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습자의 심미적 정서 유발을 위한 교사의 역할 - 비고츠키(Vygotsky) 예술심리학을 중심으로 - = The role of teachers to evoke aesthetic emotions in learners -Focused on Vygotsky’s Psychology of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421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ole of the teacher in evoking the aesthetic emotions of learners in literature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 aesthetic emotion in narrative communication was examined with Vygotsky’s Psychology of Art, and the necessity of literary education was confirm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aesthetic emotion of children’s readers. This study looked at the origin of aesthetic emotions in children’s and youth literature works and further explored the role of teachers to evoke learners’ ‘aesthetic emotions’.
      As a result, aesthetic emotions arise when the emotions arising from the materials and forms of art cause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with each other. It is a state of transformation (catharsis) into a new state of emotion that has not been experienced at the previous level of consciousness. It is the driving force and higher mental function to expand the existing perception and perception in a broader and deeper way than before.
      Teachers should help children’s readers to recognize the emotions arising from the materials and forms of children’s and youth literature by dynamically interacting with the text. Teachers can use points of conflict between ① the event and the style, ② the event and the narrator’s voice, and ③ the character and the narrator’s voice. In order to induce the learner’s aesthetic emotions, first, the teacher should guide the learner to easily understand the confrontation of the elements involved in the point of contradiction and conflict. Second, at the point where the materials and forms of literary works contradict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linguistic stimulus to maximize and feel the opposing effects of the forms. Third, teachers should provide various linguistic assistance including their own thinking processes so that the unconsciously formed emotion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new thoughts and emotions through emotional conflict are materialized in the learners’ consciousne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ole of the teacher in evoking the aesthetic emotions of learners in literature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 aesthetic emotion in narrative communication was examined with Vygotsky’s Psych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ole of the teacher in evoking the aesthetic emotions of learners in literature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 aesthetic emotion in narrative communication was examined with Vygotsky’s Psychology of Art, and the necessity of literary education was confirm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aesthetic emotion of children’s readers. This study looked at the origin of aesthetic emotions in children’s and youth literature works and further explored the role of teachers to evoke learners’ ‘aesthetic emotions’.
      As a result, aesthetic emotions arise when the emotions arising from the materials and forms of art cause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with each other. It is a state of transformation (catharsis) into a new state of emotion that has not been experienced at the previous level of consciousness. It is the driving force and higher mental function to expand the existing perception and perception in a broader and deeper way than before.
      Teachers should help children’s readers to recognize the emotions arising from the materials and forms of children’s and youth literature by dynamically interacting with the text. Teachers can use points of conflict between ① the event and the style, ② the event and the narrator’s voice, and ③ the character and the narrator’s voice. In order to induce the learner’s aesthetic emotions, first, the teacher should guide the learner to easily understand the confrontation of the elements involved in the point of contradiction and conflict. Second, at the point where the materials and forms of literary works contradict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linguistic stimulus to maximize and feel the opposing effects of the forms. Third, teachers should provide various linguistic assistance including their own thinking processes so that the unconsciously formed emotion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new thoughts and emotions through emotional conflict are materialized in the learners’ conscious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문학교육에서 학습자의 심미적 정서 유발을 위한 교사의 역할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비고츠키의 예술심리학을 중심으로 서사 소통에서 심미적 정서의 개념을 고찰하고 아동독자의 심미적 정서 발생 과정에서 문학교육의 필요성 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동⋅청소년문학 작품에서 심미적 정서의 발생 지점을 살펴보고 나아가 학습자의 ‘심미적 정서’를 유발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언어적 조력의 측면에서 모색해보았다.
      심미적 정서란 예술의 재료와 형식에서 발생하는 정서가 서로 갈등과 모순을 일으킴으로써 발생한다. 이전의 의식 수준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상태의 정서로 변모된 상태(카타르시스)이다. 기존의 지각과 인식을 이전보다 폭넓고 깊이 있게 확장해 나가게 하는 동력이자 고등정신기능이다.
      교사는 아동독자가 텍스트와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아동⋅청소년문학 작품의 재료와 형식에서 비롯되는 정서를 인식할 수 있도록 ① 사건과 문체 ② 사건과 서술자의 목소리 ③ 인물과 서술자의 목소리 사이의 갈등 지점을 활용할 수 있다. 학습자의 심미적 정서를 유발하기 위해 교사는 첫째, 모순과 갈등의 지점에 관여하는 요소들의 대립을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둘째, 문학작품의 재료와 형식이 모순되는 지점에서 형식이 유발하는 상반된 효과를 극대화하여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언어적 자극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정서적 갈등을 통해 새로운 사유와 정서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무의식적으로 형성된 정서가 학습자의 의식에 구체화되도록 교사는 자신의 사고 과정을 비롯한 다양한 언어적 조력을 제공해야 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문학교육에서 학습자의 심미적 정서 유발을 위한 교사의 역할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비고츠키의 예술심리학을 중심으로 서사 소통에서 심미적 정서의 개념을 ...

      이 연구는 문학교육에서 학습자의 심미적 정서 유발을 위한 교사의 역할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비고츠키의 예술심리학을 중심으로 서사 소통에서 심미적 정서의 개념을 고찰하고 아동독자의 심미적 정서 발생 과정에서 문학교육의 필요성 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동⋅청소년문학 작품에서 심미적 정서의 발생 지점을 살펴보고 나아가 학습자의 ‘심미적 정서’를 유발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언어적 조력의 측면에서 모색해보았다.
      심미적 정서란 예술의 재료와 형식에서 발생하는 정서가 서로 갈등과 모순을 일으킴으로써 발생한다. 이전의 의식 수준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상태의 정서로 변모된 상태(카타르시스)이다. 기존의 지각과 인식을 이전보다 폭넓고 깊이 있게 확장해 나가게 하는 동력이자 고등정신기능이다.
      교사는 아동독자가 텍스트와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아동⋅청소년문학 작품의 재료와 형식에서 비롯되는 정서를 인식할 수 있도록 ① 사건과 문체 ② 사건과 서술자의 목소리 ③ 인물과 서술자의 목소리 사이의 갈등 지점을 활용할 수 있다. 학습자의 심미적 정서를 유발하기 위해 교사는 첫째, 모순과 갈등의 지점에 관여하는 요소들의 대립을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둘째, 문학작품의 재료와 형식이 모순되는 지점에서 형식이 유발하는 상반된 효과를 극대화하여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언어적 자극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정서적 갈등을 통해 새로운 사유와 정서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무의식적으로 형성된 정서가 학습자의 의식에 구체화되도록 교사는 자신의 사고 과정을 비롯한 다양한 언어적 조력을 제공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崔之賢, "한국근대시 정서체험의 텍스트조건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2 진선희, "학습 독자의 시적 체험 특성에 따른 시 읽기 교육 내용 설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3 김태호, "제후의 선택" 문학동네 2016

      4 김성룡, "정서(情緖)와 문학교육"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 : 5-32, 2010

      5 방은수, "정서 조정을 위한 극적 체험 교육 연구 -서사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17) : 55-81, 2018

      6 고정희, "정서 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고문헌에 나타난 ‘정서(情緖)’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 : 33-66, 2010

      7 구병모, "위저드 베이커리" 창비 2009

      8 조희숙, "아동문학의 미학적 접근" 교문사 2009

      9 박현진, "심미적 정서와 도덕교육 - 비고츠키 예술심리학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3) : 285-310, 2010

      10 민재원, "시 읽기 교육에서 정서 체험의 구조와 작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 崔之賢, "한국근대시 정서체험의 텍스트조건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2 진선희, "학습 독자의 시적 체험 특성에 따른 시 읽기 교육 내용 설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3 김태호, "제후의 선택" 문학동네 2016

      4 김성룡, "정서(情緖)와 문학교육"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 : 5-32, 2010

      5 방은수, "정서 조정을 위한 극적 체험 교육 연구 -서사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17) : 55-81, 2018

      6 고정희, "정서 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고문헌에 나타난 ‘정서(情緖)’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 : 33-66, 2010

      7 구병모, "위저드 베이커리" 창비 2009

      8 조희숙, "아동문학의 미학적 접근" 교문사 2009

      9 박현진, "심미적 정서와 도덕교육 - 비고츠키 예술심리학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3) : 285-310, 2010

      10 민재원, "시 읽기 교육에서 정서 체험의 구조와 작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1 한용환, "소설학사전" 문예출판사 1999

      12 김경희, "사자왕 형제의 모험" 창비 2015

      13 주요섭,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어문각 1994

      14 강진우, "비고츠키의 예술 심리학" 연극과 인간 2017

      15 박현진, "비고츠키 예술심리학의 도덕교육학적 해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16 강진우, "비고츠키 『예술심리학』에서의 <햄릿> 읽기- 카타르시스와 극적 상상력 교육 -" 한국연극학회 1 (1): 81-114, 2013

      17 조준래, "브이곳스끼의 예술심리학에서 카타르시스의 개념"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1 (21): 171-198, 2006

      18 염창권, "미적 정서의 특성과 문학교육적 함의"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6) : 301-334, 2008

      19 강서희, "문학교육에서 학습독자의 정서 성찰을 통한 윤리적 가치 함양 교육 방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83) : 293-315, 2021

      20 박치범, "문학 교과서가 학습자의 정서를 다루는 방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 2009개정 국어와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교육학회 (51) : 109-154, 2016

      21 정희옥,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학이시습 2009

      22 이지호, "동화의 환상과 현실" 열린어린이 2017

      23 이호, "담화의 허구"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4

      24 고정희, "고전시가 교육의 탐구" 소명출판 2013

      25 모영화, "감정을 넘어 공감으로 - 독자의 감정적 반응에 주목하는 소설 교육"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3 (13): 87-114, 2019

      26 김순규, "감정 형상화를 통한 감성 소통의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문학학회 (19) : 187-219, 2010

      27 민경환, "Vygotsky의 ‘예술심리학’" 한국심리학회 219-228,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