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분석 = Analysis of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Flipped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667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거꾸로 수업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초·중·고등학교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거꾸로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여 과학교과에 대한 거꾸로 수업의 적용�...

      본 연구의 목적은 거꾸로 수업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초·중·고등학교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거꾸로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여 과학교과에 대한 거꾸로 수업의 적용을 위한 정보를 얻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집단을 통해 거꾸로 수업에 대한 교사 인식 문항을 개발하였다. 교사의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거꾸로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이해 정도는 기존 연구(Park & Cha, 2015)에 비해 높아졌으며, 교사들이 과학 교과를 거꾸로 수업 적용이 적절한 교과로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도 다시 확인하였다. 거꾸로 수업 도입의 영향과 필요성에서 모두 다소 긍정적인 수준인 보통 이상의 응답을 보였지만, 도입 필요성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다소 낮은 응답을 나타냈다. 수행 준비 정도에 대해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다소 부족하다는 의견을 보였고, 기존 수업에 비해 거꾸로 수업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거꾸로 수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으로 수업설계능력을 선택한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학습자료 제작 능력이 그 다음이었다. 이는 Shin et al.(2016a)에서 교사들이 부담을 느꼈던 부분과 일치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거꾸로 수업의 도입에 대해 교사들의 일반적인 인식은 다소 긍정적이나 실제 적용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거나 수행을 위한 준비가 부족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 교과의 경우 다른 교과에 비해 거꾸로 수업 적용에 대한 교사의 저항은 적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고, 교사들이 기존 과학 수업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거꾸로 수업을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and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learning for science class, through investigating perceptions of 100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and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learning for science class, through investigating perceptions of 100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s for teacher’s perceptions about flipped learning were developed by the expert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understanding of flipped learning was higher than in previous studies (Park& Cha, 2015), and the fact that teachers are aware of science as an appropriate subject for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was confirmed again. Most teachers selected instructional design skills as the most needed ability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flipped learning, which is followed by material production skills. Two skills are related to difficulties presented in Shin et al.(2016a). Based on these results, teachers’ opposition to flipped learning applied in science class is expected to be low, compared to other subject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 applicability of flipped learning may be a solution to the current science class in which teachers’ lecture takes up most part of the less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 II.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 2. 분석 도구 및 과정
      •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 I. 서 론
      • II.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 2. 분석 도구 및 과정
      •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 1.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 2. 거꾸로 수업의 수행을 위한 준비와 능력에 대한 인식
      • I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영순, "핵심역량과 융합교육에 초점을 둔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방향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321-330, 2014

      2 신명경, "학생중심성에 초점을 맞춘 교사 연수프로그램을 통한 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과 학습에 대한 신념 변화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25 (25): 53-62, 2004

      3 이희숙,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47-57, 2015

      4 이동엽,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83-92, 2013

      5 이상균, "프로젝트 기반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6 (6): 78-86, 2013

      6 이은아,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용 수업이 메타인지와 과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7 (7): 54-63, 2014

      7 양일호, "초·중등학교 과학 실험수업의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235-241, 2007

      8 김순식, "문제발견 중심의 과학토론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7 (7): 133-143, 2014

      9 김남익, "대학에서의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 사례 설계 및 효과성 연구: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0 (30): 467-492, 2014

      10 김동일, "대학 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0 (10): 195-214, 2009

      1 곽영순, "핵심역량과 융합교육에 초점을 둔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방향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321-330, 2014

      2 신명경, "학생중심성에 초점을 맞춘 교사 연수프로그램을 통한 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과 학습에 대한 신념 변화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25 (25): 53-62, 2004

      3 이희숙,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47-57, 2015

      4 이동엽,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83-92, 2013

      5 이상균, "프로젝트 기반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6 (6): 78-86, 2013

      6 이은아,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용 수업이 메타인지와 과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7 (7): 54-63, 2014

      7 양일호, "초·중등학교 과학 실험수업의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235-241, 2007

      8 김순식, "문제발견 중심의 과학토론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7 (7): 133-143, 2014

      9 김남익, "대학에서의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 사례 설계 및 효과성 연구: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0 (30): 467-492, 2014

      10 김동일, "대학 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0 (10): 195-214, 2009

      11 소경희,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한국비교교육학회 20 (20): 27-50, 2010

      12 고은정, "과학교과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세계의 동향에 준거하여 우리나라 현장 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535-547, 2014

      13 신영준,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초등학교 과학과 생명 영역 수업의 효과 탐색" 한국생물교육학회 44 (44): 60-71, 2016

      14 신영준,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에서 과학 교사들이 겪는 인식과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159-166, 2016

      15 박태정,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교육적 활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교사 인식 조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81-97, 2015

      16 Lee, B. H., "The effects of lesson with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5

      17 Jeong, J., "The effect of elementary science class with flipped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5

      18 Ministry of Education, "The announcement of decision about the master plan of science education"

      19 Ministry of Education, "The announcement of decision about the general and the particular introduction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 Goodwin, B., "Research says / evidence on flipped classrooms is still coming in" 70 (70): 78-80, 2013

      21 Lee, K., "Redesign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developing future Koreans' core competences" KICE 2009

      22 Green, D. E., "Practice corner : is radiology education ready for a flipped classroom?" 33 (33): 533-534, 2013

      23 Lage, M., "Inverting the classroom : A gateway to creating an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31 (31): 30-43, 2000

      24 KBS, "Flipped classroom! [KBS Panorama 21th education revolution-finding the future class]"

      25 Bergmann, J.,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ASCD 2012

      26 Lee, K., "Design of the competenciesba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uture society" KICE 2012

      27 OEC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2003

      28 Bull, G., "Connected classroom-inventing the flipped classroom" 40 (40): 10-11, 2012

      29 Rotherham, A. J., "21st-Century skills" 17-20,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