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시설보호아동의 상담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unseling Experience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83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설보호아동들이 시설 입소 전후로 자신들에게 다양하게 제공되는 상담프로그램 들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 지역의 아동양육시설에 거주하고...

      본 연구는 시설보호아동들이 시설 입소 전후로 자신들에게 다양하게 제공되는 상담프로그램 들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 지역의 아동양육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시설보호아동 5명을 대상으로 2016년 6월부터 7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시설보호아동들이 경험한 상담은 ‘상담의 주인공은 누구인가요?’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었다. 내가 왜 상담을 받아야 하는지, 언제 시작하 는지, 언제 끝나는지 알 수 없는, 상담의 주체는 ‘내’가 아닌 것이었다. 둘째, 시설보호아동들은 상담실에서 “있는 그대로의 나”로써 수용되지 못하였다. 나의 시간을 갖고 싶지만 정해진 시간에 상담실에 가야만 하고, 하고 싶지 않은 작업을 강요받으면서 대충대충 한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셋째, 시설보호아동들은 내가 사는 세상과 상담실의 세상의 상반된 경험을 하게 된다. 아동들이 사는 세상에서 경험하는 반복되는 폭력과 학대를 상담자에게 털어놓았을 때, 상담선생님이 제안 하는 방법들은 상담실 밖의 나를 도와주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시설보호아동들은 상담실을 진정 한 나를 발견하는 곳으로 경험하게 된다. 아동들은 상담실에서 내가 꾸미고 싶은 나만의 세상을 꾸미기도 하고, 나의 이야기에 집중하여, 공감하고 들어주며 편안함을 주는 상담 과정을 통해 자신 감을 갖게 되고, 예전과는 다른 ‘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해서 시설보호아 동의 상담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보다 전문적으로 계획되고, 체계적으로 제공 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study, it is revealed that institutionalized children had no idea of why they started counseling, let alone when the counse...

      This study analyzes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study, it is revealed that institutionalized children had no idea of why they started counseling, let alone when the counseling started and ended. Institutionalized children actually wanted to have free time, but they had to go to the counseling room at a fixed time and were forced to do what they did not want. So institutionalized children did not feel that they were accepted as “just as they are” in counseling. Also, when the counselor suggested the ways to overcome the violence and abuse from which the children suffered, it was found out that they were far from helpful. However, in the counseling room it was also reported that the children were able to create their own world, and the counselors listened to their stories intentively with empathy. Institutionalized children gained confidence through this proc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unseling programs for institutionalized children should be planned carefully and professionally s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