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정투쟁으로서의 부부갈등 = Couple Conflicts as Struggles for Recogn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374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악셀 호네트(Axel Honneth)의 인정투쟁 이론을 통해 부부갈등을 이해하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연구되었다. 사회적 무시를 극복하고 새로운 상호인정 관계를 형성하고자 노력하는 인정투쟁 이론에는 부부를 위한 목회상담과 목회신학을 위한 중요한 통찰이 담겨있다. 헤겔에게서 인정이론의 기초를 발견한 호네트는 조지 허버트 미드(George Herbert Mead)의 사회심리학을 통해 인정투쟁의 사회과학적 기초를 마련한다. 호네트는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목적격 나(me)와 이와 대립하면서 자기의 고유함을 주장하는 주격 나(I) 사이에는 창조적 변화를 촉발하는 인정투쟁이 일어난다고 보았다. 호네트에 의하면 인정투쟁이 발생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영역은 정서적 유대, 권리의 인정, 공동의 가치 지향이다. 호네트는 이 영역들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경험을 ‘사랑’과 ‘권리’와 ‘연대’라고 하는 세 가지 형태의 상호주관적 인정 경험의 유형들로 구별한다. 이 상호주관적 인정 경험의 영역들에서 인정이 아닌 무시가 경험될 경우, 인정관계를 회복하고 얻어내고자 하는 인정투쟁이 발생한다. 이 세 가지 인정 경험의 유형들은 부부치료 현장에서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상호주관적 인정관계는 부부관계의 핵심을 이루는 것이며, 인정투쟁은 상호인정에 기초한 부부의 상호주관성에 상처가 발생했다는 표시이며, 그 상호주관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다. 상호주관적 인정투쟁의 관점은 부부를 돕는 목회상담 현장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목회상담자는 부부갈등을 문제로 보는 것이 아니라 상호주관적 인정욕구의 좌절로 인해 발생한 불안에 대처하기 위해 발전시킨 증상으로 이해할 때 부부를 도울 수 있는 중요한 치료적 관점을 얻을 수 있다. 이 관점에서 볼 때, 인정투쟁으로서의 부부갈등은 목회상담자의 지혜로운 안내에 따라 상호인정으로 나아가는 창조적 에너지로 사용될 가능성을 품고 있다. 목회신학적 관점에서 이해할 때, 인정투쟁을 통해 상호주관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부부의 분투는 상호주관적 관계 속에 존재하시는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여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악셀 호네트(Axel Honneth)의 인정투쟁 이론을 통해 부부갈등을 이해하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연구되었다. 사회적 무시를 극복하고 새로운 상호인정 관계를 형성하고자 노력하는 인정...

      이 논문은 악셀 호네트(Axel Honneth)의 인정투쟁 이론을 통해 부부갈등을 이해하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연구되었다. 사회적 무시를 극복하고 새로운 상호인정 관계를 형성하고자 노력하는 인정투쟁 이론에는 부부를 위한 목회상담과 목회신학을 위한 중요한 통찰이 담겨있다. 헤겔에게서 인정이론의 기초를 발견한 호네트는 조지 허버트 미드(George Herbert Mead)의 사회심리학을 통해 인정투쟁의 사회과학적 기초를 마련한다. 호네트는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목적격 나(me)와 이와 대립하면서 자기의 고유함을 주장하는 주격 나(I) 사이에는 창조적 변화를 촉발하는 인정투쟁이 일어난다고 보았다. 호네트에 의하면 인정투쟁이 발생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영역은 정서적 유대, 권리의 인정, 공동의 가치 지향이다. 호네트는 이 영역들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경험을 ‘사랑’과 ‘권리’와 ‘연대’라고 하는 세 가지 형태의 상호주관적 인정 경험의 유형들로 구별한다. 이 상호주관적 인정 경험의 영역들에서 인정이 아닌 무시가 경험될 경우, 인정관계를 회복하고 얻어내고자 하는 인정투쟁이 발생한다. 이 세 가지 인정 경험의 유형들은 부부치료 현장에서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상호주관적 인정관계는 부부관계의 핵심을 이루는 것이며, 인정투쟁은 상호인정에 기초한 부부의 상호주관성에 상처가 발생했다는 표시이며, 그 상호주관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다. 상호주관적 인정투쟁의 관점은 부부를 돕는 목회상담 현장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목회상담자는 부부갈등을 문제로 보는 것이 아니라 상호주관적 인정욕구의 좌절로 인해 발생한 불안에 대처하기 위해 발전시킨 증상으로 이해할 때 부부를 도울 수 있는 중요한 치료적 관점을 얻을 수 있다. 이 관점에서 볼 때, 인정투쟁으로서의 부부갈등은 목회상담자의 지혜로운 안내에 따라 상호인정으로 나아가는 창조적 에너지로 사용될 가능성을 품고 있다. 목회신학적 관점에서 이해할 때, 인정투쟁을 통해 상호주관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부부의 분투는 상호주관적 관계 속에 존재하시는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여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marital conflicts using Axel Honneth's struggle for recognition theory. The theory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which strives to overcome social disrespect and construct new relationships of mutual recognition, contains rich insights for pastoral counseling and pastoral theology for couples. Honneth presents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not as a mere speculative pursuit but as a powerful practical and normative perspective that has much to do with contemporary society. Drawing upon George Herbert Mead, Honneth attempts to present a social scientific formulation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as the process of asserting one's uniqueness while being formed through the influences of others. According to Honneth, the areas of social interaction where struggles for recognition occur are emotional bonds, recognition of rights, and endowment of social value. These three areas can be co
      nceptualized as three types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love, rights, and solidarity. When social disrespect rather than recognition is experienced in these areas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individuals struggle to restore and obtain recognition in relationships. In couple relationships, a struggle for recognition can be seen as a sign that some disrespect has occurred in the couple's intersubjective recognition and as an attempt to restore their intersubjectivity.
      Moreover, pastoral counselors can gain an important therapeutic perspective that can help couples understand marital conflict not as a problem but as a struggle for recognition. When considered to be a struggle for recognition, marital conflict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creative energy to move toward mutual recognition under the wise guidance of pastoral counselors. Regarding pastoral theology, the attempt to recover intersubjectivity through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can be understood as a journey to recover the image of the Triune God who exists in intersubjective relationships.
      번역하기

      This paper presents a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marital conflicts using Axel Honneth's struggle for recognition theory. The theory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which strives to overcome social disrespect and construct new relationships of mutu...

      This paper presents a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marital conflicts using Axel Honneth's struggle for recognition theory. The theory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which strives to overcome social disrespect and construct new relationships of mutual recognition, contains rich insights for pastoral counseling and pastoral theology for couples. Honneth presents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not as a mere speculative pursuit but as a powerful practical and normative perspective that has much to do with contemporary society. Drawing upon George Herbert Mead, Honneth attempts to present a social scientific formulation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as the process of asserting one's uniqueness while being formed through the influences of others. According to Honneth, the areas of social interaction where struggles for recognition occur are emotional bonds, recognition of rights, and endowment of social value. These three areas can be co
      nceptualized as three types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love, rights, and solidarity. When social disrespect rather than recognition is experienced in these areas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individuals struggle to restore and obtain recognition in relationships. In couple relationships, a struggle for recognition can be seen as a sign that some disrespect has occurred in the couple's intersubjective recognition and as an attempt to restore their intersubjectivity.
      Moreover, pastoral counselors can gain an important therapeutic perspective that can help couples understand marital conflict not as a problem but as a struggle for recognition. When considered to be a struggle for recognition, marital conflict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creative energy to move toward mutual recognition under the wise guidance of pastoral counselors. Regarding pastoral theology, the attempt to recover intersubjectivity through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can be understood as a journey to recover the image of the Triune God who exists in intersubjective relationship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호네트, 악셀, "정의의 타자 : 실천 철학 논문집" 나남 2009

      2 프로이트, 지그문트, "정신병리학의문제들" 열린책들 205-306, 2003

      3 미드, 조지 허버트, "정신·자아·사회 : 사회적 행동주의자가 분석하는 개인과 사회" 한길사 2010

      4 엘리엇, 앤서니, "자아란무엇인가?" 도서출판삼인 2007

      5 악셀호네트, "인정투쟁" 사월의책 11-26, 2011

      6 호네트, 악셀, "인정투쟁" 사월의책 2011

      7 문성훈, "인정의시대 : 현대사회변동과5대인정" 사월의책 2014

      8 위니캇, 도널드, "성숙과정과촉진적환경"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0

      9 이상억, "부부관계를 평화로 이끄는 기독교 정의에 기초한 목회신학" 한국목회상담학회 21 : 163-190, 2013

      10 정연득, "가족관계를 위한 목회신학적 제안: 캐서린 라쿠나의 삼위일체 신학을 중심으로" 한국목회상담학회 32 : 296-333, 2019

      1 호네트, 악셀, "정의의 타자 : 실천 철학 논문집" 나남 2009

      2 프로이트, 지그문트, "정신병리학의문제들" 열린책들 205-306, 2003

      3 미드, 조지 허버트, "정신·자아·사회 : 사회적 행동주의자가 분석하는 개인과 사회" 한길사 2010

      4 엘리엇, 앤서니, "자아란무엇인가?" 도서출판삼인 2007

      5 악셀호네트, "인정투쟁" 사월의책 11-26, 2011

      6 호네트, 악셀, "인정투쟁" 사월의책 2011

      7 문성훈, "인정의시대 : 현대사회변동과5대인정" 사월의책 2014

      8 위니캇, 도널드, "성숙과정과촉진적환경"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0

      9 이상억, "부부관계를 평화로 이끄는 기독교 정의에 기초한 목회신학" 한국목회상담학회 21 : 163-190, 2013

      10 정연득, "가족관계를 위한 목회신학적 제안: 캐서린 라쿠나의 삼위일체 신학을 중심으로" 한국목회상담학회 32 : 296-333, 2019

      11 Grenz, Stanley J, "The Social God and the Relational Self : A Trinitarian Theology of the Imago Dei"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1

      12 McFadyen, Alistair I, "The Call to Personhood : A Christian Theory of the Individual in Social Relationship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3 김기철, ""사랑호흡"을 통한 부부 영적 친밀감 증진" 한국목회상담학회 36 : 72-103,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