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살시도자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를 조사하고, 감성지능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B 광역시와 K 지역 소재의 10개의 병원에서 근무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34383
부산 :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동아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응급전문간호전공] , 2015.2
2015
한국어
512.8 판사항(5)
부산
v, 52 p. : 삽도; 26 cm
권말부록:1. SOQ 도구 사용 승인서 외
참고문헌: p.32-3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살시도자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를 조사하고, 감성지능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B 광역시와 K 지역 소재의 10개의 병원에서 근무하는 ...
본 연구는 자살시도자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를 조사하고, 감성지능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B 광역시와 K 지역 소재의 10개의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24명으로, 2014년 7월 3일부터 8월 31일까지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감성지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Wong 과 Law (2002)가 개발한 WLEIS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egence Scale)를 최지현(2010)이 번안한 도구를, 자살시도자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Domino 등(1982)이 개발한SOQ (Suicide Opinion Questionnaire)를 임의진(2010)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와 일원변량분석(ANOVA),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살시도자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는 5점 척도 중 2.61점으로 가치중립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하부요인별로는 위험도 요인(3.17점)이 가장 높게 나온 반면, 정상적 행위 요인(1.86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연령이 25세 이상이거나, 기혼자이며, 종교가 있거나, 임상경력과 현재 부서의 경력이 3년 이상인 그룹이 자살시도자에 대한 태도가 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감성지능의 평균점수는 7점 척도 중 4.73점으로 나타났다.
4. 감성지능과 자살시도자에 대한 태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r=-.113 p<.091). 그러나 자살시도자에 대한 태도의 하부요인 중 도덕/윤리 요인은 감성지능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태도의 허용도 요인과 정상적 행위 요인, 동기 요인, 문화 요인은 감성지능과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자살시도자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는 가치중립적이었으며, 감성지능과 자살시도자에 대한 태도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자살시도자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과는 상관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증가하는 자살시도자를 관리하고 그들이 낙인 및 차별로 인해 치료과정에서 탈락을 경험하지 않도록 의료인의 태도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추후 자살시도자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에 영향을 주는 감성지능을 포함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와, 부정적인 태도개선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을 시도한 실험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attitude of nurs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and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ttitud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The subjects included 224 nurses working in 10...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attitude of nurs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and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ttitud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The subjects included 224 nurses working in 10 hospital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K region, an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from July 3, 2014 to August 31, 2014 to collect data.
A tool modified by Choi (2010) of WLEIS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developed by Wong and Law (2002) was used to measure emotional intelligence, and a tool modified by Lim (2010) of SOQ (Suicide Opin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Domino et al. (1982) was used to measure the attitude of nurs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PASW statistics 18.0. and then subjected to analyses using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ttitude of nurs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showed a value-neutral attitude with 2.61 points in a 5-point scale.
2. The group who have 25 years old or older, are married, have a religion, and have at least 3-years clinical experience and work experience at the current department showed a less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3. The mean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4.73 points in a 7-point scale.
4.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observed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ttitud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r=-.113 p<.091). However, morality/ethics factor among the factors of attitud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while tolerance factor, normal behavior factor, motive factor, and culture factor manifest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From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e of nurs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was value-neutral a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was not correlated to attitud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 but was correlated to the sub-factor of attitudes to the attempted suic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studies aimed to improve the attitude of healthcare professionals so as to manage increasing attempted suicides and for the suicide attempter not to experience dropouts from the course of treatment due to stigma and discrimination in clinical practice. Further studies about a variety of variables including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ing the attitude of nurs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and experimental studies abou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negative attitud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