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객의 심리적 거리가 할랄푸드 인식과 할랄푸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psychological distance on recogni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r Halal fo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47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distance on customer's recogni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r Halal food. The questionnaire distributed 300 copies, and 240 copies of the collected copies were excluded unfaithfulness. Then, 200 part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the customers is partially related to halal food’s recognition. Specifically, 'negativity' and 'politeness' among psychological distance factors showed positive (+) influence on halal food’s recognition. Second, only 'negative' factor in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the custom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halal food. Third, customer 's perception of halal food influenced the purchase intention of halal food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popularize ethnic foods such as Vietnamese food and Italian foo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sistance to unfamiliar foods through continuous publicity on the Internet such as Twitter, Facebook and Blog. Second, due to the biased reporting of the media, Islamic religion tends to be perceived as a terrorist group. In order to offset negative images, Muslim-friendly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should be preceded by Muslim culture exhibition, World food culture festival. Third, in order to highlight the positive image of halal food as a safe and healthy food, objective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along with accurate information on TV and medi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distance on customer's recogni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r Halal food. The questionnaire distributed 300 copies, and 240 copies of the collected copies were excluded unfaithful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distance on customer's recogni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r Halal food. The questionnaire distributed 300 copies, and 240 copies of the collected copies were excluded unfaithfulness. Then, 200 part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the customers is partially related to halal food’s recognition. Specifically, 'negativity' and 'politeness' among psychological distance factors showed positive (+) influence on halal food’s recognition. Second, only 'negative' factor in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the custom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halal food. Third, customer 's perception of halal food influenced the purchase intention of halal food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popularize ethnic foods such as Vietnamese food and Italian foo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sistance to unfamiliar foods through continuous publicity on the Internet such as Twitter, Facebook and Blog. Second, due to the biased reporting of the media, Islamic religion tends to be perceived as a terrorist group. In order to offset negative images, Muslim-friendly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should be preceded by Muslim culture exhibition, World food culture festival. Third, in order to highlight the positive image of halal food as a safe and healthy food, objective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along with accurate information on TV and medi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이 느끼는 심리적 거리가 할랄푸드 인식과 할랄푸드 구매의도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300부를 배포하였고, 회수한 240부중 불성실한것을 제외하여 200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고객의 심리적 거리는 할랄푸드 인식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거리 요인 중 ‘부정성’과 ‘정책성’은 할랄푸드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의 심리적 거리에서 ‘부정성’요인만이 할랄푸드 구매의도에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의 할랄푸드 인식은 할랄푸드 구매의도에 유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는 첫째, 시사점으로는 첫째, 베트남음식, 이태리 음식처럼 에스닉 푸드가 대중화되기 위해서 Twitter, Facebook, 블로그와 같은 인터넷상의 지속적인 홍보 및 마케팅을 통하여 낯선 음식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둘째, 언론매체의 편향적인 보도로 인하여 이슬람 종교는테러집단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부정적인 이미지를 상쇄하기위해 이슬람 문화 전시회, 세계음식문화축제를 통하여 무슬림 친화교육, 시민교양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할랄푸드가 안전하고 건강에 좋은 음식이라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TV 및 언론매체의 정확한 정보제공과 더불어 객관적인 보도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이 느끼는 심리적 거리가 할랄푸드 인식과 할랄푸드 구매의도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300부를 배포하였고, 회수한 240부중 불성실한것...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이 느끼는 심리적 거리가 할랄푸드 인식과 할랄푸드 구매의도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300부를 배포하였고, 회수한 240부중 불성실한것을 제외하여 200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고객의 심리적 거리는 할랄푸드 인식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거리 요인 중 ‘부정성’과 ‘정책성’은 할랄푸드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의 심리적 거리에서 ‘부정성’요인만이 할랄푸드 구매의도에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의 할랄푸드 인식은 할랄푸드 구매의도에 유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는 첫째, 시사점으로는 첫째, 베트남음식, 이태리 음식처럼 에스닉 푸드가 대중화되기 위해서 Twitter, Facebook, 블로그와 같은 인터넷상의 지속적인 홍보 및 마케팅을 통하여 낯선 음식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둘째, 언론매체의 편향적인 보도로 인하여 이슬람 종교는테러집단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부정적인 이미지를 상쇄하기위해 이슬람 문화 전시회, 세계음식문화축제를 통하여 무슬림 친화교육, 시민교양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할랄푸드가 안전하고 건강에 좋은 음식이라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TV 및 언론매체의 정확한 정보제공과 더불어 객관적인 보도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철민, "할랄식품시장의 의의와 동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2 백진경, "할랄 인증제에 관한 전문가 심층인터뷰와 인식분석" 한국중동학회 35 (35): 197-229, 2014

      3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4 허경미, "자살 테러의 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18 (18): 583-608, 2009

      5 오명석, "이슬람적 소비의 현대적 변용과 말레이시아의 할랄 인증제: 음식, 이슬람법, 과학, 시장의 관계" 한국문화인류학회 45 (45): 3-62, 2012

      6 엄익란,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한국이슬람학회 23 (23): 33-56, 2013

      7 이희열, "이슬람 관광시장 확대에 따른 우리 관광산업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이슬람학회 24 (24): 27-60, 2014

      8 전영자,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고정관념과 감정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9 (19): 1-13, 2010

      9 박종구, "언론보도에 따른 이태원관광특구 이슬람음식의 사회적 거리감" 한국관광학회 36 (36): 11-30, 2012

      10 이슬기, "블루오션으로서의 무슬림시장과 할랄에 대한 국내 인식 연구 : 빅데이터를 이용한 ‘할랄’ 네트워크 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 32 (32): 493-513, 2017

      1 김철민, "할랄식품시장의 의의와 동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2 백진경, "할랄 인증제에 관한 전문가 심층인터뷰와 인식분석" 한국중동학회 35 (35): 197-229, 2014

      3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4 허경미, "자살 테러의 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18 (18): 583-608, 2009

      5 오명석, "이슬람적 소비의 현대적 변용과 말레이시아의 할랄 인증제: 음식, 이슬람법, 과학, 시장의 관계" 한국문화인류학회 45 (45): 3-62, 2012

      6 엄익란,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한국이슬람학회 23 (23): 33-56, 2013

      7 이희열, "이슬람 관광시장 확대에 따른 우리 관광산업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이슬람학회 24 (24): 27-60, 2014

      8 전영자,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고정관념과 감정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9 (19): 1-13, 2010

      9 박종구, "언론보도에 따른 이태원관광특구 이슬람음식의 사회적 거리감" 한국관광학회 36 (36): 11-30, 2012

      10 이슬기, "블루오션으로서의 무슬림시장과 할랄에 대한 국내 인식 연구 : 빅데이터를 이용한 ‘할랄’ 네트워크 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 32 (32): 493-513, 2017

      11 채경연, "방한 이슬람 관광시장 증진을 위한 할랄 투어리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산업학회 11 (11): 95-103, 2015

      12 박종구, "문화다양성과 언론보도에 따른 이슬람음식의 사회적 거리감의차이" 69 (69): 711-723, 2011

      13 한국농촌경제원, "농업농촌경제동향: 이슬람권 농식품 시장수출 동향 및 잠재성" 2016

      14 공이철, "국제시장에서의 할랄(Halal)산업의 가치와 한국기업의 할랄시장 진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12

      15 이상미, "국내거주 외국인의 한식 레스토랑 선택과만족도 및 재방문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12 (12): 293-313, 2009

      16 Battour, M. M., "Toward a halal tourism market" 15 (15): 461-470, 2010

      17 Aj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50 : 179-211, 1991

      18 Aziz, Y.A., "The Role of Halal Awareness and Halal Certification in Influencing Non-Muslim' Purchase Intention" 2012

      19 Abdul Latif, Z. A., "The Impact of Food Labeling on Purchasing Behavior Among Non-Muslim Consumers in Klang Valley" 7 (7): 124-128, 2013

      20 Rosly, S. A., "Shariah parameters reconsidered" 3 (3): 132-146, 2010

      21 Delener, N., "Religious contrasts in consumer decision behavior patterns : their dimensions and marketing implications" 28 (28): 36-53, 1994

      22 Lada, S., "Predicting intention to choose halal products using theory of reasoned action" 2 (2): 66-76, 2009

      23 Muhammad, N. M., "Positioning Malaysia as Halal-Hub: integration role of supply chain strategy and halal assurance system" 5 (5): 44-, 2009

      24 Rezai, G., "Non-Muslim consumer's understanding of Halal principles in Malaysia" 3 (3): 35-46, 2011

      25 Nor Sara N. M. Y., "Muslim's Purchase Intention towards Non-Muslim's Halal Packaged Food Manufacturer" 130 : 145-154, 2014

      26 Bonne, K., "Muslim consumers attitude towards meat consumption in Belgium:insights from a means-end chain approach" 5 : 367-389, 2006

      27 Bonne, K., "Muslim Consumer Trust in Halal Meat Status and Control in Belgium" 79 (79): 113-123, 2008

      28 Jin, B., "Integrating Effect of Consumer Perception Factors In Predicting Private Brand Purchase in a Korean Discount Store Context" 22 (22): 62-71, 2005

      29 Chen Man, Y., "Handbook of Poultry Science and Technology" 183-216, 2010

      30 Power, C, "Halal: Buying Muslim"

      31 Riaz, M. N., "Halal: An emerging food quality standard: Similarities of halal and HACCP" Kuala Lumpur Convention Center 2010

      32 Pointing, J., "Halal meat and food crime in the UK"

      33 Riaz, M. N., "Halal food production" CRC Press 2004

      34 Ali, N., "Halal Food: Thai Halal Food Product and International Market" Karlstad University 2010

      35 Muhammad, N., "Halal Branding: An Exploratory Research among consumers in Malaysia"

      36 Grunert, K. G., "Food quality and safety: consumer perception and demand" 2005

      37 Choe, J.Y., "Food neophobia and willingness to try non-traditional foods for Koreans" 22 (22): 671-677, 2011

      38 Johns, N., "Food neophobia and the adoption of new food products" 41 (41): 201-209, 2011

      39 Verbeke, W., "Ethnic food attitudes and behavioral among Belgians and Hispanics living in Belgium" 107 : 823-840, 2005

      40 Tieman, M., "Establishing the principles in halal logistics" 1 (1): 1-13, 2013

      41 Johhye, H., "Effects of food neophobia, familiarity, and nutrition information on comsumer acceptance of Asian menu items" 19 (19): 171-187, 2010

      42 Bergeaud-Blackler F., "Dune consommation occasionnelle a on regime halal: quelles consequence sur la sante ?" 129 (129): 2007

      43 Golnaz, R., "Concern of Halalness of Halal-Labelled Food Product among Muslim Consumer in Malaysia, Evaluation Selected Demographic Factors" 4 : 65-73, 2009

      44 Soesilowati, E. S., "Business Opportunities for Halal Products in the Global Market : Muslim Consumer Behavior and Halal Food Consumption" 3 : 151-160, 2010

      45 Alam, S.S.,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in Halal Food Purchasing" 21 (21): 8-20, 2011

      46 Vloreen Nity, M., "Acceptance on Halal Food among Non-Muslim Consumers" 121 : 262-271,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86 0.915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