지의무와 보험금 사기의 고의" 법학연구소 (52) : 417-445, 2011

      19 김은경, "보험계약법상 고지의무 및 설명의무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한국경영법률학회 19 (19): 447-487, 2009

      20 금융감독원, "금융분쟁조정 사례집" 2013

      21 김선정, "고지의무제도에 관한 검토(하)" (208) : 1986

      22 김효신, "고지의무의 입법상 과제" 한국비교사법학회 20 (20): 273-296, 2013

      23 한기정, "고지의무의 수동화 - 자발적 고지의무에서 수동적 응답의무로 -" 한국비교사법학회 16 (16): 325-363, 2009

      24 송달섭, "고지의무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보험소비자보호의 관점에서-" 한국법정책학회 8 (8): 29-55, 2008

      25 정호열, "고지의무에 관한 고찰 - 대법원판례의 동향과 이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40 (40): 1999

      26 장덕조, "答辯義務로서의 告知義務" 한국기업법학회 25 (25): 217-237,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5 0.922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