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취업 교육생의 IT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eemployment Trainees’ IT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Willing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40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d the effects of IT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will to start a new business by reemployment trainees. A survey was carried out on 187 reemployment trainees from May 15, 2017 until July 15, 2017. The SPSS 22.0 Program was utilized as the analysis method, and a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Research showed that statistics for IT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will to start a new business by reemployment trainees was higher than the overall average,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T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Willingness. Reemployment trainees' IT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 factor Entrepreneurship Willingness,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b factors such as education content, lecturer, and education facilities. This research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baseline data for manag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that increases reemployment trainees' Entrepreneurship Willingness through IT entrepreneurship education.
      번역하기

      This research analyzed the effects of IT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will to start a new business by reemployment trainees. A survey was carried out on 187 reemployment trainees from May 15, 2017 until July 15, 2017. The SPSS 22.0 Program was ut...

      This research analyzed the effects of IT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will to start a new business by reemployment trainees. A survey was carried out on 187 reemployment trainees from May 15, 2017 until July 15, 2017. The SPSS 22.0 Program was utilized as the analysis method, and a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Research showed that statistics for IT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will to start a new business by reemployment trainees was higher than the overall average,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T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Willingness. Reemployment trainees' IT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 factor Entrepreneurship Willingness,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b factors such as education content, lecturer, and education facilities. This research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baseline data for manag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that increases reemployment trainees' Entrepreneurship Willingness through IT entrepreneurship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는 재취업 교육생의 IT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재취업 교육생 187명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15일부터 2017년 7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취업 교육생의 IT창업교육, 창업의지에 대한 기술통계는 전체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IT창업교육과 창업의지와의 관련성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재취업 교육생의 IT창업교육은 하위요인인 교육내용과 강사 및 교육시설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습구성원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T창업교육에 대한 학습구성원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창업의지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재취업 교육생의 IT창업교육을 통하여 창업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창업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연구는 재취업 교육생의 IT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재취업 교육생 187명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15일부터 2017년 7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연구는 재취업 교육생의 IT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재취업 교육생 187명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15일부터 2017년 7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취업 교육생의 IT창업교육, 창업의지에 대한 기술통계는 전체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IT창업교육과 창업의지와의 관련성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재취업 교육생의 IT창업교육은 하위요인인 교육내용과 강사 및 교육시설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습구성원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T창업교육에 대한 학습구성원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창업의지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재취업 교육생의 IT창업교육을 통하여 창업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창업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종호, "특수교육용 실감형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시스템 설계"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8 (8): 163-168, 2015

      2 이재석,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의 관계: 기업가 지향성과 환경적 요인의 조절효과" 한국벤처창업학회 10 (10): 61-74, 2015

      3 박재환, "창업교육 만족도 및 참여 동기가 창업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대학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산업경제학회 22 (22): 959-977, 2009

      4 김재호, "창업 및 재취업 교육이 재취업불안, 재취업스트레스,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71-81, 2016

      5 주진화, "양바퀴 이동로봇의 자세제어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10 (10): 587-593, 2017

      6 "http://kostat.go.kr/"

      7 H. J. Lee,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retireesin Food Service Industry" 2011

      8 M. S. Kang, "Effects of Service Quality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up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2013

      9 S. K. An,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2016

      10 Souitaris, V., "Do entrepreneurship programmes rais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he effect of learning, inspiration and resources" 22 (22): 566-591, 2007

      1 최종호, "특수교육용 실감형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시스템 설계"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8 (8): 163-168, 2015

      2 이재석,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의 관계: 기업가 지향성과 환경적 요인의 조절효과" 한국벤처창업학회 10 (10): 61-74, 2015

      3 박재환, "창업교육 만족도 및 참여 동기가 창업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대학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산업경제학회 22 (22): 959-977, 2009

      4 김재호, "창업 및 재취업 교육이 재취업불안, 재취업스트레스,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71-81, 2016

      5 주진화, "양바퀴 이동로봇의 자세제어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10 (10): 587-593, 2017

      6 "http://kostat.go.kr/"

      7 H. J. Lee,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retireesin Food Service Industry" 2011

      8 M. S. Kang, "Effects of Service Quality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up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2013

      9 S. K. An,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2016

      10 Souitaris, V., "Do entrepreneurship programmes rais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he effect of learning, inspiration and resources" 22 (22): 566-591, 2007

      11 D. W. Lee, "A Study on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Small Businesses on Educational Outcom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