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을 통한 특수교육의 질 향상'이라는 정책목표를 가지고 집행되는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이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집행되는지 살펴보고, 문제점을 밝히며 개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092281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학위논문(박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교육정책전공 , 2013. 2
2013
한국어
충청북도
ⅶ, 288 p.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을 통한 특수교육의 질 향상'이라는 정책목표를 가지고 집행되는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이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집행되는지 살펴보고, 문제점을 밝히며 개선...
본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을 통한 특수교육의 질 향상'이라는 정책목표를 가지고 집행되는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이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집행되는지 살펴보고, 문제점을 밝히며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기존의 정책집행이론과 특수교육관련정책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 집행연구를 위한 변수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변수는 충청남도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육보조원, 특수교사, 통합교사들에게 적용되었고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의 집행실태 및 문제점,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먼저,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의 집행실태 및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에 참여하는 특수교육보조원, 특수교사, 통합교사는 정책의 목표와 내용을 자의적으로 해석하며 정부가 정책을 통해 이룩하고자 하는 사회적 상태를 간과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정부가 본 정책을 통해 특수교육의 질 향상과 통합교육의 발전으로 안내하려고 했던 정책적 취지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전문성 부족, 특수교사들의 정책내용의 주관적 판단, 통합교사들과 관리자의 비협조적 태도라는 새로운 장애물을 만나고 있었다.
특수교육보조원과 특수교사, 통합교사들은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을 통해 특수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정책집행 시 세 집단의 협조관계와 상호작용은 원활이 이뤄지지 않는 이중적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정부의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처우개선제도 역시, 특수교육보조원에게는 만족을 주지 못하고 교사집단에게는 위화감을 조성하는 모습을 보이며 통합교육현장에서 긍정적으로 수용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자가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에 참여하는 세 집단에게 특수교육과 관련된 심층적이고 전문화된 교육적 서비스를 실시하여 기본적인 특수교육의 이해가 마련된 뒤 본 정책의 구체적인 취지와 목표, 정책내용,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협력적 지원을 위해 학교현장은 공개적이고 협력적인 체제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각 특수학급에 설치되어있는 개별화교육지원팀을 강화되어야할 것이다.
셋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채용절차는 다수의 특수교육전문가들이 채용하는 구조로 수정되어야 하며, 특수교육보조원이 배치된 학교는 정기적인 평가관리를 통해 인력의 누수를 막아야 할 것이다.
넷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장애학생지원능력 향상을 위해 특수교육보조원의 채용을 학기 말로 이동시켜 역할에 대한 사전연수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의 특수교육보조원의 연수는 경력별․학급별․학교별로 세분화하여 학교상황과 밀접한 내용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며, 연수 기획 단계부터 특수교육보조원을 참여시켜 연수내용의 현장감을 높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이 통합교사와 관리자의 방임적 태도에 의해 축소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들에 대한 역할의 재정립과 통합교육의 바른 이해를 전제로 한 가산점 제도의 도입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을 내용, 조직, 환경으로 구분하여 학교현장을 관찰함으로써 정책참여자들의 다양한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특수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적 실천방안을 제시한 연구라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남궁근, "정책학", 2010
2 유훈, "정책집행론", 대영문화사, 2007
3 최영훈, "정책평가론", 2007
4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 정책학원론, 1992
5 황선영, "사회복지정책론", 양서원, 2003
6 Rein, "From Policy to Practice", From policy to practice, 1983
7 Wildavsky, Pressman, "Implementation(3rd ed.)", 1984
8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운영계획", 2009
9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특수교육연차보고서, 2011
10 Hipsky, "The paraprofessional perspective", 2007
1 남궁근, "정책학", 2010
2 유훈, "정책집행론", 대영문화사, 2007
3 최영훈, "정책평가론", 2007
4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 정책학원론, 1992
5 황선영, "사회복지정책론", 양서원, 2003
6 Rein, "From Policy to Practice", From policy to practice, 1983
7 Wildavsky, Pressman, "Implementation(3rd ed.)", 1984
8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운영계획", 2009
9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특수교육연차보고서, 2011
10 Hipsky, "The paraprofessional perspective", 2007
11 채경석, "정책집행의 논리와 현실", 대영문화사, 2000
12 윤기석, "정부성과관리와 평가제도", 정부성과 관리와 평가제도, 2006
13 경기도교육청, "특수교육보조원 운영지침", 2004
1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Ⅰ: Bricoleur", 질적연구방법론Ⅰ: Bricoleur, 2006
15 남정걸, "특수교육 장학과 지원 행정", 2003
16 Johnson, "Learning together and alone (3rd ed.)", Learning together andalone (3rd ed.), 1991
17 Giangreco, Doyle, "Teacher assistants ininclusive schools", 2007
18 국립특수교육원, "특수학급 운영환경 개선방안", 특수학급운영 환경개선방안, 2001
19 서울시교육청, "2008 특수교육보조원 운영계획", 2008
20 서울시교육청, "2009 특수교육보조원 운영계획", 2009 특수교육보조원운영계획, 2009
21 김은주, 김정균, 박현옥, 권택환, "통합학급 운영실태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3
22 U.S.Department of education, "title I paraprofessionals:non-regulatory", 2002
23 윤종건, "학교조직건강진단방법의 탐색",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1974
24 Sawicki, Patton, "Basic method of policyanalysis and planning", 1993
25 Likins, Pickett, Wallace, "The employmentand preparation of paraeducators", 2003
26 강영택, 강경숙, 김성애, 정동일,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2
27 박미경, 강경숙,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및 관리 방안", 2004
28 교육인적자원부, "제 2차 특수교육발전 종합계획(03-07)", 2004
29 교육인적자원부, "제 3차 특수교육발전 종합계획(08-12)", 2007
30 French, "Paraeducators: Who are they and what do they do?", Paraeducators: Who are they and what dothey do, 1999
31 왕기항, "학교 조직 건강 진단을 위한 분석 연구", 학교조직건강진단을 위한 분석연구, 1983
32 尹鍾健, "학교조직건강 진단검사의 표준화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1989
33 Matthew Miles, "Planes Change and Organizational Health;Figure and Ground", 1965
34 Friend, "Myths and Misunderstandings about ProfessionalCollabration", 2000
35 U.S.Department of education, "US. Department of education fiscal year Performance Report", 2008
36 김남순(Kim Nam Soon),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통합정책 분석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005
37 박승희, 최선실, "통합교육실시를 위한 일반교사의 지원 요구", 2001
38 Sabatier, Mazmanian,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policy: a framework of analysis", 1980
39 이인순, "초등학교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2005
40 조광순(Kwang-Sun Cho Blair), "장애아동 조기발견 및 서비스 체제의 개선 방안",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장애아이 We Can 공청회 자료집(7-35).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2004
41 강근복, "정책분석 및 평가에서의 양적·질적 연구의 혼합", 정책분석 및 평가에서의 양적 질적연구의 혼합, 2008
42 정정진, "통합교육 촉진을 위한 특수교육보조원 활용방안",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6
43 이원례, "통합교육정책의 효과성 효율성 형평성 평가연구", 2008
44 안지영,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정신지체특수학교 전공과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2003
45 김성애,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및 훈련", 2002
46 신은향, "통합학급 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조사", 2003
47 정희섭, "특수교육 지원대상자를 위한 특수학급 운영 편람", 2006
48 함께걷는길벗회, "발달장애아 공익 보조교사 제 1차 연수교육자료집", 2000
49 김선영,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수행능력에 대한 인식조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50 충청남도교육청, "공무원이 아닌 근로자의 무기계약직 전환추진계획", 2012
51 U.S.Department of education, "Alternate achievement standards of student: non- regulatory guidance", 2005
52 이부옥, "장애아동 통합교육을 위한 보조교사제에 관한 연구", 2002
53 이종환, "(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 공동체, 2009
54 이재칠, "한국 재가 노인복지정책의 집행에 관한 실증적 연구", 2007
55 김인종, "부패방지정책 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2010
56 충청남도교육청, "학교회계직원 근무여건 및 임금체계 개선 계획요약본", 2012
57 이미선(Lee Mi-seon), 조광순(Blair Kwang-sun Cho), "미국의 특수교육 지원조직 관련 법규와 운영실태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58 우정한(Woo, Jeong-Han),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교수 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3
59 박승희, 전인진, "보조교사의 역할 규명과 순기능 및 역기능에 관한 고찰", 特殊敎育學會, "특수교육학연구, 2001
60 Young, Oran R, "Compliance and public authority : a theory with international applications", Published for Resources for the Future b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9
61 U.S.Department of education, "title I: improving theacademic acbievement of the disadvantagd: final rule", 2003
62 김용욱, 강경숙, "특수교육보조원의 실태 및 자질과 역할에 대한 인식수준", 국립특수교육원,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2004
63 정희섭, "한국 특수교육기관의 운영실태 및 교육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특수교육기관의 운영실태 및 교육 만족도 조사 연구, 2006
64 정영숙, "보조교사를 활용하는 통합학급의 교사와 아동의 인식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보조교사를 활용하는 통합학급의 교사와 아동의 인식연구, 2003
65 이인숙 최상배, "특수교사 및 특수교육보조원 실태인식 및 지원만족도 조사", 2005
66 김기룡, 정재우, 김치훈, "전국장애통합교육보조원 수요 및 보조원 지원 유형 욕구조사", 전국 장애통합교육보조원 수요 및 보조원지원유형욕구조사, 2005
67 Hill, Lamont,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paraprofessionals in the regular elementary classroom", 1991
68 U.S.Department of education, "issue brief: description and employmentcriteria of instructional paraprofessionals", 2007
69 박승희,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 :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관계 재정립", 교육과학사, 한국 장애학생통합교육: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관계재정립, 2003
70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Description and employment criteria of instructional paraprofessionals (Issues Brief)", Description andemployment criteria of instructional paraprofessionals (IssuesBrief), 2007
71 김정대,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학급운영 및 교육 과정에 관한 인식",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2 Levine, Schrader, Marks, "Paraeducator experiences in inclusive settings: Helping, hovering or holding their own?", "Paraeducatorexperiences in inclusive settings: Helping, 1999
73 Giangreco, Doyle, "Paraprofessional suppor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Literature from the past decade", Paraprofessional suppor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Literature from the past decade, 2001
74 권애경, "특수교육 보조원활용에 대한 특수학급 학부모의 인식및 요구분석", 2005
75 나수현, 장혜성, "특수교육보조원의 연수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 조사연구", 2007
76 Summer.J, Blue-Banning.M, "Dimension of family and professional partnerships : Constructive guide for collaboration", 2004
77 Wood, "Teaching students in inclusion settings: Adapting and accommodating instruction (5th ed.)", Teaching students in inclusion settings:Adapting and accommodating instruction (5th ed.), 2006
78 양경숙,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에 대한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갈등수준", 2011
79 백지은, "분리불안 장애 아동의 특성과 부모-자녀 놀이치료 프로그 램의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분리불안장애 아동의 특성과 부모-자녀 놀이치료프로그램의 효과, 2007
80 최성규(Choi, Sung-kyu), 권애경(Kwon Ae Kyung), "특수교육 보조원 활용에 관한 특수학급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분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특수아동교육연구, 2006
81 김광수, "특수교육보조원운영에 특수학급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비교", 2006
82 Lewis, McKenzie, "The role and training of paraprofessionals who work with students who are visually impaired", The role and training ofparaprofessionals who work with students who are visuallyimpaired, 2008
83 이희연,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실태 및 활용 방안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요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4 윤정희,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수행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와보조원의 인식비교", 2011
85 Alper, Ryndak,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students significant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 (2nd 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students significant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 (2nd ed.), 2003
86 Xin, Minondo, Meyer, "The role and responsibilities of teaching assistants in inclusive education: What's appropriate", The role andresponsibilities of teaching assistants in inclusive education:What's appropriate, 2001
87 박은혜, "지체부자유아 교육연구의 최근 동향: 중도 지체부자유 학생을 중심으로", 지체부자유아 교육연구의 최근 동향: 중도 지체부자유학생을 중심으로, 2002
88 Edelman, Giangreco, "I've counted Jon": transformational experiences of teachers educ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ve counted Jon: Transformational experiences ofteachers educ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1994
89 김봉업,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에 대한 특수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 비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90 Boomer, "The utilization of paraprofessionals inprogra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teachers", 1994
91 조정일, "통합교육보조교사 지원활동이 발달장애 아동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통합교육보조교사 지원활동이 발달장애 아동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2001
92 황준영, "초등학교관리자의 통합교육과 특수교육보조원제에 대한인식 및 요구분석", 2007
93 성정현, 성정현, "특수교육 보조원제도 및 운영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4 송윤조,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및 가족 특성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95 진은랑, "특수학급의 유무에 따른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기대와 갈등에 관한 연구", 2005
96 김남진(Kim NamJin), "제주지역 특수교육보조원 관점에서 본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2006
97 이은정(Lee, Eun-jung), "장애 학생의 대규모 일반교육과정 중심 학업 성취도 평가 참여의 현황 및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교육학연구, 2009
98 최유미,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실태와 그 효과에 대한 통합학급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실태와 그 효과에 대한 통합학급교사의 인식 및 요구분석, 2009
99 서정애, "유 초등학교 특수교육보조원 제도의 인식; 현 정부지원특수교육보조원 중심으로", 2005
100 U.S.Department of education, Rehabilitative Services, "25th annual report to Congres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lities Education Act (Vol. 1)", 2005
101 Malmgren, Causton-Theoharis, "Increasing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via paraprofessional training", Increasing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their peers via paraprofessional training, 2005
102 국립특수교육원부설원격교육연수원, "특수교육지원을 위한 보조자로서의 역할과 이해 특수교육보조원기초과정 연수자료", 2012
103 이실배, "특수학급 및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하는 특수교육보조원의 규범적 임무와 현상적 임무",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2007
104 Nandini,S., 이경순, 김주혜,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프로그램이 교수행동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2008
105 박승희,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의 개념과 실행 방안", 特殊敎育學會, "특수교육학연구, 1999
106 이소현, 조윤경, "장애유아의 사회성 촉진을 위한 중재가 통합학급 유아들의 장애유아수용에 미치는 영향", 2002
107 이경옥, "특수교육보조원을 활용한 통합교육이 장애아동의 학습태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2005
108 박종천, "중등학교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관한 실태 조사: 특수교사 및 관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중등학교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에 관한 실태조사;특수교사 및 관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2006
109 Monzo, Rueda, "Apprenticeship for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issues surrounding the collabrorative between teachers and paraeducators", 2002
110 권주석, "미국 특수교육보조원 제도 및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한국 특수교육보조원 제도의 운영방향 탐색", 2007
111 U.S.Department of education, "Standards and assessmentspeer review guidance: information and examples formeeting requirements of the no child left behind act of2001", 2004
112 장명순,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 태와 성과에 대한 통합학급교사 특수학급교사,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비교조사연구",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 태와 성과에 대한 통합학급교사 특수학급교사, 2006
113 Morgan, Ashbaker, "The 'S' in ASCD: Teachers supervising paraeducator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54th", The 'S' in ASCD: Teacherssupervising paraeducator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curriculum development 54th,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