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끌로드 모네(Claude Monet)의 작품에 관한 연구 : 지베르니기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45950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경기대학교, 200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2002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형태사항

        ⅲ, 66 [장]: 삽도; 26 cm.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끌로드 모네(Claude Monet, 1840∼1926)는 인상주의의 작가로 간주되고 있다. 사실주의의 객관성에서 벗어나 감성적 직관에 의해서 빛을 포착하려는 그는, 그 어느 인상주의 화가들보다도 시각적 특성이 뛰어났기 때문일 것이다. 더욱이 모네가 다른 인상주의 화가들과 구별되어 지는 것도, 이러한 시각에서 비롯되는데 그것은 모네에 대한 폴 세잔(Paul Cezanne, 1839∼1906)의 유명한 말에서 적절히 나타나고 있다. "모네에겐 오직 한가지 눈밖엔 없다. 그러나 그 눈이 어떤 눈이었던가 !" 이러한 시각적 특성으로 인하여 모네에게 있어서 대상의 선택은 하나의 방법론으로 등장하며, 이같은 연유로 말미암아 대개는 모네의 작품 과정을 설정하는 시기 중 베떼이유(Vetheil)시기(1878∼1881)나 지베르니(Giverny)시기(1883 ∼1926)에 나온 많은 연작들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또한, 인상주의는 하나의 혁명으로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미학에 있어서 인상주의는 하나의 획기적인 사실을 우리에게 제시하였다. 그것은 시각의 혁명이다.
      인상주의자들은 종래의 시각을 거부하였고, 그들이 교육되어지고 길들여진 대상에 대한 선입견을 철저히 배제한 채, 화면에 자가들이 본바, 그대로 작가의 감성적 직관에 의지해 그렸던 것이다. 비록 그 사물을 형태와 고유의 색채를 통해서는 아닐지 모르지만 지각된 형태를 통해 물체를 표현하고 있다. 인상주의는 기존의 권위나 과거의 형식에서 이탈하여 진부하고 무의미해진 회화의 인습을 밝히려는 데서 시작되었는데 모네는 이러한 운동의 지도자로 활동하면서 또한 그러한 인상주의자들과 구별되어지는 회화 세계를 열었다. 즉 사실주의의 객관성에서 벗어나 감성적 직관에 의해서 빛을 포착하려는 그의 시각의 특성에서 다른 인상주의 화가들과 구별된다.
      모네의 눈은 깊이감 보다는 펼쳐진 면으로서 자연을 보았고 형태를 나타낼 때에는 어두움 대신에 선명한 색조로 빛의 진동을 표현했다. "모네는 눈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얼마나 희한한 눈인가 !" 세잔느의 이러한 표현도 외광 가운데서 자연을 대하는 모네의 시각적 특성을 말해 주고 있다.
      모네 작품의 변화사를 보면, 1872년에서 1878년까지 아르쟝떼이유(Argenteuil)에 체류하게 되는데, 이시기를 아르쟝떼이유기라고 부른다. 이때 그 유명한 〈인상, 해돋이〉를 그렸다.
      1878년 초부터 1881년까지를 베떼이유기라 한다. 베떼이유기의 모네는 시골 풍경의 해설자가 되기를 원하여 자연을 관찰하고, 자연의 여러 현상들을 묘사했다
      1883년부터 지베르니에 정착하여 1926년 그가 죽을 때까지 43년이라는 시간동안 작업 생활을 펼쳐나가게 된다. 이 시기를 지베르니기라고 하는데, 그는 자기의 것으로 만들어 갈 수 있는 환경들과 여기서 만나게 되고, 혼신을 다한 창작 활동을 통하여 화법의 다양성과 혁신가로서의 면모를 보여 주게 된다. 모네는 순간적인 것을 재현하기 위해서 야외에 이젤을 세우고 주제의 재현에 착수하면서 인상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인상 자체를 표현하는 진정한 창조적 혁명을 이룩했으며 물체의 고정적 관념에서 탈피하여 독자적인 색의 세계, 즉 빛 위주의 자연을 창조하였다. 무엇을 그려야 하는가 보다는 어떻게 보는가를 더 중요시 여겼던 것이다. 이러한 모네의 시각적 특성으로 지베르니에서 〈짚가리〉 〈포플러〉 〈루앙대성당〉 〈수련〉 등의 연작들을 그리게 된다. 이 연작들은 지베르니 이전의 작품들보다 복잡한 양상을 띄며 다소 양식적 차이점을 지닌다. 〈짚가리〉 〈포플라〉 연작은 색채와 구도의 변화로서 표현되어지고, 〈루앙 대성당〉은 동일 구도로써, 빛의 효과만을 변화하는 경우이다. 〈수련〉에서는 모네의 색채에 대한 집착을 알 수 있다. 지베르니기에서 작가는 인상을 그대로 재현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 인상 자체를 표현하려는 예술을 향한 진정한 창조적 혁명을 이룩했으며, 전통적인 회화 세계에서 탈피하여 자유스러운 표현과 수법을 말해 주었고, 물체의 고정적 관념에서 해방되어 독자적인 색의 세계, 즉 빛 위주의 자연을 창조 했다. 그리하여 빛에 치중하여 이에 따르는 색조의 지배적인 표현으로 회화상의 여러 구성요소가 제외 되었을 뿐만 아니라 문학적이고 사회적인 외양요소도 사라지게 되었다.

      번역하기

      끌로드 모네(Claude Monet, 1840∼1926)는 인상주의의 작가로 간주되고 있다. 사실주의의 객관성에서 벗어나 감성적 직관에 의해서 빛을 포착하려는 그는, 그 어느 인상주의 화가들보다도 시각적 ...

      끌로드 모네(Claude Monet, 1840∼1926)는 인상주의의 작가로 간주되고 있다. 사실주의의 객관성에서 벗어나 감성적 직관에 의해서 빛을 포착하려는 그는, 그 어느 인상주의 화가들보다도 시각적 특성이 뛰어났기 때문일 것이다. 더욱이 모네가 다른 인상주의 화가들과 구별되어 지는 것도, 이러한 시각에서 비롯되는데 그것은 모네에 대한 폴 세잔(Paul Cezanne, 1839∼1906)의 유명한 말에서 적절히 나타나고 있다. "모네에겐 오직 한가지 눈밖엔 없다. 그러나 그 눈이 어떤 눈이었던가 !" 이러한 시각적 특성으로 인하여 모네에게 있어서 대상의 선택은 하나의 방법론으로 등장하며, 이같은 연유로 말미암아 대개는 모네의 작품 과정을 설정하는 시기 중 베떼이유(Vetheil)시기(1878∼1881)나 지베르니(Giverny)시기(1883 ∼1926)에 나온 많은 연작들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또한, 인상주의는 하나의 혁명으로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미학에 있어서 인상주의는 하나의 획기적인 사실을 우리에게 제시하였다. 그것은 시각의 혁명이다.
      인상주의자들은 종래의 시각을 거부하였고, 그들이 교육되어지고 길들여진 대상에 대한 선입견을 철저히 배제한 채, 화면에 자가들이 본바, 그대로 작가의 감성적 직관에 의지해 그렸던 것이다. 비록 그 사물을 형태와 고유의 색채를 통해서는 아닐지 모르지만 지각된 형태를 통해 물체를 표현하고 있다. 인상주의는 기존의 권위나 과거의 형식에서 이탈하여 진부하고 무의미해진 회화의 인습을 밝히려는 데서 시작되었는데 모네는 이러한 운동의 지도자로 활동하면서 또한 그러한 인상주의자들과 구별되어지는 회화 세계를 열었다. 즉 사실주의의 객관성에서 벗어나 감성적 직관에 의해서 빛을 포착하려는 그의 시각의 특성에서 다른 인상주의 화가들과 구별된다.
      모네의 눈은 깊이감 보다는 펼쳐진 면으로서 자연을 보았고 형태를 나타낼 때에는 어두움 대신에 선명한 색조로 빛의 진동을 표현했다. "모네는 눈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얼마나 희한한 눈인가 !" 세잔느의 이러한 표현도 외광 가운데서 자연을 대하는 모네의 시각적 특성을 말해 주고 있다.
      모네 작품의 변화사를 보면, 1872년에서 1878년까지 아르쟝떼이유(Argenteuil)에 체류하게 되는데, 이시기를 아르쟝떼이유기라고 부른다. 이때 그 유명한 〈인상, 해돋이〉를 그렸다.
      1878년 초부터 1881년까지를 베떼이유기라 한다. 베떼이유기의 모네는 시골 풍경의 해설자가 되기를 원하여 자연을 관찰하고, 자연의 여러 현상들을 묘사했다
      1883년부터 지베르니에 정착하여 1926년 그가 죽을 때까지 43년이라는 시간동안 작업 생활을 펼쳐나가게 된다. 이 시기를 지베르니기라고 하는데, 그는 자기의 것으로 만들어 갈 수 있는 환경들과 여기서 만나게 되고, 혼신을 다한 창작 활동을 통하여 화법의 다양성과 혁신가로서의 면모를 보여 주게 된다. 모네는 순간적인 것을 재현하기 위해서 야외에 이젤을 세우고 주제의 재현에 착수하면서 인상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인상 자체를 표현하는 진정한 창조적 혁명을 이룩했으며 물체의 고정적 관념에서 탈피하여 독자적인 색의 세계, 즉 빛 위주의 자연을 창조하였다. 무엇을 그려야 하는가 보다는 어떻게 보는가를 더 중요시 여겼던 것이다. 이러한 모네의 시각적 특성으로 지베르니에서 〈짚가리〉 〈포플러〉 〈루앙대성당〉 〈수련〉 등의 연작들을 그리게 된다. 이 연작들은 지베르니 이전의 작품들보다 복잡한 양상을 띄며 다소 양식적 차이점을 지닌다. 〈짚가리〉 〈포플라〉 연작은 색채와 구도의 변화로서 표현되어지고, 〈루앙 대성당〉은 동일 구도로써, 빛의 효과만을 변화하는 경우이다. 〈수련〉에서는 모네의 색채에 대한 집착을 알 수 있다. 지베르니기에서 작가는 인상을 그대로 재현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 인상 자체를 표현하려는 예술을 향한 진정한 창조적 혁명을 이룩했으며, 전통적인 회화 세계에서 탈피하여 자유스러운 표현과 수법을 말해 주었고, 물체의 고정적 관념에서 해방되어 독자적인 색의 세계, 즉 빛 위주의 자연을 창조 했다. 그리하여 빛에 치중하여 이에 따르는 색조의 지배적인 표현으로 회화상의 여러 구성요소가 제외 되었을 뿐만 아니라 문학적이고 사회적인 외양요소도 사라지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laude Monet (1840-1926)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the most outstanding figure among Impressionists. He had a different sense of vision from any other Impressionists because he tried to catch the lights on the basis of his sense of intuition as growing out of objectivity of forinalism. This fact can separate him from other Impressionists. Paul Cezanne (1839-1906) pointed out that Monet had only one eye but he got great eye.
      He became to consider choosing an object as one of methodologies due to these different senses of vision. Most of studies about Monet's paintings mainly have dealt with pictures of series that were made during his staying at Vetheil(1878-1881) or Giverny(1833-1926) cause of these reasons.
      We also consider Impressionism as one of innovation. In esthetics, Impressionism suggested an epoch making event to us, that is, an innovation of vision.
      They denied an existing viewpoint of other painters. As removing their prejudice that was educated and trained for a target, they made pictures according to their sense of intuition and what they saw. Even if they did not present things through the form of things and original color, they expressed things through form that was perceived. Impressionism began to disclose a tradition of drawing that became an old fashioned and meaningless by escaping from an authority and form that were already existed. Monte has acted as a leader of this Impressionism movement and on the other hand he has opened his specific drawing world that was different from these Impressionists. That is, his different sense of vision that he tried to catch the lights on the basis of his sense of intuition as growing out of objectivity of formalism may distinguish him from other Impressionists.
      Monet saw the nature horizontally rather than vertically and when he presented a figure of darkness he used a bright color that looked like a light vibration.
      He painted two great pictures, Portrait and Sunrise, during his staying at Argenteuil(1872-1878) and this period is call Argenteuil. During his artistic year of 1878-1881, he painted various natural phenomenon that showed his desire of interpreter of nature. He settled down at Giverny in 1883 and had drawn many pictures during 43 years until he passed away in 1926 and this period called Giverny.
      Within this period, he met his favorable circumstance of nature and through his own creative work he showed various paintings and finally became innovator of painting.
      It was more important to him to capture expression at the moment itself. He finally created a nature focused on lights and own colored world beyond formal sense.
      Monet analyzed in his painting the effects of changing light; in order to capture changing conditions he painted entire series of pictures, transforming nature into art.
      How to see is more important than how to paint. With this mind, he painted some series pictures such as Haystacks, Poplar, Rouen Cathedral, Water-lilies. These series pictures show more complicated and different aspect than his previous period painting. Haystacks and Poplar series express a change of color and structure. Rouen Cathedral series is same style but use different color effect. Water-lilies series picture shows his color adherence.
      During Giverny period, Monet made a creative innovation differ from other Impressionists. Beyond the formalistic art manner, he created own colored word, that is, nature of lights. Therefore, this mainstream of color expression eliminated various drawing structures as well as literate and social formal elements.

      번역하기

      Claude Monet (1840-1926)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the most outstanding figure among Impressionists. He had a different sense of vision from any other Impressionists because he tried to catch the lights on the basis of his sense of intuition as gr...

      Claude Monet (1840-1926)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the most outstanding figure among Impressionists. He had a different sense of vision from any other Impressionists because he tried to catch the lights on the basis of his sense of intuition as growing out of objectivity of forinalism. This fact can separate him from other Impressionists. Paul Cezanne (1839-1906) pointed out that Monet had only one eye but he got great eye.
      He became to consider choosing an object as one of methodologies due to these different senses of vision. Most of studies about Monet's paintings mainly have dealt with pictures of series that were made during his staying at Vetheil(1878-1881) or Giverny(1833-1926) cause of these reasons.
      We also consider Impressionism as one of innovation. In esthetics, Impressionism suggested an epoch making event to us, that is, an innovation of vision.
      They denied an existing viewpoint of other painters. As removing their prejudice that was educated and trained for a target, they made pictures according to their sense of intuition and what they saw. Even if they did not present things through the form of things and original color, they expressed things through form that was perceived. Impressionism began to disclose a tradition of drawing that became an old fashioned and meaningless by escaping from an authority and form that were already existed. Monte has acted as a leader of this Impressionism movement and on the other hand he has opened his specific drawing world that was different from these Impressionists. That is, his different sense of vision that he tried to catch the lights on the basis of his sense of intuition as growing out of objectivity of formalism may distinguish him from other Impressionists.
      Monet saw the nature horizontally rather than vertically and when he presented a figure of darkness he used a bright color that looked like a light vibration.
      He painted two great pictures, Portrait and Sunrise, during his staying at Argenteuil(1872-1878) and this period is call Argenteuil. During his artistic year of 1878-1881, he painted various natural phenomenon that showed his desire of interpreter of nature. He settled down at Giverny in 1883 and had drawn many pictures during 43 years until he passed away in 1926 and this period called Giverny.
      Within this period, he met his favorable circumstance of nature and through his own creative work he showed various paintings and finally became innovator of painting.
      It was more important to him to capture expression at the moment itself. He finally created a nature focused on lights and own colored world beyond formal sense.
      Monet analyzed in his painting the effects of changing light; in order to capture changing conditions he painted entire series of pictures, transforming nature into art.
      How to see is more important than how to paint. With this mind, he painted some series pictures such as Haystacks, Poplar, Rouen Cathedral, Water-lilies. These series pictures show more complicated and different aspect than his previous period painting. Haystacks and Poplar series express a change of color and structure. Rouen Cathedral series is same style but use different color effect. Water-lilies series picture shows his color adherence.
      During Giverny period, Monet made a creative innovation differ from other Impressionists. Beyond the formalistic art manner, he created own colored word, that is, nature of lights. Therefore, this mainstream of color expression eliminated various drawing structures as well as literate and social formal ele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i
      • I. 서론
      • 1-1. 연구 목적=1
      • 1-2. 연구 내용 및 방법=2
      • 목차
      • 국문초록=i
      • I. 서론
      • 1-1. 연구 목적=1
      • 1-2. 연구 내용 및 방법=2
      • II. 모네와 인상주의
      • 2-1. 인상주의 미학=3
      • 2-2. 모네와 인상주의=11
      • III. 모네 작품의 특징
      • 3-1. 모네 작품의 시각적 특성=17
      • 3-2. 모네 작품의 표현기법=22
      • IV. 모네의 지베르니기(1883~1926)의 작품 분석=26
      • 4-1. 짚가리 연작=29
      • 4-2. 포플러 연작=33
      • 4-3. 루앙 대성당 연작=35
      • 4-4. 수련 연작=39
      • V. 모네 회화의 미관과 시각적 특성의 의의=44
      • VI. 결론=49
      • 작가 연보=50
      • 참고 문헌=54
      • 도판 목록=56
      • 도판=58
      • Abstract=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