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온라인 수업의 특징 분석: A 대학의 학습 시스템, 수업 유형, 수업 외 교수-학생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es that have changed since COVID-19: Focusing on A University’s learning system, Class Type, and Out-of-Clas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677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online classes to examine the online learning systems and the teacher–student interactions outside class. The study period was the 2020 and 2021 academic years at which time the COVID-19 education changes in online learning systems were most evident. The changes in the 2020 and 2021 academic years were compar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representative online classes; real-time classes and lecture storage classes; were compared. The analysis data were derived from the survey results from the 2020 and 2021 undergraduate education status surveys (K-NSSE: Korea-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at University A. The analysis found that the learning experiences (individual, interactiv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cause of the changes in online learning systems; the online class (individual, interactive) learning experiences (real-time, lecture storag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outside class teacher–student interactions influenced the relationships between online learning system satisfaction and student learning outcomes. The research findings have three implications: there is a need to improve student-friendly online learning systems;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should be based on class type and perspective; and, outside class teacher–student interactions are necessary to promote better learning outcomes.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online classes to examine the online learning systems and the teacher–student interactions outside class. The study period was the 2020 and 2021 academic years at which time the COVID-19 education c...

      This study explore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online classes to examine the online learning systems and the teacher–student interactions outside class. The study period was the 2020 and 2021 academic years at which time the COVID-19 education changes in online learning systems were most evident. The changes in the 2020 and 2021 academic years were compar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representative online classes; real-time classes and lecture storage classes; were compared. The analysis data were derived from the survey results from the 2020 and 2021 undergraduate education status surveys (K-NSSE: Korea-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at University A. The analysis found that the learning experiences (individual, interactiv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cause of the changes in online learning systems; the online class (individual, interactive) learning experiences (real-time, lecture storag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outside class teacher–student interactions influenced the relationships between online learning system satisfaction and student learning outcomes. The research findings have three implications: there is a need to improve student-friendly online learning systems;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should be based on class type and perspective; and, outside class teacher–student interactions are necessary to promote better learning outcom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쌍철 ; 김정아,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15-138, 2018

      2 박희남, "학부제의 학생지도와 상담의 역할" 9 : 119-134, 2000

      3 박주현, "학교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과별 교수학습 설계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4 한상헌, "클라썸, ‘질문 기반 AI 코스웨어’ 출시…질문에 따라 맞춤 콘텐츠 제공" 매일경제

      5 이용상 ; 신동광,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23): 39-57, 2020

      6 권선희 ; 류현숙,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서 교수 및 학습자 상호작용,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87-97, 2021

      7 윤성규 ; 김난영 ; 김원미 ; 장형지, "코로나19 환경의 온라인 관광영어수업에 관한 연구" 영상영어교육학회 21 (21): 101-119, 2020

      8 한승우 ; 김보영, "코로나19 이후 대학 온라인 교육에 관한 학습자들의 반응 조사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155-172, 2020

      9 이지연 ; 성은모 ; 이지은 ; 임규연 ; 한승연,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수업의 도전과 과제" 한국교육공학회 36 (36): 671-692, 2020

      10 교육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교육분야 학사운영 및 지원방안" 2020

      1 이쌍철 ; 김정아,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15-138, 2018

      2 박희남, "학부제의 학생지도와 상담의 역할" 9 : 119-134, 2000

      3 박주현, "학교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과별 교수학습 설계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4 한상헌, "클라썸, ‘질문 기반 AI 코스웨어’ 출시…질문에 따라 맞춤 콘텐츠 제공" 매일경제

      5 이용상 ; 신동광,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23): 39-57, 2020

      6 권선희 ; 류현숙,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서 교수 및 학습자 상호작용,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87-97, 2021

      7 윤성규 ; 김난영 ; 김원미 ; 장형지, "코로나19 환경의 온라인 관광영어수업에 관한 연구" 영상영어교육학회 21 (21): 101-119, 2020

      8 한승우 ; 김보영, "코로나19 이후 대학 온라인 교육에 관한 학습자들의 반응 조사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155-172, 2020

      9 이지연 ; 성은모 ; 이지은 ; 임규연 ; 한승연,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수업의 도전과 과제" 한국교육공학회 36 (36): 671-692, 2020

      10 교육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교육분야 학사운영 및 지원방안" 2020

      11 이보경,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97-112, 2020

      12 강인애,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에 대한 간략한 고찰" 11 (11): 48-63, 1995

      13 이가영, "인공지능(AI) 기반 대학 학습보조시스템 활용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3

      14 이혜정 ; 김태현, "이러닝 콘텐츠 제시 유형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미래원격교육연구원 4 (4): 75-92, 2008

      15 경기도교육청, "원격수업-등교수업 병행 블렌디드 러닝 운영 방안" 2020

      16 김혜나 ; 손동현, "온라인 협동학습에서 학습자 간 학업적 상호작용과 사회정서적 상호작용이 학습몰입과 협동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52 (52): 27-49, 2021

      17 진성희 ; 이동주, "온라인 협동학습에서 공동체의식과 토론참여도 및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미래원격교육연구원 6 (6): 65-87, 2010

      18 김재춘, "예비․현직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2005

      19 정현재, "실전 e러닝 지침서 e러닝 지도실무" 콘텐츠미디어 2014

      20 정다혜,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상호작용 유형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 한국교육개발원 48 (48): 113-136, 2021

      21 이숙정,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교사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11 (11): 213-226, 2006

      22 장재경 ; 김호성, "소셜 네트워크 기반 학습자 생성 콘텐츠를 이용한 이러닝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 9 (9): 17-24, 2009

      23 김민경,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웹기반 게시판의 내용 및 사용실태 분석: 원격수학수업에서의 사례연구" 15 (15): 218-239, 1999

      24 강민석 ; 박인우 ; 이성웅, "사이버대학 이러닝 콘텐츠 수정, 재사용 및 상호작용매체 활용에 따른 교육 효과 비교"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1-22, 2009

      25 임병노 ; 임정훈, "사례분석에 기초한 e-러닝을 통한 대학교육 경쟁력 강화 방안 탐색" 미래원격교육연구원 1 (1): 61-91, 2005

      26 김동원 ; 김향정 ; 한태구, "비대면 온라인 수업 만족도 및 인식 변화 연구 - C교육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원 6 (6): 73-101, 2021

      27 김인숙 ; 유숙영 ; 변현정 ; 서윤경,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을 통한 상호작용 경험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6 (36): 873-904, 2020

      28 김지영 ; 김은지, "비대면 수업상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대한사고개발학회 17 (17): 31-57, 2021

      29 임이랑 ; 황지원 ; 김주연 ; 박다솜,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운영을 위한 교수전략 탐색: 학습자 경험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30 (30): 23-54, 2020

      30 유현숙 ; 고장완 ; 임후남,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종합적 사고력에 영향을 주는 학습과정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319-337, 2011

      31 배상훈 ; 한송이,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이 능동적‧협동적 학습 및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53 (53): 323-356, 2015

      32 손유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 A) 지원과 활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33 서민원 ; 지은림 ; 황청일 ; 주언희, "대학생 학습성과 측정도구 구안 및 타당화"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275-296, 2013

      34 김소희 ; 조영하, "대학교육에서 온라인학습의 활용 동향과 교수 . 학습적 함의" 미래원격교육연구원 14 (14): 51-78, 2018

      35 김이경 ; 안지윤 ; 황혜정 ; 김경현, "대학강의의 질이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의 학생지원서비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69-193, 2017

      36 김현영 ; 장옥선 ; 이수정, "대학 온라인 토의수업의 실제와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1 (21): 271-284, 2021

      37 임정훈 ; 신진주 ; 김미화,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가 인식하는 상호작용 전략의 중요도와 활용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8 (38): 409-440, 2022

      38 서윤경 ; 고명희 ; 김수영 ; 전병호, "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자 만족 연구"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16 (16): 83-94, 2020

      39 교육부, "대학 비대면 교육 긴급 지원 사업 기본계획 발표" 2020

      40 백평구, "교양교육 만족도,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에 대한 인식: A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431-466, 2012

      41 장선영 ; 김누리, "공학전공 학생들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문제해결능력, 학습전략,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방법학회 25 (25): 581-602, 2013

      42 현혜순 ; 김윤영,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4 (24): 29-38, 2018

      43 고은현, "e-러닝 환경에서의 교수 실재감 측정도구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44 Piaget, J., "The development of thought: Equilibration of cognitive structures" Viking Press 1970

      45 Paechter, M., "Students’ expectations of, and experiences in e-learning : Their relation to learning achievements and course satisfaction" 54 : 222-229, 2010

      46 Zhou, L., "School’s out, but class on, the largest online education in the world today: Taking China’s practical exploration during the COVID-19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as an example" 4 (4): 501-519, 2020

      47 Shavelson, R. J., "Responding responsibly" 35 (35): 10-19, 2003

      48 Liz, M, "Model-Based Reasoning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oretical and Cognitive Issu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49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50 Johnson, D., "Joining together: Group theory and group skills" Allyn & Bacon 2002

      51 Cho, I., "Issues and improvement tasks of distance learning at universities" 147 : 1-17, 2020

      52 Pascarella, E., "How college affects students(Vol. 2): A third decade of research" Jossey-Bass 2005

      53 Oliver, R., "Exploring students’ interactions in collaborative world wide web computer-based learning environment" 7 (7): 263-287, 1998

      54 Kolb, D. A,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Pearson Education 2015

      55 Iverson, K. M., "E-learning games: Interactive learning strategies for digital delivery" Pearson College Div 2005

      56 정한호 ; 노석준 ; 정종원 ; 조영환, "Covid-19 확산이 교육계에 주는 도전: 모두를 위한 질 높은 원격수업" 한국교육공학회 36 (36): 645-669, 2020

      57 Von Glasersfeld, E., "Cognition,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teaching" 80 : 121-140, 1989

      58 오정숙, "COVID-19 이후 온라인 수업 유형별 실재감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한국교육공학회 37 (37): 561-592, 2021

      59 박동찬 ; 이길재 ; 강소윤 ; 김수진 ; 안은비 ; 장서진, "COVID-19 이후 온라인 수업 시행에 따른 대학 교수·학습 개선방안 도출" 대한산업경영학회 20 (20): 11-21, 2022

      60 이영희 ; 박윤정 ; 윤정현, "COVID-19 대응 대학 원격강의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8 (28): 211-234, 2020

      61 Tyler, R. 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62 Zhang, X., "An analysis of online students’ behaviors on course sites and the effect on learning performance: A case study of four LIS online classes" 57 (57): 255-270, 2016

      63 Rontelatp, F., "Activity and interaction of students in an electronic learning environment for problem-based learning" 23 (23): 11-22, 2002

      64 Nusche, D, "Accessment of Learning Outcomes in Higher Education: A Comparative Review of Slelected Practices" OECD Publishing 2008

      65 교육부, "2021년 학사 및 교육과정 운영지원방안" 2021

      66 교육과미래연구소, "2020년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 PREMIER 보고서" 성균관대학교 2020

      67 교육과미래연구소, "2020년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 PREMIER 보고서" 성균관대학교 2021

      68 한국교육개발원, "2016 초․중등 이러닝 활성화(온라인수업 활성화)사업 결과보고서"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