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문화실천가의 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 : 문화적 공감과 다문화 훈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lor-blind racial attitudes and cultural competence of service providers in multicultural setting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cultural empathy and multicultural trai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340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우리사회에서 다문화구성원이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이들과의 실천적 관계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전문적인 실천능력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이 바로 문화적 역량이다. 이제 다문화실천가들의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노력은 피할 수 없는 현실적인 요구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실천가들의 문화적 역량의 수준이 어떠한 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다문화실천가들이 전문직으로서 갖춰야 할 인식과 태도를 점검하고 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실천가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다문화실천가의 몰인종적 태도를 설정하여, 몰인종적 태도가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몰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의 관계에 대해 실천가가 지닌 문화적 공감능력과 다문화 훈련의 경험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자료수집은 서울·경기·인천 지역을 비롯한 전국의 96개의 다문화 관련 기관인 지역복지관, 이주민관련 NGO 기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근로자 지원기관, 그룹홈 및 지역아동센터 등에 종사하는 실천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중 59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19.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ANOVA), 위계적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조절적 다중회귀분석(MMR) 등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실천가의 문화적 역량의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체 문화적 역량의 평균은 4.03(5점기준)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인 문화적 인식(4.36), 문화적 태도(4.22)에 비해 문화적 지식과 기술(3.89)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실천가의 몰인종적 태도의 수준을 살펴보면, 전체 몰인종적 태도의 평균은 2.52로 다소 낮게 나타나, 다문화실천가들의 인종적 편견 및 인종주의에 대한 몰이해의 정도가 우려할만한 정도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 중에서 인종차별과 특권에 대한 몰이해 정도는 2.31, 제도적 차별에 대한 몰이해 정도는 2.81로 나타나 제도적 차별에 대한 몰이해의 정도가 인종 차별이나 인종적 특권에 대한 몰이해의 정도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몰인종적 태도가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전체 문화적 역량과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인 대부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종차별과 특권에 대한 몰이해와 제도적 차별에 대한 몰이해의 정도가 클수록 전체 문화적 역량을 비롯하여 문화적 인식, 문화적 태도, 문화적 지식과 기술 등이 모두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몰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에 대한 문화적 공감능력이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문화적 공감능력 중 정서적 공감능력은 몰인종적 태도의 하위요인인 인종차별과 특권에 대한 몰이해 정도와 전체 문화적 역량과 문화적 역량 하위요소 간 모든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도적 차별에 대한 몰이해 정도와 전체 문화적 역량,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인 간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문화적 공감능력 중 인지적 공감능력은 몰인종적 태도의 하위요인인 인종차별과 특권에 대한 몰이해 정도와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인인 문화적 지식과 기술 간에서만 조절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몰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에 대한 다문화 훈련의 경험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몰인종적 태도의 하위요인인 인종차별과 특권에 대한 몰이해 정도와 전체 문화적 역량,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인 중 문화적 지식과 기술의 관계에서만 다문화 훈련 경험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역시 제도적 차별에 대한 몰이해 정도와 전체 문화적 역량,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인 간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시도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가진다.
      첫째, 문화적 역량을 감소시키거나 증진시키는 주요 영향요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국내의 다문화 실천현장에서도 실천가가 어떠한 인종적 태도를 가지느냐에 따라 문화적 역량의 수준이 달리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주지시켜주는 의미있는 실증적 결과를 제시하였다. 셋째, 사회복지분야에서 인종에 대한 편견 및 인종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몰인종적 태도'라는 개념을 조작화하여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넷째, 인종적 태도의 부정적 영향력을 완화시키고 문화적 역량의 증진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공감과 다문화 훈련 경험이라는 긍정적 보호요인들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문화적 역량 증진 전략을 위한 다양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은 보다 심층적인 후속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토대가 되리라 본다.
      문화적 역량은 실천가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변화노력이므로,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제안하는 다문화사회복지 실천현장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는
      번역하기

      최근 우리사회에서 다문화구성원이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이들과의 실천적 관계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전문적인 실천능력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이 바로 문화적 역량이다. 이제 다...

      최근 우리사회에서 다문화구성원이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이들과의 실천적 관계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전문적인 실천능력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이 바로 문화적 역량이다. 이제 다문화실천가들의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노력은 피할 수 없는 현실적인 요구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실천가들의 문화적 역량의 수준이 어떠한 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다문화실천가들이 전문직으로서 갖춰야 할 인식과 태도를 점검하고 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실천가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다문화실천가의 몰인종적 태도를 설정하여, 몰인종적 태도가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몰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의 관계에 대해 실천가가 지닌 문화적 공감능력과 다문화 훈련의 경험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자료수집은 서울·경기·인천 지역을 비롯한 전국의 96개의 다문화 관련 기관인 지역복지관, 이주민관련 NGO 기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근로자 지원기관, 그룹홈 및 지역아동센터 등에 종사하는 실천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중 59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19.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ANOVA), 위계적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조절적 다중회귀분석(MMR) 등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실천가의 문화적 역량의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체 문화적 역량의 평균은 4.03(5점기준)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인 문화적 인식(4.36), 문화적 태도(4.22)에 비해 문화적 지식과 기술(3.89)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실천가의 몰인종적 태도의 수준을 살펴보면, 전체 몰인종적 태도의 평균은 2.52로 다소 낮게 나타나, 다문화실천가들의 인종적 편견 및 인종주의에 대한 몰이해의 정도가 우려할만한 정도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 중에서 인종차별과 특권에 대한 몰이해 정도는 2.31, 제도적 차별에 대한 몰이해 정도는 2.81로 나타나 제도적 차별에 대한 몰이해의 정도가 인종 차별이나 인종적 특권에 대한 몰이해의 정도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몰인종적 태도가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전체 문화적 역량과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인 대부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종차별과 특권에 대한 몰이해와 제도적 차별에 대한 몰이해의 정도가 클수록 전체 문화적 역량을 비롯하여 문화적 인식, 문화적 태도, 문화적 지식과 기술 등이 모두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몰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에 대한 문화적 공감능력이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문화적 공감능력 중 정서적 공감능력은 몰인종적 태도의 하위요인인 인종차별과 특권에 대한 몰이해 정도와 전체 문화적 역량과 문화적 역량 하위요소 간 모든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도적 차별에 대한 몰이해 정도와 전체 문화적 역량,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인 간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문화적 공감능력 중 인지적 공감능력은 몰인종적 태도의 하위요인인 인종차별과 특권에 대한 몰이해 정도와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인인 문화적 지식과 기술 간에서만 조절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몰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에 대한 다문화 훈련의 경험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몰인종적 태도의 하위요인인 인종차별과 특권에 대한 몰이해 정도와 전체 문화적 역량,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인 중 문화적 지식과 기술의 관계에서만 다문화 훈련 경험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역시 제도적 차별에 대한 몰이해 정도와 전체 문화적 역량,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인 간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시도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가진다.
      첫째, 문화적 역량을 감소시키거나 증진시키는 주요 영향요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국내의 다문화 실천현장에서도 실천가가 어떠한 인종적 태도를 가지느냐에 따라 문화적 역량의 수준이 달리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주지시켜주는 의미있는 실증적 결과를 제시하였다. 셋째, 사회복지분야에서 인종에 대한 편견 및 인종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몰인종적 태도'라는 개념을 조작화하여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넷째, 인종적 태도의 부정적 영향력을 완화시키고 문화적 역량의 증진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공감과 다문화 훈련 경험이라는 긍정적 보호요인들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문화적 역량 증진 전략을 위한 다양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은 보다 심층적인 후속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토대가 되리라 본다.
      문화적 역량은 실천가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변화노력이므로,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제안하는 다문화사회복지 실천현장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는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multicultural members in our society have rapidly increased in recent years, cultural competence is required as a professional practical ability in actual relation to them. Accordingly, to the service providers in multicultural settings, the promotion of cultural competence becomes an inevitable deman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ultural competence among the service providers and to identify which elements give influence on, and then designs to derive certain positive elements in multicultural settings from examining the cognition and the attitude the service providers have to complete, which can change them as qualified experts.
      To do this study, Color-Blind Racial Attitudes was set as a main factor which affects on multicultural service providers' cultural competence in order to apprehend its influence on cultural competence. And this study have proceeded to analyze how the service providers' cultural empathy and multicultural training experience have reached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color blind attitude and cultural competence.
      For this study, data have been collected through making surveys from the service providers engaged in 96 related multicultural organizations; regional welfare centers, immigrants related NGO,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supporting centers for foreign workers , group homes, regional children centers and others in Seoul, Gyeoggi, Incheon and other nationwide regions. Among the designed survey data, 594 papers were utilized for analyzing the final report. The analysis was implemented in using SPSS 19.0 and AMOS 20.0 programs on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MMR) consisted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OVA, and hierarchical analysis. and so on.
      Results indicate following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the service providers' multicultural competence is 4.03(datum point 5) on average. Cultural knowledge and cultural skill (3.89) rather indicate lower than sub-factors, cultural awareness (4.36), and cultural attitude (4.22).
      Secondly, multicultural service providers' average level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indicates 2.52. As its result is rather low, their non-understanding on racial prejudice and racialism is not high to some serious extent. Among those, the non-understanding extent of racial discrimination and of privilege is 2.31, and of systemic discrimination is 2.81, which is somewhat higher than the former.
      Third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on cultural competence shows that total cultural competence and most its sub-factors are subjected to the attentive influence. It shows the trend that as the extent of non-understanding of racial and systemic discrimination become higher, the extent of cultural cognition, cultural attitude, cultural knowledge and technology become lower.
      Fourthly, the result of analyzing moderating effect of cultural empathy on in the relation between color blind attitude and cultural competence shows that emotional competency in cultural empathy have moderating effect on all relation between the general and the sub-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e and non-understanding on racial discrimination and privilege as the sub-elements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However, there is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extent of non-understanding on systemic discrimination, and the general of and the sub-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cognitive empathy in cultural empathy shows the moderating effect only on between racial discrimination and privilege as the sub-factors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and cultural knowledge and technology as sub-factors in cultural competence.
      Fifth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experience in multicultural training in relation between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and cultural competence shows only in between non-understanding extent to racial discrimination and privilege as the sub-factors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and cultural knowledge and technology as sub-factors in cultural competence. Also, there is no moderating effect on between the extent of non-understanding on systemic discrimination and the general and the sub-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e.
      Consequently, this study attempt and results have theoretical implications as following:
      First, it offers a basic material for significant factors to promote or to lessen cultural competence. Second, it presents very corroborative results making a point that according to a service provider's racial attitude, the level of cultural competence will be variable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practice. Third, it suggests a theoretical basis that for evaluating racial prejudice and racial attitude in social welfare field, the notion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is able to be manipulated and to be applied. Fourth, it offers various experiential bases on the strategies to promote cultural competence by verifying the moderate effect of positive protection factors which can relieve the negative influence on racial attitudes and which can experience cultural empathy and multicultural training.
      To sum up, as cultural competence demands to make consistent change efforts, applicative implications to contribute to the practical field of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are followings:
      First, since a service provider operates significantly as a variable medium in the relation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client, his/her effort and reflection on his/her own racial prejudice and attitude is set forth for promoting his/her cultural competence Second, the service provider's positive and practical intervention requires him/her to amplify his/her cultural empathy with a multicultural client. Third, the service providers have continuous opportunities to go through long term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fo
      번역하기

      As multicultural members in our society have rapidly increased in recent years, cultural competence is required as a professional practical ability in actual relation to them. Accordingly, to the service providers in multicultural settings, the promo...

      As multicultural members in our society have rapidly increased in recent years, cultural competence is required as a professional practical ability in actual relation to them. Accordingly, to the service providers in multicultural settings, the promotion of cultural competence becomes an inevitable deman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ultural competence among the service providers and to identify which elements give influence on, and then designs to derive certain positive elements in multicultural settings from examining the cognition and the attitude the service providers have to complete, which can change them as qualified experts.
      To do this study, Color-Blind Racial Attitudes was set as a main factor which affects on multicultural service providers' cultural competence in order to apprehend its influence on cultural competence. And this study have proceeded to analyze how the service providers' cultural empathy and multicultural training experience have reached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color blind attitude and cultural competence.
      For this study, data have been collected through making surveys from the service providers engaged in 96 related multicultural organizations; regional welfare centers, immigrants related NGO,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supporting centers for foreign workers , group homes, regional children centers and others in Seoul, Gyeoggi, Incheon and other nationwide regions. Among the designed survey data, 594 papers were utilized for analyzing the final report. The analysis was implemented in using SPSS 19.0 and AMOS 20.0 programs on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MMR) consisted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OVA, and hierarchical analysis. and so on.
      Results indicate following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the service providers' multicultural competence is 4.03(datum point 5) on average. Cultural knowledge and cultural skill (3.89) rather indicate lower than sub-factors, cultural awareness (4.36), and cultural attitude (4.22).
      Secondly, multicultural service providers' average level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indicates 2.52. As its result is rather low, their non-understanding on racial prejudice and racialism is not high to some serious extent. Among those, the non-understanding extent of racial discrimination and of privilege is 2.31, and of systemic discrimination is 2.81, which is somewhat higher than the former.
      Third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on cultural competence shows that total cultural competence and most its sub-factors are subjected to the attentive influence. It shows the trend that as the extent of non-understanding of racial and systemic discrimination become higher, the extent of cultural cognition, cultural attitude, cultural knowledge and technology become lower.
      Fourthly, the result of analyzing moderating effect of cultural empathy on in the relation between color blind attitude and cultural competence shows that emotional competency in cultural empathy have moderating effect on all relation between the general and the sub-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e and non-understanding on racial discrimination and privilege as the sub-elements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However, there is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extent of non-understanding on systemic discrimination, and the general of and the sub-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cognitive empathy in cultural empathy shows the moderating effect only on between racial discrimination and privilege as the sub-factors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and cultural knowledge and technology as sub-factors in cultural competence.
      Fifth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experience in multicultural training in relation between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and cultural competence shows only in between non-understanding extent to racial discrimination and privilege as the sub-factors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and cultural knowledge and technology as sub-factors in cultural competence. Also, there is no moderating effect on between the extent of non-understanding on systemic discrimination and the general and the sub-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e.
      Consequently, this study attempt and results have theoretical implications as following:
      First, it offers a basic material for significant factors to promote or to lessen cultural competence. Second, it presents very corroborative results making a point that according to a service provider's racial attitude, the level of cultural competence will be variable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practice. Third, it suggests a theoretical basis that for evaluating racial prejudice and racial attitude in social welfare field, the notion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is able to be manipulated and to be applied. Fourth, it offers various experiential bases on the strategies to promote cultural competence by verifying the moderate effect of positive protection factors which can relieve the negative influence on racial attitudes and which can experience cultural empathy and multicultural training.
      To sum up, as cultural competence demands to make consistent change efforts, applicative implications to contribute to the practical field of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are followings:
      First, since a service provider operates significantly as a variable medium in the relation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client, his/her effort and reflection on his/her own racial prejudice and attitude is set forth for promoting his/her cultural competence Second, the service provider's positive and practical intervention requires him/her to amplify his/her cultural empathy with a multicultural client. Third, the service providers have continuous opportunities to go through long term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f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I. 서 론 1
      • 제 1 절 문제제기 1
      • 제 2 절 연구목적 8
      • <목 차>
      • I. 서 론 1
      • 제 1 절 문제제기 1
      • 제 2 절 연구목적 8
      • II. 이론적 배경 10
      • 제 1 절 문화적 역량 10
      • 1. 문화적 역량의 개념 10
      • 2.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 15
      • 3. 다문화 사회복지 실천과 문화적 역량 26
      • 제 2 절 문화적 역량 영향요인 32
      • 1. 인종적 태도 32
      • 2. 문화적 공감 49
      • 3. 다문화 훈련 55
      • 제 3 절 문화적 역량의 통제요인 64
      • III. 연구방법 66
      • 제 1 절 연구모형 및 가설 66
      • 1. 연구모형 66
      • 2. 연구가설 68
      • 제 2 절 변수의 정의 및 측정 73
      • 1. 종속변수 73
      • 2. 독립변수 76
      • 3. 조절변수 77
      • 4. 통제변수 80
      • 제 3 절 조사대상 및 표본선정 81
      • 제 4 절 분석방법 84
      • 제 5 절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86
      • 1. 예비조사 86
      • 2. 본조사 88
      • IV. 연구결과 95
      • 제 1 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특성 95
      • 제 2 절 주요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결과 97
      • 제 3 절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 102
      • 제 4 절 변수 간 상관관계 110
      • 제 5 절 독립변수 주효과 검증 111
      • 1. 다문화실천가의 몰인종적 태도가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111
      • 제 6 절 조절변수 상호작용 효과 검증 119
      • 1. 문화적 공감의 조절효과 120
      • 2. 다문화 훈련의 조절효과 134
      • 제 7 절 가설검증 결과 요약 143
      • V. 결론 및 논의 147
      • 제 1 절 결과요약 147
      • 제 2 절 논의 151
      • 1. 주요변수간의 관계에 관한 논의 151
      • 2. 지지되지 않은 가설에 관한 논의 156
      • 3. 이론적 의의 160
      • 제 3 절 함의 163
      • 1. 실천적 함의 163
      • 2. 정책적 함의 166
      • 제 4 절 연구의 한계와 제언 167
      • 참 고 문 헌 170
      • 부 록 1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