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임금소득 불평등이 시장집중도와 어떤 관련 있는지 실증 분석한 것이다. 2001~2021년 100만 개가 넘는 관측치를 가진 『광업․제조업 조사』를 활용하여, 기업 간 임금 불평등의 약 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임금소득 불평등이 시장집중도와 어떤 관련 있는지 실증 분석한 것이다. 2001~2021년 100만 개가 넘는 관측치를 가진 『광업․제조업 조사』를 활용하여, 기업 간 임금 불평등의 약 1/...
본 연구는 임금소득 불평등이 시장집중도와 어떤 관련 있는지 실증 분석한 것이다. 2001~2021년 100만 개가 넘는 관측치를 가진 『광업․제조업 조사』를 활용하여, 기업 간 임금 불평등의 약 1/2~2/3이 산업 내(within-industries)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밝혔다. 패널 계량분석 결과, 시장집중도는 산업 내 상위 1% 기업과 나머지 기업 간 임금 불평등의 약 1/5를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장집중도가 1% 증가할 때, 하위 50% 종사자들의 임금 비중이 0.023%p 감소하고, 중위 40% 종사자 임금 비중이 0.044%p 각각 감소하고, 높은 임금을 지급하는 소규모 기업 수 역시 감소하였다. 한국 제조업 종사자의 약 58.8%를 고용하는 조립가공형 산업에서 지난 10여 년 동안 시장집중도와 산업 내 불평등이 증가하였으므로, 시장집중도가 한국 사회의 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아울러 이러한 분석은 지역 간 임금불평등에 대한 연구로 확장될 수 있다.
인구·산업·고용지표 분석을 통한 지역의 복합위기 진단 및 유형화
지역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적응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