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주 낭산과 최치원 - 신라~조선시대 낭산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 = Mt. Nangsan (狼山) of Gyeongju and Choi Chi-Won (崔致遠) - Focusing on the Image of Mt. Nangsan from the Silla to Joseon Periods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특정한 장소는 인간에 의해 의미가 부여되며, 시기에 따라서 새로운 이미지가 더해지며 특정한 의미가 강조되었다. 신라시대 낭산은 護國神이 머무는 산이었으며, 선덕왕대 이후 신라의 수미산이라는 이미지가 더해졌다. 신라인에게 낭산은 신라 혹은 왕경을 수호하는 神이 머무는 산으로 숭배되었으며, 호국 사찰로 알려진 사천왕사는 조선시대까지 존재하였다. 낭산이 경주의 鎭山이라는 인식은 신라시대부터 이어져 온 것이다.
      그리고 신라 왕릉과 불교 유적이 조성된 낭산에 최치원의 독서당이 중건되었다. 조선시대까지 최치원은 신라를 대표하는 유학자로 인식되었으며, 문인들은 최치원을 추숭하였다. 경주 최씨 가문은 최치원의 古宅을 수학 공간인 독서당으로 중건하여 유학자를 배출한 가문으로서의 위상을 내세우고자 하였다. 낭산은 신라 왕실의 추복 공간이었지만, 조선시대에는 유학자를 추숭하는 공간으로 재조명되었다. 경주 낭산의 역사적 위상․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라 이후, 낭산의 이미지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특정한 장소는 인간에 의해 의미가 부여되며, 시기에 따라서 새로운 이미지가 더해지며 특정한 의미가 강조되었다. 신라시대 낭산은 護國神이 머무는 산이었으며, 선덕왕대 이후 신라의 수...

      특정한 장소는 인간에 의해 의미가 부여되며, 시기에 따라서 새로운 이미지가 더해지며 특정한 의미가 강조되었다. 신라시대 낭산은 護國神이 머무는 산이었으며, 선덕왕대 이후 신라의 수미산이라는 이미지가 더해졌다. 신라인에게 낭산은 신라 혹은 왕경을 수호하는 神이 머무는 산으로 숭배되었으며, 호국 사찰로 알려진 사천왕사는 조선시대까지 존재하였다. 낭산이 경주의 鎭山이라는 인식은 신라시대부터 이어져 온 것이다.
      그리고 신라 왕릉과 불교 유적이 조성된 낭산에 최치원의 독서당이 중건되었다. 조선시대까지 최치원은 신라를 대표하는 유학자로 인식되었으며, 문인들은 최치원을 추숭하였다. 경주 최씨 가문은 최치원의 古宅을 수학 공간인 독서당으로 중건하여 유학자를 배출한 가문으로서의 위상을 내세우고자 하였다. 낭산은 신라 왕실의 추복 공간이었지만, 조선시대에는 유학자를 추숭하는 공간으로 재조명되었다. 경주 낭산의 역사적 위상․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라 이후, 낭산의 이미지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pecific places are given meanings by humans, and new images are added over time, emphasizing certain meanings. During the Silla period, Mt. Nangsan (狼山) was a mountain where National Tutelary Deity (護國神) resided, and after Queen Seondeok's reign, it gained the additional image of being Silla's Mt. Sumeru (須彌山). To the people of Silla, Mt. Nangsan was worshipped as a mountain where deities protecting Silla or the royal capital resided, and Sacheonwang-sa Temple (四天王寺), known as a temple for national protection, existed until the Joseon period. The recognition of Mt. Nangsan as the Tutelary Mountain (鎭山) of Gyeongju has continued since the Silla period.
      Furthermore, Choi Chi-Won (崔致遠)'s Dokseodang (讀書堂) was reconstructed on Mt. Nangsan, where Silla royal tombs and Buddhist relics had been established. Until the Joseon period, Choi Chi-Won was recognized as Silla's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and literary scholars venerated him. The Choi clan of Gyeongju reconstructed Choi Chi-Won's ancestral home as Dokseodang, a place for scholarly learning, to assert their status as a family that produced Confucian scholars. While Mt. Nangsan was a memorial space for the Silla royal family, during the Joseon period, it was emerged as a space for venerating Confucian scholar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status and identity of Mt. Nangsan in Gyeongju,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images of Mt. Nangsan after the Silla period.
      번역하기

      Specific places are given meanings by humans, and new images are added over time, emphasizing certain meanings. During the Silla period, Mt. Nangsan (狼山) was a mountain where National Tutelary Deity (護國神) resided, and after Queen Seondeok's ...

      Specific places are given meanings by humans, and new images are added over time, emphasizing certain meanings. During the Silla period, Mt. Nangsan (狼山) was a mountain where National Tutelary Deity (護國神) resided, and after Queen Seondeok's reign, it gained the additional image of being Silla's Mt. Sumeru (須彌山). To the people of Silla, Mt. Nangsan was worshipped as a mountain where deities protecting Silla or the royal capital resided, and Sacheonwang-sa Temple (四天王寺), known as a temple for national protection, existed until the Joseon period. The recognition of Mt. Nangsan as the Tutelary Mountain (鎭山) of Gyeongju has continued since the Silla period.
      Furthermore, Choi Chi-Won (崔致遠)'s Dokseodang (讀書堂) was reconstructed on Mt. Nangsan, where Silla royal tombs and Buddhist relics had been established. Until the Joseon period, Choi Chi-Won was recognized as Silla's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and literary scholars venerated him. The Choi clan of Gyeongju reconstructed Choi Chi-Won's ancestral home as Dokseodang, a place for scholarly learning, to assert their status as a family that produced Confucian scholars. While Mt. Nangsan was a memorial space for the Silla royal family, during the Joseon period, it was emerged as a space for venerating Confucian scholar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status and identity of Mt. Nangsan in Gyeongju,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images of Mt. Nangsan after the Silla perio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