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의지와 발화 횟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076552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영어교육전공 , 2022. 2
2022
한국어
420 판사항(22)
충청북도
An Analysi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Students’ Willingness to Communicate in Online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vi, 124 p : 삽도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김윤규
참고문헌 : p. 109-116
I804:43012-00000003969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의지와 발화 횟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
본 연구는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의지와 발화 횟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을 관찰하여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Pearson r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생 영어 발화 횟수와 영어 의사소통 의지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셋째,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 중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과 과정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화 주체 중 학생이 전체 발화의 과반수의 발화 비율을 차지하였다. 교사의 발화 언어는 모국어가 가장 많았고, 학생의 발화 언어는 대부분 영어였다. 교사가 영어로 질문하였을 때 학생은 대부분 영어로 답변하였으며, 교사가 영어+모국어로 질문하였을 때 학생의 반응은 무반응이 가장 많았고, 교사가 모국어로 질문하였을 때는 모국어로 답변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교사의 질문 유형은 대부분 전시형 질문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실시간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에서의 학생의 영어 발화 횟수와 학생의 영어 의사소통 의지 점수 간 중간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수업 중 드러나는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이 개인의 기질적 특성의 발현임인 동시에 여러 교실 상황적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온라인 수업의 기술적 한계로 인한 소통의 어려움, 의사소통의 대상, 흥미도, 자신감이라는 네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 개인당 발화 횟수는 교사의 발화 횟수와 비교하였을 때 훨씬 적은 수치를 나타냈는데, 이는 온라인 수업에서 겪는 기술적인 문제와 정적인 학습 활동으로 인한 집중력 및 흥미도 저하 등으로 인해 학생들이 대면 수업에서보다 온라인 수업에서 발화를 적게 시도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교사의 발화 중 절반 이상이 모국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가 영어로 질문하였을 때 학생의 반응 횟수가 가장 높았고, 반응 언어 비율도 영어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온라인 수업에서 교사의 영어 질문이 학생의 참여를 높이는 데에 필수적임을 파악하였다.
셋째, 학생의 영어 발화는 교사-학생 간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과정에서 나타나기보다는 따라 말하기 등의 패턴 연습에서 발생한 것이었다. 참조형 질문보다는 전시형 질문이 교사의 질문 유형의 대부분이었다는 점에서도 교사-학생 간 실제적인 의사소통 과정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생의 영어 의사소통 의지 점수와 영어 발화 횟수 간 중간 정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교사는 교실 상황 속 학생의 영어 발화에 영향을 끼치는 개인적 및 상황적 요인을 파악하여 학생의 발화 시도를 높이고 영어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