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 전기 읍성의 축조기법 변화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12859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충북대학교 , 고고미술사학과 고고학전공 , 2023. 8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11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Changes in Construction Techniques of Town wal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형태사항

        ix, 133 p. : 삽화, 표 ; 26 cm

      • 일반주기명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 양시은
        참고문헌 : p.127-133

      • UCI식별코드

        I804:43009-000000058624

      • 소장기관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 전기 읍성의 축조기법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그동안 조선시대의 읍성에 대한 연구가 문헌사, 고고학, 지리학, 건축학 등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었지만, 대...

      본 논문은 조선 전기 읍성의 축조기법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그동안 조선시대의 읍성에 대한 연구가 문헌사, 고고학, 지리학, 건축학 등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었지만, 대부분 일정한 지역에 한정된 것들이 많았다.
      그러나 이후 읍성에 대한 발굴조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이전에 비하여 고고학 자료가 많이 축적되었다. 따라서 읍성이 활발하게 축조되었던 조선 전기의 문헌 기록과 현재까지 조사된 고고학 자료를 비교 및 검토하여 읍성의 축조기법에 대하여 명확히 밝힐 필요성을 느꼈다.
      특히, 그중에서도 조선 전기의 국가 표준 축성법이라고 할 수 있는 1438년(세종 20)에 반포된 ‘축성신도(築成新圖)’에 주목하였다. 조선 세종 시기에는 집권체제가 강화되면서 성곽 축조에 대한 여러 논의도 진행되었다. 그 결과 ‘축성신도’가 반포되었는데, 이는 현재 전하지 않지만, 그 폐단으로 인하여 보완책을 제시한 겸성균주부(兼成均注簿) 이보흠의 상소문을 통하여 그 내용을 대략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축성신도’ 반포를 전후로 하여 조선 전기 읍성의 변화 양상을 고고학 자료를 통하여 살펴보고, 그 원인을 당시의 문헌 기록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고고학 자료를 통한 분석 결과, 조선 전기 읍성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가장 먼저 고려시대에 축조된 토성을 고려시대 말기 혹은 조선시대 초기에 들어와서 석성으로 개축한 경우, 두 번째는‘축성신도’의 규식에 맞추어 축조된 경우이고, 세 번째는 이보흠의 상소에 따라 새롭게 축조되거나 개축된 경우, 네 번째 그 이후에 내벽을 수직 형태가 나타나는 사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를 현재까지의 고고학 자료와 문헌 기록을 바탕으로 종합하여 3개의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를 구분 짓는 가장 큰 기준 역시 ‘축성신도’이다. ‘축성신도’의 큰 특징은 내벽이 계단식으로 조성되었다는 것으로 현재까지 발굴조사 된 자료를 살펴보면, 계단식 내벽이 조성된 것 중 가장 이른 것은 1417년(테종 17)에 축조된 하동읍성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축성신도 반포 이전부터 그 모델이 되는 읍성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축성신도의 규식에 맞추어 석재로만 내벽을 계단식으로 조성한 것과 이보흠의 상소에 따라서 계단식 내벽에 흙을 덮은 것이 있는데 그 변화가 짧은 시간 안에 발생하였고, 석축만으로 조성된 사례 또한 극소수이므로, 고고학 자료상으로는 쉽게 구분 짓기 어려워 하나의 시기로 구분하였다.
      1451년(문종 1)에 축성된 고현읍성부터는 수직 형태의 새로운 형태의 내벽이 확인되는데, 이 시점 이후로 새로운 시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성을 축조하는데 들어가는 시간을 줄이고, 빗물에 대비하여 좀 더 견고하게 만들기 위한 조치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조선 전기의 읍성은 성마다 세부적인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외부는 석축으로 견고하게 쌓고 내부는 흙으로 경사지게 덮는 등 공통적인 축성방식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축성신도’의 반포를 병조, 즉 정부에서 관장하였고, 그를 관리하고 감독하는 관청을 통해 읍성 축조를 국가적인 사업으로 진행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nges in the construction methods of early Joseon Town walls. While research on Joseon-era Town walls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ical records, archaeology, geography, and architecture, most of them h...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nges in the construction methods of early Joseon Town walls. While research on Joseon-era Town walls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ical records, archaeology, geography, and architecture, most of them have been limited to specific regions. However, with the active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of Town walls in recent years, a significant amount of archaeological data has been accumulated. Therefore, there was a need to clarify the construction methods of Town walls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historical records of Town walls construction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and the archaeological data gathered so far.
      In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the 'Chukseong Sindo' promulgated in 1438 (Sejong 20),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national standard construction method of the early Joseon period. During King Sejong's
      reign, discussions on Town walls construction were held as the royal authority strengthened. As a result, the 'Chukseong Sindo' was promulgated. Although it is not currently extant, the content can be roughly understood through a petition letter by Lee Bo-hum, who presented measures to improve it due to its shortcomings. Based on this,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construction of Town wall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before and after the promulgation of the 'Chukseong Sindo' using archaeological data and contemporary documentary records to identify the reasons behind these changes.
      The analysis of archaeological data revealed that the Town walls of the early Joseon period could be broad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Firstly, there were earthwork Town walls that were initially built during the
      Goryeo period and later transformed into stone Town walls in the late Goryeo or early Joseon period. The second category consisted of Town wall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of the 'Chukseong
      Sindo.' The third category included Town walls that were newly built or rebuilt based on Lee Bo-hum's petition. The fourth category comprised cases where vertical walls appeared after the aforementioned periods.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existing archaeological data and historical records, these Town wall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major periods, with the primary criterion being the 'Chukseong Sindo.' One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the 'Chukseong Sindo' was the construction of stepped walls. Among the excavated materials, the earliest example of stepped walls was found in Hadong Town wall, constructed in 1417(Taejong 17). This suggests that Town wall models with stepped walls existed before the promulgation of the 'Chukseong Sindo.' Additionally,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cases where only stone walls were built in
      a stepp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of the 'Chukseong Sindo,' while in other instances, earth covering was added to the stepped walls. The transition occurred within a relatively short period, and cases of
      solely stone construction were rare, making it difficult to distinguish them easily in archaeological data, thus they were categorized as one period.
      From the construction of Gohyeon Town wall in 1451 (Munjong 1) onwards, a new form of vertical walls was observed, marking a distinct period. These changes were interpreted as measures aimed at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Town wall construction and strengthening them against rainfall. In conclusion, although there were specific variations among Town walls, it was confirmed that the basic construction method of early Joseon Town walls involved solid stone outer walls and sloping earth-covered inner walls. This indicates that the promulgation of the 'Chukseong Sindo' was supervised by the government and conducted as a national project through administrative offices responsible for its management and supervi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시대적 배경 1
      • 2. 선행연구 검토 3
      • 3. 연구목적 및 방법 6
      • Ⅰ. 서 론 1
      • 1. 시대적 배경 1
      • 2. 선행연구 검토 3
      • 3. 연구목적 및 방법 6
      • Ⅱ. 연구대상 8
      • 1. 읍성의 정의와 현황 8
      • 2. 분석대상 17
      • Ⅲ. 읍성 축조기법 검토 62
      • 1. 체성부 62
      • 2. 부속시설 82
      • Ⅳ. 읍성 축조기법의 변화와 그 의미 100
      • 1. 조선 전기 읍성의 축성기법 변화 101
      • 2. 축성사적 의의 119
      • Ⅴ. 결 론 123
      • 참고문헌 12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