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부터 시작한 충남형 혁신학교인 행복나눔학교는 “새로운 교사문화로 전인교육을 실천하는 미래지향의 공교육 정상화 모델학교”를 추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학교 운영체제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47700
청주시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교육정책전공 , 2016. 2
2016
한국어
379 판사항(22)
충청북도
ⅷ, 102 p.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김인희
참고문헌 : p.p. 78-8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4년부터 시작한 충남형 혁신학교인 행복나눔학교는 “새로운 교사문화로 전인교육을 실천하는 미래지향의 공교육 정상화 모델학교”를 추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학교 운영체제를 ...
2014년부터 시작한 충남형 혁신학교인 행복나눔학교는 “새로운 교사문화로 전인교육을 실천하는 미래지향의 공교육 정상화 모델학교”를 추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학교 운영체제를 개선하고, 학교 교육력을 강화하여 교육과정 개선과 수업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혁신학교는 혁신과제운영을 통하여 새로운 교사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교사문화는 교사업무에 영향을 받고, 교사업무는 혁신과제의 영향을 받을 것이다. 따라서 혁신학교의 교사업무 실태를 분석하고 교사문화와의 관계를 밝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혁신학교의 교사업무 실태와 교사문화를 파악하고 바람직한 교사문화 조성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혁신학교 추진과제, 교사업무 및 교사문화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둘째, 혁신학교 교사와 학생을 통하여 교사업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셋째, 수업중심 교사문화 특성에 관한 인식과 교사문화의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넷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교사와 학생의 교사업무 및 교사문화에 대한 반응을 비교하였다.
다섯째, 조사방법은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교사 설문지는 최근 교사업무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은 28문항, 혁신학교 특성에 관한 인식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은 22문항, 바람직한 혁신학교 조성 요구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은 2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응답 백분율(%)을 구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비교집단이 3개 집단 이상일 때는 상관관계 χ2 검정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의미는 *p<0.05와 **p<0.01의 유의 구간을 적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2015년 현재 충청남도 소재의 ‘행복나눔학교’ 운영에 참여한 중학교 5교와 고등학교 1교 일반학교 중학교 5교와 고등학교 1교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는 수업의 변화에 대하여 일반학교보다 긍정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학생들은 모든 학교에서 교사보다 낮게 인식하고 있어 아직 학생교육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이 혁신학교를 일반학교보다 힘들고 어렵게 느끼는 것은 수업 자체 때문이 아니라 혁신학교 초기 수업의 변화를 위한 각종 행정업무의 증가 때문이다. 이는 혁신학교 운영에 공문서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혁신학교 교사문화 특성은 일반학교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수업을 중요시하는 특성을 보이고 혐동성도 향상되었지만 아직까지 교사문화에는 개인주의, 관료주의 및 형식주의가 나타나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의 운영 시 행정업무 감소를 위해서는 학교 지원방법에 대한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즉 교사의 자발성에 기초한 교육적 사명감, 자발적 협력 및 전문적 학습공동체와 같은 문화적인 변화를 지원하는 새로운 지원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둘째, 바람직한 문화조성을 위한 수업지원의 방안으로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모두가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교사의 업무경감이다. 이를 위해서는 실질적인 업무를 줄일 수 있는 수업시수 감축이나 전문적인 행정요원의 배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교사문화의 변화는 단위학교가 중심이 되어 학교 구성원이 공동체적 연대와 실천으로 변화를 이루어낼 때 비로소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업무를 경감할 수 있는 대안을 만들고, 교사문화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새로운 행정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