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곡 정제두의 준론탕평론 = Hagok Jeong Je-du’s theory of imparti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603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정제두가 주장한 탕평론에 대해서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鄭齊斗가 생존했던 17~18세기 조선은 당쟁이 가장 심한 시기였다. 그는 스승 朴世采의 皇極蕩平論을 계승하여, 1728년 경...

      본고는 정제두가 주장한 탕평론에 대해서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鄭齊斗가 생존했던 17~18세기 조선은 당쟁이 가장 심한 시기였다. 그는 스승 朴世采의 皇極蕩平論을 계승하여, 1728년 경연 석상에서 戊申亂을 수습하는 방편으로 中과 平을 강조하는 峻論蕩平論을 주장하였다.
      그는 丙申處分이후 당론이 심해졌지만, 국왕 영조가 탕평을 시급하게 생각하므로 다행이라 여겼다. 그리고 임금이 極을 바로 세운다면[建極] 탕평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하였다. 나아가 제갈량이 『출사표』에서 제기한 ‘宮中府中一體’를 통해 임금과 대신이 한 몸임을 역설하였는데, 임금이 마음을 바로 하고 이 바른 마음으로 대신을 임명하여 임금의 마음을 대변케한다면 백성에게까지 혜택이 갈 것이라고 하였다.
      다만, 임금이 지극히 공평하고 사사로움이 없는 마음을 지니고 상벌을 공평히 하여[平] 죄진 사람은 죄주고 현자는 등용하여 시비와 곡직에서 中을 얻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피차를 구분하지 않고 화평한 정치를 목적으로하는 조제보합적 탕평을 반대한 것으로 이전의 탕평론과는 차이를 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17-18th century of Joseon(朝鮮) when Jeong Je-du(鄭齊斗, 1649~1736) lived, party strife was the most severe. He inherited Park Se-chae‘s theory of impartiality and claimed the Stern political harmony(峻論蕩平) that emphasizes harmony...

      In the 17-18th century of Joseon(朝鮮) when Jeong Je-du(鄭齊斗, 1649~1736) lived, party strife was the most severe. He inherited Park Se-chae‘s theory of impartiality and claimed the Stern political harmony(峻論蕩平) that emphasizes harmony(平) and equilibrium(中).
      In the Royal Lecture(經筵) of 1728, when Yi In-jwa’s rebellion took place, Jeong Je-du insisted on his theory of impartiality. After the political decision of King Sukjong in 1719, Jeong Je-du thought that political disputes had become more serious. However, he felt lucky that King Youngjo considered political harmony as an urgent problem. His agument is as follows.
      First, If the King establishes the principle, the political harmony will be possible.
      Secondly, Through Zhuge Liang(諸葛亮)’s theory that the royal clan and the government are one can prove that the King and King’s servant are one. Therefore, if the king has the right mind and appoints his servant with the right mind, if he represents the king’s heart, the political benefits will come to the people.
      Third, The King must fairly grant punishment with a fair heart, and the wise shall rise up and the sinner to sin. This is against the theory of impartiality in the previous era aimed at peaceful politics without discrimin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I. 머리말
      • II. 정제두의 蕩平論 제기 배경
      • III. 黨論의 폐해에 대한 인식
      • IV. 峻論蕩平과 그 방법으로서의 中과 平
      • 요약문
      • I. 머리말
      • II. 정제두의 蕩平論 제기 배경
      • III. 黨論의 폐해에 대한 인식
      • IV. 峻論蕩平과 그 방법으로서의 中과 平
      • V. 日新을 통한 聖學 연마
      • VI.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위잉스, "주희의 역사세계 하" 글항아리 2015

      2 이근호, "조선후기 탕평파와 국정운영" 민속원 2016

      3 정두영, "숙종~영조 초 하곡 정제두의 처세와 정치적 역할" 2006

      4 "국역 하곡집"

      5 "霞谷集"

      6 이남옥, "霞谷學의 특성과 계승 양상"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7 鄭萬祚, "英祖代蕩平策과 蕩平派의 活動-蕩平基盤의 成立에 이르기까지-" 56 : 1983

      8 鄭萬祚, "英祖代中半의 政局과 蕩平策의 再定立-少論蕩平에서 老論蕩平으로의 轉換" 111 : 1986

      9 "肅宗實錄"

      10 김준석, "朝鮮後期의 蕩平政治와 陽明學政治思想 -鄭齊斗의 양명학과 蕩平政治論-" 국학연구원 (116) : 137-215, 2002

      1 위잉스, "주희의 역사세계 하" 글항아리 2015

      2 이근호, "조선후기 탕평파와 국정운영" 민속원 2016

      3 정두영, "숙종~영조 초 하곡 정제두의 처세와 정치적 역할" 2006

      4 "국역 하곡집"

      5 "霞谷集"

      6 이남옥, "霞谷學의 특성과 계승 양상"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7 鄭萬祚, "英祖代蕩平策과 蕩平派의 活動-蕩平基盤의 成立에 이르기까지-" 56 : 1983

      8 鄭萬祚, "英祖代中半의 政局과 蕩平策의 再定立-少論蕩平에서 老論蕩平으로의 轉換" 111 : 1986

      9 "肅宗實錄"

      10 김준석, "朝鮮後期의 蕩平政治와 陽明學政治思想 -鄭齊斗의 양명학과 蕩平政治論-" 국학연구원 (116) : 137-215, 2002

      11 "承政院日記"

      12 정두영, "18세기 ‘君民一體’思想의 構造와 性格" 5 :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陽明學 -> 양명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9 1.123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