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일조선인의 세대갈등과 국적・귀화・결혼 ― 잡지 『계간 마당(季刊まだん)』의 기사를 중심으로 ― = Generation Conflict and Nationality, Naturalization and Marriag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Focusing on the Articles of Quarterly Magazine Mad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373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1970s, the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reduced for diverse reasons, such as North Korean repatriation project, naturalization, and marriage. Also, with the spread of settlement consciousness focusing on the second generation of Korean ...

      In the 1970s, the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reduced for diverse reasons, such as North Korean repatriation project, naturalization, and marriage. Also, with the spread of settlement consciousness focusing on the second gen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 considerable number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as naturalized in Japan and underwent international marriage with the Japanese people. This led to the decreas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the reduction of the Korean residents’society in Japan. A quarterly magazine, named Madang recognized this situation as a serious problem. In order to control this situation, Madang delivered messages to the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hrough discourses on the nationality・naturalization・marriage.
      The discourses on the marriage highlighted in Madang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methods. First, it was a method to criticize Japan’s discrimination that continu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Madang criticized Japan by saying that the Japanese-Korean marriage polic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and the Korea-Japan Annexation created the current form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hich led to unhappy families even after the liberation. At the same time, it also criticized the Japanese society and assimilation policy by saying that the international marriage was increasing because of the government’s assimilation policy and continuous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 people even after the liberation. Second, instead of aiming to change the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by abolishing the outdated custom of the first generation and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such as regionalism, marital compatibility, and parents’interference, it argued that a social movement should be practic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second gen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hrough the national education.
      In this way, Madang aimed to create a society where Korean people could be settled down by maintaining the original community form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through various efforts, and by overcoming the identity issue. This intention of Madang is clearly visible in the discourses on the nationality・naturalization・marri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70년대는 북송사업, 귀화, 결혼 등 다양한 이유로 재일조선인 사회가 축소되던 시기였다. 또한 재일조선인 2세대를 중심으로 정주의식이 확산되며 상당수의 재일조선인들이 일본으로 귀화...

      1970년대는 북송사업, 귀화, 결혼 등 다양한 이유로 재일조선인 사회가 축소되던 시기였다. 또한 재일조선인 2세대를 중심으로 정주의식이 확산되며 상당수의 재일조선인들이 일본으로 귀화하고 일본인과의 국제결혼을 선택했다. 이는 재일조선인의 감소 및 재일조선인 사회 축소로 이어졌다. 이러한 상황을 『마당』은 심각한 문제로 인식했다. 상황의 타파를 위해 『마당』은 국적・귀화・결혼담론을 통해 재일조선인 사회에 메시지를 전달했다.
      『마당』의 결혼 담론은 크게 두 방식으로 전개됐다. 첫 번째로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 일본의 차별을 비판하는 방식이었다. 『마당』은 일제의 조선침략과 한일병합 이후 내선결혼 정책이 현재 재일조선인 형태를 만들었으며 해방 이후에도 불행한 가정을 만들었다고 말하며 일본을 비판했다. 동시에 해방 이후에도 계속되는 조선인 차별과 정부의 동화정책으로 국제결혼이 증가하는 것이라며 일본사회와 동화정책을 비판했다. 두 번째로 지역감정, 궁합, 부모의 간섭 등 재일조선인 사회와 1세대의 구시대적 관습철패 등을 통해 재일조선인 사회를 변화하고자 했으며 민족교육을 통해 재일조선인 2세대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사회운동으로 실천할 것을 주장했다.
      이처럼 『마당』은 다양한 노력을 통해 재일조선인 커뮤니티의 원형을 유지하고 더 나아가 이데올로기 문제가 극복되어 정주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고자 했다. 이러한 『마당』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국적・귀화・결혼 담론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환기, "전후 재일 코리언 문학의 변용과 특징― 오사카 이쿠노(大阪生野) 지역의 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86) : 167-181, 2011

      2 이승진, "재일조선인잡지 『호르몬 문화』(ほるもん文化)연구 ― 재일조선인잡지사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113) : 123-142, 2017

      3 이영호, "재일조선인 잡지 『계간 마당(季刊まだん)』 연구-『계간 삼천리(季刊三千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61) : 241-260, 2017

      4 강재언, "재일 한국・조선인―역사와 전망" 소화 1999

      5 이한창, "재일 동포문학의 연구 입문" 제이앤씨 2011

      6 지은숙, "디아스포라 관점에서 본 재일조선인 여성의 결혼문제: 30대 여성들의 결혼활동을 중심으로" 재외한인학회 (25) : 41-78, 2011

      7 金鶴泳, "新しい在日朝鮮人―「まだん」3号(三角形の本棚)"

      8 金宙泰, "季刊まだん 1-6" 創紀房新社 1973

      9 李榮鎬, "在日朝鮮人雑誌季刊まだん の作品分析―「アンニョンヒアボジ」と「無花果」を中心に―" 高麗大学校GLOBAL日本研究院 4 : 59-70, 2017

      10 양아람, "1980년대 말 일본의 결혼이민과 뉴커머 재일코리안의 적응, 우울, 트라우마 (2) -고부갈등, 동일본대지진-" 동아시아문화연구소 (71) : 295-321, 2017

      1 김환기, "전후 재일 코리언 문학의 변용과 특징― 오사카 이쿠노(大阪生野) 지역의 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86) : 167-181, 2011

      2 이승진, "재일조선인잡지 『호르몬 문화』(ほるもん文化)연구 ― 재일조선인잡지사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113) : 123-142, 2017

      3 이영호, "재일조선인 잡지 『계간 마당(季刊まだん)』 연구-『계간 삼천리(季刊三千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61) : 241-260, 2017

      4 강재언, "재일 한국・조선인―역사와 전망" 소화 1999

      5 이한창, "재일 동포문학의 연구 입문" 제이앤씨 2011

      6 지은숙, "디아스포라 관점에서 본 재일조선인 여성의 결혼문제: 30대 여성들의 결혼활동을 중심으로" 재외한인학회 (25) : 41-78, 2011

      7 金鶴泳, "新しい在日朝鮮人―「まだん」3号(三角形の本棚)"

      8 金宙泰, "季刊まだん 1-6" 創紀房新社 1973

      9 李榮鎬, "在日朝鮮人雑誌季刊まだん の作品分析―「アンニョンヒアボジ」と「無花果」を中心に―" 高麗大学校GLOBAL日本研究院 4 : 59-70, 2017

      10 양아람, "1980년대 말 일본의 결혼이민과 뉴커머 재일코리안의 적응, 우울, 트라우마 (2) -고부갈등, 동일본대지진-" 동아시아문화연구소 (71) : 295-321, 2017

      11 양아람, "1980년대 결혼이민과 재일코리안 여성의 의식 변화 (1) - 차별, 동화, 역사인식" 민족문화연구원 (75) : 499-529, 2017

      12 이영호, "1970년대 재일조선인 문학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Japanolog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4 0.725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