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미술의 기본요소에 따른 0-5세 보육프로그램 미술활동 분석 = An Analysis of the Fine Arts Activities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0~5 Years O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51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여성가족부가 주관하고 육아정책개발센터에서 개발 및 보급한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0-5세 보육프로그램 미술활동이 미술의 기본요소에 기초하여 구성되어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는 0-5세 보육프로그램 미술활동이 미술의 기본요소 중 어떠한 요소가 좀 더 강조되어야 하는지, 미술의 기본요소 적용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0-5세 보육프로그램 중 미술활동의 수는 영유아의 예술적 경험을 통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즐기기에 충분하다. 둘째, 0-5세 보육프로그램 중 미술활동이 전개되는 활동영역은 연령의 특성 및 발달단계에 적합하다. 셋째, 0-5세 보육프로그램 중 미술활동에 포함된 미술요소 역시 연령의 특성 및 발달단계에 적합하게 포함되어 있다. 넷째, 미술활동에 포함된 미술요소 중 명암과 음영은 어떠한 연령에서도 반영되지 않았다. 위의 결론을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미술의 기본요소에 따른 효율적인 미술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0-5세 보육프로그램 미술활동은 영유아기에 반드시 다루어야할 미술요소는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지만 실제 활동은 미술요소가 잘 드러나도록 내용과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유아교사가 수업을 실행할 경우, 이러한 미술요소가 잘 드러나는 수업을 교사가 계획하고 실행해야 하므로 이를 위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번역하기

      여성가족부가 주관하고 육아정책개발센터에서 개발 및 보급한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0-5세 보육프로그램 미술활동이 미술의 기본요소에 기초하여 구성되어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여성가족부가 주관하고 육아정책개발센터에서 개발 및 보급한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0-5세 보육프로그램 미술활동이 미술의 기본요소에 기초하여 구성되어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는 0-5세 보육프로그램 미술활동이 미술의 기본요소 중 어떠한 요소가 좀 더 강조되어야 하는지, 미술의 기본요소 적용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0-5세 보육프로그램 중 미술활동의 수는 영유아의 예술적 경험을 통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즐기기에 충분하다. 둘째, 0-5세 보육프로그램 중 미술활동이 전개되는 활동영역은 연령의 특성 및 발달단계에 적합하다. 셋째, 0-5세 보육프로그램 중 미술활동에 포함된 미술요소 역시 연령의 특성 및 발달단계에 적합하게 포함되어 있다. 넷째, 미술활동에 포함된 미술요소 중 명암과 음영은 어떠한 연령에서도 반영되지 않았다. 위의 결론을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미술의 기본요소에 따른 효율적인 미술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0-5세 보육프로그램 미술활동은 영유아기에 반드시 다루어야할 미술요소는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지만 실제 활동은 미술요소가 잘 드러나도록 내용과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유아교사가 수업을 실행할 경우, 이러한 미술요소가 잘 드러나는 수업을 교사가 계획하고 실행해야 하므로 이를 위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the fine arts activities of the education program the based on aesthetic elements for 0-5 years old. This process and result of study were to provide the educare teacher a fundamental data about the method that 'how to teach' with regard to such the fine arts activities on the based on aesthetic elemen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o have an ample the fine arts activities numbers for the children's artistic experience.
      Second, there were to practice integrated the fine arts activities of the variety play area only 2years old.
      Third, there were to developmentally appropriate on the activities area the fine arts activity of 0-5years old education program.
      Forth, there were not to developmentally appropriate the fine arts activities on the based on aesthetic elements of 0-5years old education program.
      Fifth, there were not include the value and shadow aesthetic elements the fine arts activities of all ages.
      The educare teacher was to emphasis on the fine arts activities on the based on aesthetic elements important spot of in this study when put a plan into practi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the fine arts activities of the education program the based on aesthetic elements for 0-5 years old. This process and result of study were to provide the educare teacher a fundamental data about the metho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the fine arts activities of the education program the based on aesthetic elements for 0-5 years old. This process and result of study were to provide the educare teacher a fundamental data about the method that 'how to teach' with regard to such the fine arts activities on the based on aesthetic elemen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o have an ample the fine arts activities numbers for the children's artistic experience.
      Second, there were to practice integrated the fine arts activities of the variety play area only 2years old.
      Third, there were to developmentally appropriate on the activities area the fine arts activity of 0-5years old education program.
      Forth, there were not to developmentally appropriate the fine arts activities on the based on aesthetic elements of 0-5years old education program.
      Fifth, there were not include the value and shadow aesthetic elements the fine arts activities of all ages.
      The educare teacher was to emphasis on the fine arts activities on the based on aesthetic elements important spot of in this study when put a plan into practi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미, "현장수업능력강화 프로그램 기초자료" 부산: 도서출판 에듀인 2009

      2 조성은,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 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과 현황조사"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2007

      3 김경희, "표준보육과정과 유치원교육과정과의 비교연구" 동부산대학 26 : 2006

      4 보건복지가족부, "표준보육과정"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005

      5 여성가족부, "표준보육과정" 서울: 여성가족부 2005

      6 공갑례, "통합적 동작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7 조시연, "초등미술교육에서‘조형요소’지도 방법 연구" 진주교대 교육대학원 2008

      8 류혜경, "초등미술교육에서 조형요소와 원리의 학습적용 연구" 광주교대 2002

      9 연산유치원, "조형요소에 기초한 조형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의 창의력 기르기" 표현생활시범연구학교 2008

      10 박갑분, "조형요소․원리에 의한 회화 감상지도 연구" 한국교원대교육대학원 2003

      1 김경미, "현장수업능력강화 프로그램 기초자료" 부산: 도서출판 에듀인 2009

      2 조성은,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 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과 현황조사"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2007

      3 김경희, "표준보육과정과 유치원교육과정과의 비교연구" 동부산대학 26 : 2006

      4 보건복지가족부, "표준보육과정"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005

      5 여성가족부, "표준보육과정" 서울: 여성가족부 2005

      6 공갑례, "통합적 동작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7 조시연, "초등미술교육에서‘조형요소’지도 방법 연구" 진주교대 교육대학원 2008

      8 류혜경, "초등미술교육에서 조형요소와 원리의 학습적용 연구" 광주교대 2002

      9 연산유치원, "조형요소에 기초한 조형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의 창의력 기르기" 표현생활시범연구학교 2008

      10 박갑분, "조형요소․원리에 의한 회화 감상지도 연구" 한국교원대교육대학원 2003

      11 이미혜,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12 김선월, "자연산책을 통한 미술요소 탐색활동이 유아의 그림 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3 교육부, "유치원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1999

      14 김진희, "유치원 미술 감상교육의 현황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5 전성수, "유아미술교육학" 학문사 1997

      16 한윤경, "유아미술교육의 현황조사 및 효율적인 지도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일반교사와 미술전담교사의 활동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7 김현정, "유아미술교육의 실태 비교-유치원과 미술학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18 김혜진, "유아미술교육 현황조사 및 효과적인 지도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교육대학원 2009

      19 이정환, "유아를 위한 조형미술활동" 서울: 창지사 2003

      20 윤현숙, "유아를 위한 균형적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대학원 2005

      21 정금자, "유아교육사상사" 서울: 교육과학사 2001

      22 이경미,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일과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09

      23 이기숙, "유아교육과정(개정판)" 서울: 교문사 1992

      24 이기숙, "유아교육과정(2판)" 서울: 교문사 2003

      25 김미연, "유아 미술활동 현장 조사 및 교사 효능감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6 이정환, "영유아를 위한 조형미술활동" 서울: 파란마음 2008

      27 김경미, "아동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좋은책 2007

      28 김경미, "수업전문성 지원을 위한 유아교육사상 및 철학" 부산: 에듀인 2010

      29 진숙자, "선에 의한 조형활동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2006

      30 안인희, "서양교육고전의 이해"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7

      31 홍정자, "산책을 통한 조형요소 관찰활동이 유아의 조형표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32 육아정책개발센터, "보육프로그램 총론"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2007

      33 선지은, "미적요소에 기초한 협동미술작업이 유아의 창의성,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6

      34 조용자, "미적요소에 기초한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그림 표현력과 그리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4

      35 김경희, "미술의 기본요소에 따른 3세-5세 보육프로그램의 미술활동분석" 동부산대학 30 : 2010

      36 김미덕, "미술요소에 기초한 조형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7 김명숙, "미술요소에 기초한 이야기 나누기가 유아의 그리기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38 송수향, "다양한 유아 미술활동을 위한 교수, 학습에 관한 연구. 과제 선택 활동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9 권상구, "기초디자인" 서울: 미진사 1999

      40 조은정, "극놀이와 연계한 유아미술교육감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41 김경희, "국가수준 유아교육기관 교육과정 비교" 동부산대학 27 : 2007

      42 백중열, "교사를 위한 아동 미술교육의 이해" 서울: 공동체 2006

      43 Jalongo, M. R., "The arts in children's lives: Aesthet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oston : Allyn & Bacon 1997

      44 Kostelnik, M. J,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ogra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Y: Macmillan Publishing Co 1993

      45 Lewenfeld, V., "Creative and mental growth (6th ed)" NY : Macmillan 1975

      46 Schirrmacher, R,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Albany, NY : Delmar Pulishers, Inc 1998

      47 Feeney, S., "A thing of beauty: Aesthetic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42 (42): 7-15, 1987

      48 육아정책개발센터, "5세 보육프로그램"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2007

      49 육아정책개발센터, "4세 보육프로그램"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2007

      50 육아정책개발센터, "3세 보육프로그램"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2007

      51 서소정, "2세 보육프로그램" 여성가족부 육아정책개발원 2007

      52 육아정책개발센터, "1세 보육프로그램"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2007

      53 육아정책개발센터, "0세 보육프로그램"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7 1.48 2.19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