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대미술에 있어서 사진과 회화의 관계 : 본인의 연구작품 reality & illusion 시리즈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photography and paintings in contemporary arts : focusing on my work "reality & Illusion" se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4948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 회화전공 , 2010. 8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50.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v, 40장 : 채색삽도, ; 27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37-38장) 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photography and the paintings in the contemporary arts and also study the new formative language in which the photos and paintings can share with each other.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the love and hate relationship between photos and paintings and the formative languages made from the early 19thcentury when the photography was first in vented to the present time. Throughout this study, I will explore the formative evolution which may appear in the future and then will compare my works with the previousresearch artists’.
      During the research on the art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photos and the paintings, I will investigate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that was caused by the painter’s longing and that the photos obtained the form of art and the paintings that showed more subjective features than the objective attitudes.
      Also, the art of photography makes a great effect on the modern artistic ideas such as realism, impressionism, collage, photo montage, surrealism, pop art, photo realism and etc.
      In this study, I interpreted the relation between the photos and the paintings by focusing on the key words such as installation, viewpoint, anamorphosis, making paintings using photo and reality and illusion which were derived from my research works of“Reality & Illusion”series.
      In the contemporary a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otos and the paintings has created many formative languages and artistic ideas. I believe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rying to investigate yet another type of formative languag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photography and the paintings in the contemporary arts and also study the new formative language in which the photos and paintings can share with each other. This paper tries to investig...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photography and the paintings in the contemporary arts and also study the new formative language in which the photos and paintings can share with each other.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the love and hate relationship between photos and paintings and the formative languages made from the early 19thcentury when the photography was first in vented to the present time. Throughout this study, I will explore the formative evolution which may appear in the future and then will compare my works with the previousresearch artists’.
      During the research on the art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photos and the paintings, I will investigate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that was caused by the painter’s longing and that the photos obtained the form of art and the paintings that showed more subjective features than the objective attitudes.
      Also, the art of photography makes a great effect on the modern artistic ideas such as realism, impressionism, collage, photo montage, surrealism, pop art, photo realism and etc.
      In this study, I interpreted the relation between the photos and the paintings by focusing on the key words such as installation, viewpoint, anamorphosis, making paintings using photo and reality and illusion which were derived from my research works of“Reality & Illusion”series.
      In the contemporary a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otos and the paintings has created many formative languages and artistic ideas. I believe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rying to investigate yet another type of formative langu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현대미술에 있어서 사진과 회화의 상호교환적인 관계를 직시하고, 사진과 회화가 같은 영역 안에서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조형언어를 연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세기 초 사진의 발명 이후로부터 오늘날까지 사진과 회화가 맺어 온 애증의 관계와, 여기에서 만들어진 최근까지의 조형언어들을 짚어보는 계기를 갖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앞으로 새롭게 출현할 조형적 진화를 예측하고 본인의 연구작품과 선행연구작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그 연구의 결과를 얻어내고 있다.
      사진과 회화의 예술사적 관계를 연구하면서 사진의 발명이 화가들의 오랜 갈망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사진은 회화성을 회화는 객관적인 태도에서 주관적인 태도를 획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사진은 사실주의, 인상파, 미래파, 입체파, 꼴라쥬, 포토몽타쥬, 초현실주의, 팝아트, 포토리얼리즘 등등 현대의 미술사조에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 하였다.
      본 논문은 본인의 연구작품 ‘reality & illusion’ 시리즈에서 인스톨레이션(installation), 시점(視點), 아나모르포시(Anamorphosis)
      -왜상화법(歪像畵法), 사진으로 회화 만들기, 리얼리티(reality)와 일루젼(illusion) 의 키워드를 축출하여 그 의미를 해석하고 있다.
      현대미술에 있어서 사진과 회화의 관계는,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 까지 무수히 많은 조형언어들과 미술사조들을 만들어 왔다. 본 연구를 통하여 또 다른 조형언어 발견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현대미술에 있어서 사진과 회화의 상호교환적인 관계를 직시하고, 사진과 회화가 같은 영역 안에서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조형언어를 연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세기 초 사진...

      본 논문은 현대미술에 있어서 사진과 회화의 상호교환적인 관계를 직시하고, 사진과 회화가 같은 영역 안에서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조형언어를 연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세기 초 사진의 발명 이후로부터 오늘날까지 사진과 회화가 맺어 온 애증의 관계와, 여기에서 만들어진 최근까지의 조형언어들을 짚어보는 계기를 갖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앞으로 새롭게 출현할 조형적 진화를 예측하고 본인의 연구작품과 선행연구작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그 연구의 결과를 얻어내고 있다.
      사진과 회화의 예술사적 관계를 연구하면서 사진의 발명이 화가들의 오랜 갈망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사진은 회화성을 회화는 객관적인 태도에서 주관적인 태도를 획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사진은 사실주의, 인상파, 미래파, 입체파, 꼴라쥬, 포토몽타쥬, 초현실주의, 팝아트, 포토리얼리즘 등등 현대의 미술사조에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 하였다.
      본 논문은 본인의 연구작품 ‘reality & illusion’ 시리즈에서 인스톨레이션(installation), 시점(視點), 아나모르포시(Anamorphosis)
      -왜상화법(歪像畵法), 사진으로 회화 만들기, 리얼리티(reality)와 일루젼(illusion) 의 키워드를 축출하여 그 의미를 해석하고 있다.
      현대미술에 있어서 사진과 회화의 관계는,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 까지 무수히 많은 조형언어들과 미술사조들을 만들어 왔다. 본 연구를 통하여 또 다른 조형언어 발견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1
      • Ⅰ. 이론적 배경 3
      • 1. 사진과 회화의 예술 3
      • 2. 사진의 응용과 회화의 6
      • 3. 사진과 회화의 특성을 동시에 차용한 사례 10
      • 서론 1
      • Ⅰ. 이론적 배경 3
      • 1. 사진과 회화의 예술 3
      • 2. 사진의 응용과 회화의 6
      • 3. 사진과 회화의 특성을 동시에 차용한 사례 10
      • 1)죠르쥬 루쓰(Georges Rousse)의 사례 10
      • 2)유현미(Hyun Mi Yoo)의 사례 12
      • Ⅱ. 연구작품의 분석 14
      • 1. 인스톨레이션(installation) 14
      • 2. 시점(視點) 19
      • 3. 사진으로 회화 만들기 22
      • 4. 리얼리티와 일루젼 (reality & illusion) 24
      • Ⅲ. 연구작품과 선행연구작가와 비교 분석 26
      • 1. 죠르쥬 루쓰(Georges Rousse)의 경우와 연구작품 “reality & illusion” 시리즈의 비교 26
      • 2. 유현미(Hyun Mi Yoo)의 경우와 연구작품 “reality & illusion” 시리즈의 비교 30
      • 결론 33
      • 도판목록 35
      • 참고문헌 37
      • Abstract 3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