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자원봉사가 지역사회 기반으로 이뤄진다는 점에 주목하여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했다. 특히 자원봉사 참여동기, 지역사회신뢰, 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자원봉사가 지역사회 기반으로 이뤄진다는 점에 주목하여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했다. 특히 자원봉사 참여동기, 지역사회신뢰, 지...
이 연구는 자원봉사가 지역사회 기반으로 이뤄진다는 점에 주목하여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했다. 특히 자원봉사 참여동기, 지역사회신뢰, 지역애착의 상호작용이 자원봉사 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먼저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통해 이타적 동기, 이기적 동기, 관계적 동기, 지역사회신뢰, 지역애착 변수를 도출했다. 다음으로 이들 변수가 자원봉사 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로짓회귀 분석과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진행했다. 로짓회귀 모형에서 이타적 동기와 지역사회신뢰가 자원봉사 참여 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독립변수 간의 상호작용에서 자원봉사 참여 의사가 극대화되는 의사결정 단계를 확인하기 위해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진행한 결과, 지역사회신뢰, 이타적 동기, 지역애착의 순으로 그 중요성을 확인했다. 반면 이기적 동기, 관계적 동기는 의사결정 단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이기심이나 타인과의 관계를 활용하기보다는 이타심, 지역사회신뢰, 지역애착을 높여야 한다. 이를 통해 자원봉사의 지속가능성과 지역사회의 발전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인구·산업·고용지표 분석을 통한 지역의 복합위기 진단 및 유형화
지역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적응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