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시간 관리 전략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7명이 시간 관리 전략 프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65059
2013
-
370
KCI등재
학술저널
153-178(26쪽)
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간 관리 전략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7명이 시간 관리 전략 프로...
본 연구는 시간 관리 전략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7명이 시간 관리 전략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프로그램이 시작하기 전과 후 자아존중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각각 측정한 뒤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시간 관리 전략 프로그램 종료 후 6개월의 기간이 지난 뒤 참가자를 대상으로 시간 관리에 대한 지속성 여부와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추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시간 관리 전략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를 보였지만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의 긍정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세부 요소 중에서 자기조절효능 영역에서는 유의하게 긍정적 변화를 보였지만, 과제난이도와 자신감에서는 유의한 수준에서의 긍정적 변화가 없었다. 즉 시간 관리 전략 프로그램은 자기조절효능감을 향상시켜서 학업 지연의 문제를 극복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면담을 통하여 참가자들은 시간 관리의 정도와 방법에는 차이를 보였으나 지속적으로 시간 관리를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시간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깊이 인식하여 생활에 활력을 찾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time-management strategy program on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fficacy. Seven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were involved in the program. SPSS was used to measure items such as self-esteem and academic s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time-management strategy program on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fficacy. Seven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were involved in the program. SPSS was used to measure items such as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fficacy which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of the time-management strategy program. Then after six months, they were asked whether or not they conducted time-management and what impact the program had their life. As a resul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ppeared in the participants. Regarding self-esteem after the training, significantly positive improvement appeared, and regarding academic self-efficacy after the training,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improvement in self-regulatory efficacy among three sub-factor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ly positive improvements in self-confidence and task-difficulty among three sub-factors. After six month, the participants continued to practice time-management in different degrees and they perceived the necessity of time-management through the time-management strategy program. We expect to solve the problem of academic procrastination through the time-management strategy progra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2 강순화, "학업우수 및 학업부진 학생의 학업실태 분석을 통한대에서의 학업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12 (12): 221-242, 2000
3 김영채, "학업수행과 결합되어 있는 동기 및 학습전략 변인" (1) : 13-38, 1990
4 정범모, "학업 성취의 요인" 교육출판사 1995
5 박동혁, "학습습관향상 프로그램이 학업성취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1
6 김민성, "학습상황에서 정서의 존재: 학습정서의 원천과 역할" 교육연구소 10 (10): 73-98, 2009
7 황정규,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184-186, 1984
8 李貞淑, "취업주부의 시간관리전략, 가정관리행동 및 가정생활만족도"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9 孔泰洙,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창의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10 김선숙, "청소년의 학업성취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5-29, 2007
1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2 강순화, "학업우수 및 학업부진 학생의 학업실태 분석을 통한대에서의 학업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12 (12): 221-242, 2000
3 김영채, "학업수행과 결합되어 있는 동기 및 학습전략 변인" (1) : 13-38, 1990
4 정범모, "학업 성취의 요인" 교육출판사 1995
5 박동혁, "학습습관향상 프로그램이 학업성취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1
6 김민성, "학습상황에서 정서의 존재: 학습정서의 원천과 역할" 교육연구소 10 (10): 73-98, 2009
7 황정규,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184-186, 1984
8 李貞淑, "취업주부의 시간관리전략, 가정관리행동 및 가정생활만족도"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9 孔泰洙,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창의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10 김선숙, "청소년의 학업성취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5-29, 2007
11 구본명, "청소년의 수험 행동"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4
12 김형태, "청소년 학업 상담"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6
13 김동일, "청소년 시간 관리 연구 : 프로그램 종합 보고서"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5
14 이숙정, "중고생의 교사신뢰와 자아존중감, 학습동기, 학업성취 및 학급풍토간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197-218, 2006
15 류관열, "중·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타인기대와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661-685, 2010
16 김만권, "자기조절학습전략 프로그램이 학업성취와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491-504, 2003
17 김민성, "온라인 토론에서의 정서적 경험의 변화과정: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정서의 변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697-722, 2008
18 신명희, "여자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시간관리 및 지연행동 연구" 한국교육학회 43 (43): 211-230, 2005
19 유미영,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915-937, 2010
20 박기안, "시간 관리학" 유나이티드 컨설팅 그룹 1993
21 김창대, "성적이 떨어지는 아이들"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4
22 김계현, "서울대학생의 학업성취과정" 30 (30): 18-37, 1995
23 이희원,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학습 능력 강화를 위한 학습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10
24 이희원, "서울대학교 신입생을 위한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연구" 서울대학교교수학습개발센터 2004
25 강순화, "대학에서의 학업증진을 위한 학습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학생생활지도연구소 22 : 20-53, 1997
26 윤용옥, "대학생의 시간관리:관련 변수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71-82, 2007
27 임미향, "대학생의 사회적 지원, 성격, 자기효능감, 학업성취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4 (14): 255-283, 2007
28 이현우, "대학생들의 생활 실태가 학습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수산대 28 : 99-121, 1982
29 박동혁, "대학생 시간관리 행동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801-816, 2006
30 하대현, "내ㆍ외재 동기유형의 타당화와 성격과의 상관요인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5-47, 2003
31 신종호,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교사기대, 가정환경요인 간의 관계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5-23, 2006
32 徐民源, "時間의 函數로서의 學校學習에 관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8
33 Partin, R., "Time management for school counselors" The School Counselor 1983
34 Ester, I. G., "Time management behavior as a predictor of role-related stress" 1998
35 Weinstein, C. E., "The teaching of learning strategies, In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Macmillan 315-327, 1986
36 Sherer, M.,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51 : 663-671, 1982
37 Pekrun, R., "The impact of Emotions on Learning and Achievement : Towards a Theory of Cognitive/Motivational Mediators" 41 (41): 359-376, 1992
38 McKeachie, W. J., "Teaching and learning minute" 182 (182): 43-44, 1986
39 Zimmerman, B. J., "Students difference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 sex, and gift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82 : 51-59, 1990
40 Peniston, L. C., "Strategies on time management for colleg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221-242, 1994
41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42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1986
43 전병재, "Self-esteem : A test of its measurability" 11 (11): 107-130, 1974
44 Bandura, A., "Self-efficacy of control" W.H. Freeman and Company 1997
45 Bandura, A.,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28 : 117-148, 1993
46 Loulou, D., "Making the A : How to study for tests"
47 Ross, D. B., "Group reduction of test anxiety: Does it really work?. Tests, Measurement, and Evaluation" 1994
48 Britton, B. K., "Effects of Time-Management Practices on College Grades" 83 (83): 405-410, 1991
49 Sansone, C., "Does what we feel affect what we learn? : Some answers and new question" 15 : 507-515, 2005
50 Meyer, D. K., "Discovering emotion in classroom motivation research" 37 (37): 107-114, 2002
51 Macan, T., "College students’ time management : Correlations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stress" 82 (82): 760-768, 1990
52 Rogers, C, R, "Client Centered Therapy; Its current practice, implications and theory" Houghton Mifflin Company 1951
53 Lindemann, R. A., "Assessment of dental student studying strategies" 59 (59): 1020-1026, 1995
54 Kirby, A. F.,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instruction on college student time management" University of Florida 1977
55 Pekrun, R., "Academic emotion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 A program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37 (37): 91-105, 2002
IPA분석을 활용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컨설팅장학 활성화 방안 탐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3-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4 | 1.54 | 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5 | 1.7 | 1.914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