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어재활사의 청각장애아동 중재 경험과 요구 = Experience and Demand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on the Language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eaf or Hard of Hear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667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이 연구는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청각장애아동 언어재활에 대한 경험과 어려움 그리고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청각장애아동 언어재활을 담당하고 있는 언어재활사 6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GI)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청각장애아동 언어재활을 담당하고 있는 언어재활사의 청각장애아동중재 계기는 학문적 관심, 우연한 기회, 언어재활과 청각학 복수전공에 따른 선택이었다. 청각장애아동 중재의 특징으로는 양육자 동반 수업, 청각장애 특성을 반영한 치료실 구성의 차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청각학지식이 언급되었다. 청각장애아동 언어 중재는 아동의 연령, 청력손실 정도, 청각장애 유형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해서, 청각장애아동을 중재하는 언어재활사는 청각학 지식을 필수적으로 갖춰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 청각장애아동 언어재활 중재의 어려움은 청각장애 특성에 따른 수업 진행 과정상의 어려움, 양육자의 청각장애에 대한 낮은 인식, 청각장애에 대한 전문성 신장의 어려움, 전문가 집단 간 협력적 접근의 어려움이었다. 셋째, 성공적인 청각장애아동 언어재활을 위해서 청각장애 인식개선과 수어 교육 접근성 강화, 청각장애 언어재활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 확대, 체계적인 청각장애 교육시스템 구축, 전문가 간 협력적 접근을위한 전문가 간 협조 시스템 구축, 정보 교류를 위한 자료 공유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이연구는 청각장애아동 언어재활을 담당하고 있는 언어재활사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는 점에서차별성이 있으며, 성공적인 청각장애아동 언어재활을 위한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있다.
      번역하기

      [목적] 이 연구는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청각장애아동 언어재활에 대한 경험과 어려움 그리고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청각장애아동 언어재활을 담당하고 있는 언어재...

      [목적] 이 연구는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청각장애아동 언어재활에 대한 경험과 어려움 그리고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청각장애아동 언어재활을 담당하고 있는 언어재활사 6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GI)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청각장애아동 언어재활을 담당하고 있는 언어재활사의 청각장애아동중재 계기는 학문적 관심, 우연한 기회, 언어재활과 청각학 복수전공에 따른 선택이었다. 청각장애아동 중재의 특징으로는 양육자 동반 수업, 청각장애 특성을 반영한 치료실 구성의 차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청각학지식이 언급되었다. 청각장애아동 언어 중재는 아동의 연령, 청력손실 정도, 청각장애 유형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해서, 청각장애아동을 중재하는 언어재활사는 청각학 지식을 필수적으로 갖춰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 청각장애아동 언어재활 중재의 어려움은 청각장애 특성에 따른 수업 진행 과정상의 어려움, 양육자의 청각장애에 대한 낮은 인식, 청각장애에 대한 전문성 신장의 어려움, 전문가 집단 간 협력적 접근의 어려움이었다. 셋째, 성공적인 청각장애아동 언어재활을 위해서 청각장애 인식개선과 수어 교육 접근성 강화, 청각장애 언어재활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 확대, 체계적인 청각장애 교육시스템 구축, 전문가 간 협력적 접근을위한 전문가 간 협조 시스템 구축, 정보 교류를 위한 자료 공유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이연구는 청각장애아동 언어재활을 담당하고 있는 언어재활사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는 점에서차별성이 있으며, 성공적인 청각장애아동 언어재활을 위한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difficulties, and need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in providing language intervention for deaf or hard of hearing (DHH) children.
      [Metho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six SLPs who specialize in language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HH. [Results] First, the reasons for the involvement of SLPs in the intervention of DHH children included academic interests, serendipitous encounters, and double majors in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 for DHH children involved sessions accompanied by caregivers, therapy room modifications reflecting DHH needs, and essential knowledge of audiology. SLPs emphasized that language intervention for DHH children must consider the child's age, degree of hearing loss, and type of hearing loss, necessitating that SLPs possess audiological knowledge. Second, the challenges faced in language intervention for DHH children included difficulties related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DHH, low awareness of DHH among caregivers, challenges in developing specialized expertise in DHH, and difficulties in collaborative approaches between SLPs and school teachers. Third, to enhance the success of language intervention for DHH children, it is crucial to improve awareness of DHH, strengthen sign language education, expand in-service training to boost expertise in DHH language intervention, establish a systematic DHH education system, and foster cooperation among experts, alongside sharing information relevant to language intervention for DHH children. [Conclusion] This study is unique in its qualitative approach to examining SLPs working with DHH children and significant in its analysis of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language intervention of DHH children.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difficulties, and need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in providing language intervention for deaf or hard of hearing (DHH) children. [Metho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difficulties, and need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in providing language intervention for deaf or hard of hearing (DHH) children.
      [Metho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six SLPs who specialize in language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HH. [Results] First, the reasons for the involvement of SLPs in the intervention of DHH children included academic interests, serendipitous encounters, and double majors in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 for DHH children involved sessions accompanied by caregivers, therapy room modifications reflecting DHH needs, and essential knowledge of audiology. SLPs emphasized that language intervention for DHH children must consider the child's age, degree of hearing loss, and type of hearing loss, necessitating that SLPs possess audiological knowledge. Second, the challenges faced in language intervention for DHH children included difficulties related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DHH, low awareness of DHH among caregivers, challenges in developing specialized expertise in DHH, and difficulties in collaborative approaches between SLPs and school teachers. Third, to enhance the success of language intervention for DHH children, it is crucial to improve awareness of DHH, strengthen sign language education, expand in-service training to boost expertise in DHH language intervention, establish a systematic DHH education system, and foster cooperation among experts, alongside sharing information relevant to language intervention for DHH children. [Conclusion] This study is unique in its qualitative approach to examining SLPs working with DHH children and significant in its analysis of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language intervention of DHH childre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