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도시재생사업에서 조경의 참여 양상과 증진 모색 - 도시재생 뉴딜 선정사업(2017-2019)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Pattern and Promotion of Landscape Architects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Focusing on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2017-2019)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7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ole and the use of landscape architects as a core strategy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project typ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ways to promote landscape architects' participa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i...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ole and the use of landscape architects as a core strategy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project typ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ways to promote landscape architects' participa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in promoting urban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plans. Among the New Deal projects, from 2017 to 2019, whe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re promoted, a total of 822 projects with terms such as park, garden, landscaping, rest space, forest, greening, planting, and flowe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 integrated approach was applied, considering the status of landscape architects participation, a literature survey by project entity, analysis of prior research, revitalization plan reports, and interviews by project entity, and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architec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project type.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particip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project type, and the participation patterns and promotion measures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ways to promote them identified in the course of the project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and participation pattern of landscape architect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project. As the prerequisites for each type of project, the subject of the project, the directi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regeneration strategy for each project,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teracted in a complex way. The particip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has changed and expanded its meaning and role. Second, the change and value of the expanded the participation method of landscape architects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appeared as a multi-purpose and complex role in the process of a project, indicating that the value of landscape in the classical sense is changing and its substantive aspect depends on the type of project. Third,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the role and value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strategic and practical means of regeneration that can be utilized.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diversification is required through changes in participation methods according to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for each project, rather than participation focused on hardware projects, such as park creation in terms of form and pla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a sense of community among residents as an experience and activity program, should be further activated in terms of the process of the ideal way of exist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bstantially grasps that the role of landscape architects is expanding as the subjec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presents the direction for its promotion. Participation and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에서 핵심전략으로서 조경의 역할과 존재 가치를 세부사업 유형별로 확인하고자 출발하였고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의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조경의 참여 양상과 특성...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에서 핵심전략으로서 조경의 역할과 존재 가치를 세부사업 유형별로 확인하고자 출발하였고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의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조경의 참여 양상과 특성을 파악하여 그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된 2017년부터 2019년까지의 뉴딜사업 중 공원, 정원, 조경, 쉼터, 숲, 녹화, 식재, 꽃 등의 용어가 사업내용에 포함된 총 822개소를 대상으로 유형별 사업에서 조경의 참여 현황과 선행연구 분석, 문헌조사, 활성화 계획보고서, 사업주체별 인터뷰 등 통합적 접근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사업유형에 따른 조경의 참여 양상과 특성을 구분하여 도표화하였다. 도시재생사업에서 조경적 특성을 사업유형에 따라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참여방식으로 분석한 결과,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확인된 조경의 참여 양상과 증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재생에서 조경의 역할과 참여 양상은 도시재생사업의 유형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사업의 유형별 전제 조건과 사업의 추진 주체, 사업별 재생전략의 방향 및 차별성, 주민의 참여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조경의 참여 행위가 변화된 의미와 역할로 변화, 확대되고 있었다. 둘째, 도시재생사업에서 조경의 확대된 참여방식의 변화와 가치는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다의적이고 복합적인 특성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전적 의미로 조경 가치가 사업유형에 따라 실체적 양상이 변화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도시재생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재생의 전략적, 실천적 수단으로서 ‘조경’의 역할과 가치 인식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조경의 참여 증진을 위해서는 형태와 장소(form & place)적 측면의 공원 조성 등 하드웨어적 사업위주의 참여에서 사업별 도시재생 전략에 따른 참여방식의 변화를 통한 다양화가 요구된다. 아울러 소프트웨어적 사업의 과정(process)적 측면에서도 체험 및 활동프로그램으로 주민들 간 공동체 의식함양에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조경의 참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추진의 주체로 조경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음을 실체적으로 파악하고, 그 증진 방향을 제시했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향후 도시재생의 계획과 실천적 영역에서 조경적 특성을 활용한 참여와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재민 ; 최정권 ; 박은영,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모색을 위한 일상적 도시정원 가꾸기 유형 특성 연구 - 성남시 수진2동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4 (44): 13-24, 2016

      2 김연금 ; 조석만 ; 이규목, "주민 참여를 통한 도시 소공원 설계 및 조성" 한국조경학회 31 (31): 78-89, 2003

      3 김연금 ; 이규목, "의사소통 행위로서의 조경계획 및 설계에 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1 (31): 73-85, 2003

      4 조세환,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 전략 연구" 한국조경학회 38 (38): 109-118, 2010

      5 심주영 ; 조경진, "도심주거지에 나타나는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에 대한 고찰 - 용산구 용산동2가 해방촌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3 (43): 1-12, 2015

      6 강맹훈 ; 송혜승 ; 이명훈, "도시재생사업의 참여주체별 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 -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의 주민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 대한건축학회 33 (33): 31-37, 2017

      7 장철규 ; 황명란 ; 신재윤 ; 정성관,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골목정원 구성요소의 만족도 분석 - 대구광역시 비산 2․3동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5 (45): 137-148, 2017

      8 최혜영 ; 배정한, "공론과 커뮤니티 형성을 통한 단계적 참여 설계 - 뉴욕 거버너스 아일랜드 공원 및 공공 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4 (44): 11-24, 2016

      9 Kim, J. A., "Urban Garden as part of Urban Regeneration Programs" Hongik University 2017

      10 Ahn, S. W., "Understanding the Flow of Regional 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Policies" Suwon City Sustainable City Foundation Report 2017

      1 박재민 ; 최정권 ; 박은영,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모색을 위한 일상적 도시정원 가꾸기 유형 특성 연구 - 성남시 수진2동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4 (44): 13-24, 2016

      2 김연금 ; 조석만 ; 이규목, "주민 참여를 통한 도시 소공원 설계 및 조성" 한국조경학회 31 (31): 78-89, 2003

      3 김연금 ; 이규목, "의사소통 행위로서의 조경계획 및 설계에 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1 (31): 73-85, 2003

      4 조세환,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 전략 연구" 한국조경학회 38 (38): 109-118, 2010

      5 심주영 ; 조경진, "도심주거지에 나타나는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에 대한 고찰 - 용산구 용산동2가 해방촌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3 (43): 1-12, 2015

      6 강맹훈 ; 송혜승 ; 이명훈, "도시재생사업의 참여주체별 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 -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의 주민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 대한건축학회 33 (33): 31-37, 2017

      7 장철규 ; 황명란 ; 신재윤 ; 정성관,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골목정원 구성요소의 만족도 분석 - 대구광역시 비산 2․3동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5 (45): 137-148, 2017

      8 최혜영 ; 배정한, "공론과 커뮤니티 형성을 통한 단계적 참여 설계 - 뉴욕 거버너스 아일랜드 공원 및 공공 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4 (44): 11-24, 2016

      9 Kim, J. A., "Urban Garden as part of Urban Regeneration Programs" Hongik University 2017

      10 Ahn, S. W., "Understanding the Flow of Regional 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Policies" Suwon City Sustainable City Foundation Report 2017

      11 Kang, M. H., "The Perception Differences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Seoul" Hanyang University 2017

      12 Kim, Y. W., "Significance of the Era and Future Tasks of Urban Regeneration" Korea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6-, 2009

      13 Relph, A., "Place and Placelessness" Nonhyeong Press 1976

      14 Cho, S. J., "Existent Characteristic and Contribution of Architecture on the Urban Regener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2018

      15 Lee, G. L., "Analysis on Factors of Urban Nature Environment Regeneration and on Their Regeneration Effects" Hanyang University 2018

      16 Lee, A. R., "Analysi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Structure in Resident Participation Type Urban Greening Projects" Hanyang University 2018

      17 Kim, N. E., "A study on the Satisfaction Factors of Gyeongui-Line Forest Park Utilizing the Disused Railroad Abandoned Grounds" Hanyang University. 2018

      18 Kim, J. E., "A Study on the Renovation Method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for Urban Regeneration" 705-714, 2014

      19 Lee, H. T., "A Study on an Identity of City and the Meaning of Placeness through Urban Regeneration" Yeungnam University.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