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듣기·말하기 교육에서 맥락 교육의 문제와 개선 방안 =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Context Education in Elementary Listening and Spea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59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 of context in elementary listening and speaking. Now, the education of context in elementary listening and speaking isn’t distinguish from general education of elementary listening and speaking. As a result, its education almost concentrates on the domain of social interaction as such gratings,compliments, consolations, and centers on one-way communication.
      For solving this problems, we need to convey context units to students.
      Also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linguistic context, non-linguistic context,social-cultural context. Based on these conditions, we have to derive the educational contents from three contexts. Because these processes make student’s awareness of contexts high.
      Another method of the context education is focused on comprehension not than expression. It is more realistic and useful in the education of context in elementary listening and speaking. Meanwhile, the most difficult thing in its education is to plan the authentic activities. It is nearly impossible to realize them at classroom. Therefore we need to collect linguistic materials that is close to students’s language lives, and provide them to students. At this time students must analyse these materials, compare with peer’s analyses, and inspect the effects of contexts in listening and speaking material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 of context in elementary listening and speaking. Now, the education of context in elementary listening and speaking isn’t distinguish from general education of elementary listening and speak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 of context in elementary listening and speaking. Now, the education of context in elementary listening and speaking isn’t distinguish from general education of elementary listening and speaking. As a result, its education almost concentrates on the domain of social interaction as such gratings,compliments, consolations, and centers on one-way communication.
      For solving this problems, we need to convey context units to students.
      Also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linguistic context, non-linguistic context,social-cultural context. Based on these conditions, we have to derive the educational contents from three contexts. Because these processes make student’s awareness of contexts high.
      Another method of the context education is focused on comprehension not than expression. It is more realistic and useful in the education of context in elementary listening and speaking. Meanwhile, the most difficult thing in its education is to plan the authentic activities. It is nearly impossible to realize them at classroom. Therefore we need to collect linguistic materials that is close to students’s language lives, and provide them to students. At this time students must analyse these materials, compare with peer’s analyses, and inspect the effects of contexts in listening and speaking mater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초등 듣기·말하기 교육에서의 맥락 교육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지금의초등 듣기·말하기 교과서의 맥락 교육은 기존의 지식, 기능, 태도 교육과 변별되지않는다. 교육 내용으로서의 맥락을 가르치고 있지도 않고, 학습 활동을 위한 상황맥락을 피상적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현재의 듣기·말하기 맥락 교육은 거의 다 인사, 칭찬, 감사, 위로 등과 같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 있는 것만다루고 있다. 그러면서도 사회적 상호작용이라는 말에 맞지 않게 일방향적인 소통중심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맥락을 학습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방식으로 단위화해야 하며, 초등 듣기·말하기 맥락 교육에서는 언어적, 비언어적, 사회·문화적 맥락을 도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맥락 교육내용을 추출하여 맥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교과서 중심의 교실 수업은 한계가 있으므로 듣기·말하기 맥락 교육은 이해 중심으로 가야 한다. 맥락을 고려한 듣기가 말하기보다 교재화하기도 쉬우면서 실제의 언어 사용에더 근접하기 때문이다. 한편 맥락 교육이 성공하려면 실제의 맥락과 유사한 언어 자료를 가져와 활동을 구안해야 하는데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만화, 영화, 드라마,동화, 소설 등에서 학생들의 언어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자료를 수집해서 이를분석해야 한다. 분석의 초점은 언어 자료에 관여한 맥락 요소들을 찾고, 이 요소들이표현과 이해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점검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현재 초등 듣기·말하기 교육에서의 맥락 교육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지금의초등 듣기·말하기 교과서의 맥락 교육은 기존의 지식, 기능, 태도 교육과 변별되지않는다. 교육 내용으로서�...

      현재 초등 듣기·말하기 교육에서의 맥락 교육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지금의초등 듣기·말하기 교과서의 맥락 교육은 기존의 지식, 기능, 태도 교육과 변별되지않는다. 교육 내용으로서의 맥락을 가르치고 있지도 않고, 학습 활동을 위한 상황맥락을 피상적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현재의 듣기·말하기 맥락 교육은 거의 다 인사, 칭찬, 감사, 위로 등과 같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 있는 것만다루고 있다. 그러면서도 사회적 상호작용이라는 말에 맞지 않게 일방향적인 소통중심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맥락을 학습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방식으로 단위화해야 하며, 초등 듣기·말하기 맥락 교육에서는 언어적, 비언어적, 사회·문화적 맥락을 도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맥락 교육내용을 추출하여 맥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교과서 중심의 교실 수업은 한계가 있으므로 듣기·말하기 맥락 교육은 이해 중심으로 가야 한다. 맥락을 고려한 듣기가 말하기보다 교재화하기도 쉬우면서 실제의 언어 사용에더 근접하기 때문이다. 한편 맥락 교육이 성공하려면 실제의 맥락과 유사한 언어 자료를 가져와 활동을 구안해야 하는데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만화, 영화, 드라마,동화, 소설 등에서 학생들의 언어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자료를 수집해서 이를분석해야 한다. 분석의 초점은 언어 자료에 관여한 맥락 요소들을 찾고, 이 요소들이표현과 이해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점검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nderson,L.W, "정의적 특성의 사정" 교육과학사 1984

      2 김혜정, "읽기의 맥락과 맥락 읽기" 한국독서학회 (21) : 33-79, 2009

      3 박정진, "읽기 교육에서의 콘텍스트: 의미와 적용" 한국독서학회 (21) : 9-31, 2009

      4 김지홍, "언어사용 밑바닥에 깔린 원리 (Using Language)" (도서출판) 경진문화 2009

      5 임천택, "새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 범주 ‘맥락’의 현장 소통 방안" 청람어문교육학회 (36) : 109-141, 2007

      6 노은희, "상황맥락의 도입을 통한 말하기 지도 연구" 서울대학교 1993

      7 이주섭, "상황 맥락을 반영한 말하기·듣기 교육 내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1

      8 한민경, "맥락 중심 읽기 교육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8

      9 이재기, "맥락 중심 문식성 교육 방법론" 청람어문교육학회 (34) : 99-128, 2006

      10 박창균, "말하기·듣기 수업에서의 맥락화 유형 분석 말하기·듣기 수업에서의 맥락화 유형 분석" 국어교육학회 (28) : 361-392, 2007

      1 Anderson,L.W, "정의적 특성의 사정" 교육과학사 1984

      2 김혜정, "읽기의 맥락과 맥락 읽기" 한국독서학회 (21) : 33-79, 2009

      3 박정진, "읽기 교육에서의 콘텍스트: 의미와 적용" 한국독서학회 (21) : 9-31, 2009

      4 김지홍, "언어사용 밑바닥에 깔린 원리 (Using Language)" (도서출판) 경진문화 2009

      5 임천택, "새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 범주 ‘맥락’의 현장 소통 방안" 청람어문교육학회 (36) : 109-141, 2007

      6 노은희, "상황맥락의 도입을 통한 말하기 지도 연구" 서울대학교 1993

      7 이주섭, "상황 맥락을 반영한 말하기·듣기 교육 내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1

      8 한민경, "맥락 중심 읽기 교육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8

      9 이재기, "맥락 중심 문식성 교육 방법론" 청람어문교육학회 (34) : 99-128, 2006

      10 박창균, "말하기·듣기 수업에서의 맥락화 유형 분석 말하기·듣기 수업에서의 맥락화 유형 분석" 국어교육학회 (28) : 361-392, 2007

      11 박창균, "듣기·말하기 교육에서 맥락 설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08

      12 김슬옹,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맥락’ 연구" 동국대 2010

      13 이도영, "국어과 정의적 영역의 평가 방법" 국어교육학회 11 : 2000

      14 김은성, "국어 문법 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 2006

      15 Spivey,N.N, "구성주의와 읽기·쓰기" 박이정 2004

      16 교육과학기술부, "교사용 지도서 초등학교 국어 4학년 1학기" 교육과학기술부 2010

      17 진선희, "개정교육과정(2007) 국어과 교육 내용 <맥락>의 교재화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277-308, 2007

      18 Halliday, M. A. K, "Language,Context"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19 김재봉,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맥락의 수용 문제" 한국국어교육학회 (77) : 69-98,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초등국어교육
      외국어명 :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4 1.4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