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aim to know the meaning of king’s a posthumous epithet(國王諡號) between Korea and China in early 14th century. The period from late Goryeo to early Joseon was the period of changing in east asia. Goryeo and Joseon had to prepare f...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30825
2017
Korean
900
KCI등재
학술저널
229-262(34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 to know the meaning of king’s a posthumous epithet(國王諡號) between Korea and China in early 14th century. The period from late Goryeo to early Joseon was the period of changing in east asia. Goryeo and Joseon had to prepare f...
This study is aim to know the meaning of king’s a posthumous epithet(國王諡號) between Korea and China in early 14th century. The period from late Goryeo to early Joseon was the period of changing in east asia. Goryeo and Joseon had to prepare for the new world powers, Yuan(元) and Ming(明) dynasty and the new period in the same time. So they quickly took action to the changes of international situation. The king’s a posthumous epithet appeared in the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14th century was a result of this quick action.
Goryeo strengthened their royal authority. As a result they emphasized the relationship with the emperor of Ming dynasty by King’s a Posthumous Epithet. But Goryeo didn"t requested for it regularly because it was according on the political situation. Joseon used king’s a posthumous epithet as the tool to materialize their ideals. Especially Joseon emphasized The peaceful international order through mutual coexistence based on Confucian thought(事大字小) at relationship with Ming dynasty.
Ming dynasty also sought the same international order with Joseon. Joseon tried to build the trust with Ming dynasty by show them the image of feudal lord they wanted. For Joseon the king"s a posthumous epithet was important point with showing their trust to Ming dynasty. In this reason Joseon modified and maintained this formality, even though it was different with other east asian countries in the same period.
even without considering the relation with Ming dynasty, king’s a posthumous epithet was an important formality for Joseon. It’s because Joseon was a country sought the ideal society of confucian. For Joseon the grant of king’s a posthumous epithet, which is symbolizing feudal lord of the emperor of Ming dynasty was important tool to strengthen their legitimacy. In this reason, unlike Goryeo, Joseon asked for king’s a posthumous epithet to China whenever the king died.
The king’s a posthumous epithet symbolized that Goryeo and Joseon was the vassal status of Yuan or Ming dynasty. But there were also purposes like existence the nation and confucian ideological intention. There was no pluralistic order in this period, but they had to maintain the country and prepare for the new era. It’s the reason we can see the worries of Goryeo and Joseon from the king’s a posthumous epithe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록, "麗末鮮初 洪武帝의 高麗․朝鮮 認識과 外交關係" 명청사학회 (35) : 1-33, 2011
2 김경록, "홍무제의 대외인식과 조공제도의 정비" 명청사학회 (37) : 1-31, 2012
3 보르지기다이 에르데니 바타르, "팍스몽골리카와 고려" 혜안 2009
4 이규철, "조선초기의 對外征伐과 對明意識"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5 이현욱, "조선초기 보편적 즉위의례의 추구-사위(嗣位)" 60 : 2014
6 임민혁, "조선의 禮治와 왕권" 민속원 2012
7 안기혁, "조선시대 국왕행장의 제술과 기능 변화" 8 : 2014
8 남지대, "조선 태종의 왕위와 왕통의 정당화"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3) : 247-276, 2013
9 구도영, "조선 전기 朝明외교관계의 함수, ‘禮義之國’" 대동문화연구원 (89) : 159-204, 2015
10 채웅석, "원간섭기 성리학자들의 화이관과 국가관" 한국역사연구회 (49) : 99-124, 2003
1 김경록, "麗末鮮初 洪武帝의 高麗․朝鮮 認識과 外交關係" 명청사학회 (35) : 1-33, 2011
2 김경록, "홍무제의 대외인식과 조공제도의 정비" 명청사학회 (37) : 1-31, 2012
3 보르지기다이 에르데니 바타르, "팍스몽골리카와 고려" 혜안 2009
4 이규철, "조선초기의 對外征伐과 對明意識"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5 이현욱, "조선초기 보편적 즉위의례의 추구-사위(嗣位)" 60 : 2014
6 임민혁, "조선의 禮治와 왕권" 민속원 2012
7 안기혁, "조선시대 국왕행장의 제술과 기능 변화" 8 : 2014
8 남지대, "조선 태종의 왕위와 왕통의 정당화"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3) : 247-276, 2013
9 구도영, "조선 전기 朝明외교관계의 함수, ‘禮義之國’" 대동문화연구원 (89) : 159-204, 2015
10 채웅석, "원간섭기 성리학자들의 화이관과 국가관" 한국역사연구회 (49) : 99-124, 2003
11 임민혁, "왕의 이름 묘호" 문학동네 2010
12 최종석, "여말선초 명(明)의 예제(禮制)와 지방 성황제(城隍祭) 재편" 한국역사연구회 (72) : 207-251, 2009
13 최봉준, "여말선초 箕子 중심의 역사계승의식과 조선적 문명론" 한국사학사학회 (31) : 125-158, 2015
14 이민홍, "시법" 문자향 2005
15 고명수, "몽골의 ‘복속’ 인식과 蒙麗관계" 고려사학회 (55) : 43-79, 2014
16 정동훈, "명초 국제질서의 재편과 고려의 위상 –홍무 연간 명의 사신 인선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89) : 113-150, 2013
17 이경룡, "명초 金華학파의 華夷論 형성과 邊境 인식" 명청사학회 (24) : 185-224, 2005
18 정동훈, "명대의 예제 질서에서 조선국왕의 위상" 한국역사연구회 (84) : 251-292, 2012
19 이현진, "명․청의 賜祭․賜諡에 대한 조선의 대응" 조선시대사학회 (63) : 131-163, 2012
20 이강한, "공민왕 5년(1356) ‘反元改革’의 재검토" 대동문화연구원 (65) : 183-231, 2009
21 이명미, "고려-몽골 관계와 고려국왕 위상의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23 심재석, "高麗國王冊封硏究" 혜안 2002
24 장동익, "高麗史의 編纂過程에서 改書" 퇴계연구소 (46) : 269-303, 2010
25 李益柱, "高麗·元關係의 構造와 高麗後期 政治體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26 김순자, "韓國中世韓中關係史" 혜안 2007
27 汪受寬, "諡法硏究" 上海古籍出版社 1995
28 檀上寬, "永樂帝-華夷秩序の完成" 講談社 2012
29 안정희, "朝鮮初期의 事大論" 64 : 1997
30 박원호, "明初朝鮮關係史硏究" 一潮閣 2001
31 檀上寬, "明代海禁=朝貢ツステムと華夷秩序"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13
32 岩井茂樹, "明代中国の禮制覇権主義と東アジアの秩序" 85 : 2005
33 심재석, "功臣號를 통해 본 高麗國王冊封" 23 (23): 2000
34 李治安, "元大分封制度硏究" 中華書局 2007
35 김난옥, "『고려사』의 편찬과 조선전기 前朝史 인식" 한국사학회 (116) : 7-40, 2014
36 이익주, "14세기 후반 고려-원 관계의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53) : 351-397, 2016
37 이강한, "14세기 高麗 太廟의 혁신과 변천" 진단학회 (109) : 85-113, 2010
38 이개석, "14世紀初元朝支配體制의 再編과 그 背景" 서울대 1998
39 이익주, "1356년 공민왕 反元政治 再論" 역사학회 (225) : 57-88, 2015
40 최종석, "1356(공민왕 5)~1369년(공민왕 18) 고려-몽골(원) 관계의 성격 - ‘원간섭기’와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16) : 233-271, 2010
1920년대 조선총독부의 ‘경우대부사업(耕牛貸付事業)’ 운영과 성격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10-0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역사와 현실 -> 역사와 현실외국어명 : 미등록 -> YŎKSA WA HYŎNSIL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1 | 0.91 | 0.8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92 | 1.68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