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十二支像이 표현된 10기의 신라 王陵을 살펴보았다. 존상의 수는 결실된 것도 있어서 105개의 상을 대상으로 도상과 양식을 고찰했다. 통일신라 왕릉에 십이지를 채택하게 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85605
강삼혜 (국립경주박물관)
2025
Korean
경주 왕릉 십이지상(慶州 王陵 十二支像) ; 승탑 신장상(僧塔 神將像) ; 김유신(金庾信) ; 경주 능지탑(慶州 陵旨塔) ; 통일신라 무기(統一新羅 武器) ; Twelve zodiac animals on royal tombs in Gyeongju(慶州 王陵 十二支像) ; Stupas for monks(僧塔 神將像) ; Kim Yu-shin(金庾信) ; Neungji Pagoda in Gyeongju(慶州 陵旨塔) ; Unified Silla weapons(統一新羅 武器) ; The long sleeves under the armor
KCI등재
학술저널
89-146(5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十二支像이 표현된 10기의 신라 王陵을 살펴보았다. 존상의 수는 결실된 것도 있어서 105개의 상을 대상으로 도상과 양식을 고찰했다. 통일신라 왕릉에 십이지를 채택하게 된 ...
본 논문에서는 十二支像이 표현된 10기의 신라 王陵을 살펴보았다. 존상의 수는 결실된 것도 있어서 105개의 상을 대상으로 도상과 양식을 고찰했다. 통일신라 왕릉에 십이지를 채택하게 된 것은 왕릉 護石 구조의 등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므로 선학의 연구에 힘입어 호석의 발전 단계와 왕릉 선후관계를 연결해 살펴보았다. 통일신라 왕릉 십이지상의 도상과 양식에 대해서는 僧塔 塔身 神將像(사천왕상, 범천과 제석천)과 비교하였는데, 승탑 신장상은 함께 세워지는 塔碑를 통해 제작연대를 알 수 있어 십이지상 편년에 더할 나위 없는 기준 자료가 되었다. 두 조형물은 복식을 포함한 도상과 양식 면에서 공유되는 부분이 많은데, 왕실이 파견한 장인[國工]에 의한 것이 아니라면 이러한 친연성은 설명되지 않는다. 당시 왕실이 선사들을 부처님처럼 예우하던 사회적 분위기 아래 선사의 탑인데도 불구하고 신장상을 새기고, 왕이 지목하는 최치원과 같은 당대 최고의 문사들에게 비문을 작성케 하는 것처럼 승탑 제작에도 장인을 파견하였을 가능성은 높다. 9세기 통일신라에서 중앙양식이 아니고서는 왕릉 십이지상 조각이나 승탑과 탑비에서 보듯이 이처럼 뛰어난 조형성을 이루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동시대 승려들의 입적 후 조성되는 승탑과 탑비 제작과정에 대한 다양한 사례를 반영할 수 있어 왕릉의 석물 제작과 관련하여서도 보다 유연한 접근방법이 가능했다. 이러한 과정과 더불어 본 논문에서는 기록으로 유추할 수 있는 왕릉 십이지상의 조성 시기도 함께 반영하여 시대 편년을 보다 정확히 추정하였는데, 이는 왕릉 조영과 왕릉 석물의 조각 시기가 같지 않다고 밝힌 선학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발전시켰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네 시기로 나누어 양식의 변천을 살펴볼 수 있었다.
1기(8세기 중반~9세기 초)는 호석 구조의 완성과 더불어 등장한 초기 왕릉 십이지상으로, 성덕왕릉과 황복사지 기단 십이지상을 대상으로 사실성을 강조하는 여러 표현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2기(826년경~860년경)는 유려한 소매와 천의 표현에 치중한 왕릉 십이지상으로, 김유신묘, 황복사지 동편 왕릉(능지탑), 전 경덕왕릉, 구정동 방형분 등 이 시기 왕릉 십이지상의 양식은 855년~860년대 조성된 승탑 탑신 신장상 및 비로자나불상의 표현 요소와 일치함을 확인했다.
3기(865년경~890년경)에서는 원성왕릉, 헌덕왕릉, 흥덕왕릉 십이지상을 대상으로 소매 표현이 무겁고 둔중해지는 경향과 더불어 자세가 유연하지 못하고 일정한 포즈가 반복되는 등 통일신라 말기로 향하는 다양한 양식이 혼재된 시기로 파악하였다. 마지막 쇠퇴기(9세기 말 이후)인 전 진덕왕릉 십이지상은 실상사 수철화상탑 사천왕상과 같이 부조면이 낮으며 형태가 해체되어 보일 만큼 추상적이며 밝게 웃음띤 얼굴 표정이 왕릉 십이지상에서도 나타나고 있음을 검토해 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en Silla royal tombs that feature carvings of the twelve zodiac animals. The form and style of 105 images were examined, excluding those that were found damaged. The adoption of the twelve zodiac animals on Silla royal tombs is cl...
This paper examines ten Silla royal tombs that feature carvings of the twelve zodiac animals. The form and style of 105 images were examined, excluding those that were found damaged. The adoption of the twelve zodiac animals on Silla royal tombs is closely related to the emergence of tombs surrounded by hoseok, stone slabs surrounding the base of the mound. Hence the development stages of hoseok were also examined. In addition, through comparison of the twelve zodiac images with the Guardian images carved on the stupas for monks from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to the early Goryeo Dynasty, it is inferred that the stupas for monks were built in connection with the royal court and that the relief carvings on them were also produced by court artisans.
Considering previous research showing that the stone carvings at Silla royal tombs were not made at the same time the tombs were constructed,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when the 12 zodiac animals on the hoseok were carved based on documentary evidence. In the case of General Kim Yu-sin's tomb, though it has generally been called a royal tomb, records and previous studies have classified it as a tomb where the interred is clearly identified, and based on the date of the tomb, changes in the style of the twelve zodiac animals were traced and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first period (the mid-8th to early 9th centuries) is when the structure of royal tombs surrounded by hoseok was established and images of twelve zodiac animals first appeared on them. Various expressive elements that emphasized realism were examined. The second period (around 826~860) is when the style of the twelve zodiac animals matches the style of the four Heavenly Guardians on the stupas for monks and Vairocana Buddha images, featuring elegant expression of the heavenly garments and sleeves, found on stupas and Buddha sculptures constructed 855-860.
In the third period (around 865~890), expression of the sleeves grows dull and heavy, the bodies are more rigid and the same postures are repeated. Hence, this later period was identified as a time when various styles coexisted before the period of final decline. In the last period (after the end of the ninth century), the twelve zodiac animals on the tomb of Queen Jindeok, like the figures of the four Heavenly Guardians on the stupa for Monk Sucheol at Silsangsa Temple, are carved in low relief and are abstracted to the point of appearing fragmented and have bright, smiling faces, a feature also found on the images carved on Silla royal tombs.
木畵紫檀碁局 제작국 논의를 통해 본 8세기 新羅․日本의 교섭 양상
경주 낭산과 최치원 - 신라~조선시대 낭산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