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진의 매체 투명성과 개인 양식 - 사진 예술작품의 개인 양식 부재 논증에 대한 비판적 검토 - = Medium Transparency and Individual Style in Photography: A Critical Investigation of the Argument for the Absence of Individual Style in Photographic Art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125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 나는 사진의 투명성과 개인 양식의 양립 가능성을 검토한다. 사진은 투명한 매체로 알려져 있지만, 사진이 예술인 한에서는 유관한 양식적 특징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매체의 불투명성이 양식적 특징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라면 투명성과 양식은 양립 가능하지 않은 것 같다. 나는 스크러튼의 관점을 기초로 하여 ‘양식 부재 논증’을 구성하고, 이 논증의 건전성을 문제 삼는 방식으로 사진이 개인 양식을 가질 논리적 가능성의 공간을 탐색한다. 나는 이러한 가능성 가운데 적어도 로페즈와 월튼의 관점은 사진이 개인 양식을 가질 수 있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고 주장한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 나는 사진의 투명성과 개인 양식의 양립 가능성을 검토한다. 사진은 투명한 매체로 알려져 있지만, 사진이 예술인 한에서는 유관한 양식적 특징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

      이 글에서 나는 사진의 투명성과 개인 양식의 양립 가능성을 검토한다. 사진은 투명한 매체로 알려져 있지만, 사진이 예술인 한에서는 유관한 양식적 특징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매체의 불투명성이 양식적 특징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라면 투명성과 양식은 양립 가능하지 않은 것 같다. 나는 스크러튼의 관점을 기초로 하여 ‘양식 부재 논증’을 구성하고, 이 논증의 건전성을 문제 삼는 방식으로 사진이 개인 양식을 가질 논리적 가능성의 공간을 탐색한다. 나는 이러한 가능성 가운데 적어도 로페즈와 월튼의 관점은 사진이 개인 양식을 가질 수 있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고 주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transparency inherent in photography and its expression of individual style. Photography is commonly perceived as a medium of transparency, yet it is also expected to embody distinctive stylistic characteristics as an art form. However, it seems improbable that the transparency inherent in photography aligns seamlessly with its stylistic attributes, as the non-transparency inherent in the medium plays a pivotal role in shaping its distinctive stylistic features in some arts. Drawing upon Scruton's perspective, I articulate the argument for the absence of style in photography. Subsequently, I delve into the logical framework by challenging the soundness of this argument. Through an examination of viewpoints posited by the champions for the presence of style in photography, I contend that Lopes’s and Walton’s perspectives strongly suggest the existence of individual styles within photography.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transparency inherent in photography and its expression of individual style. Photography is commonly perceived as a medium of transparency, yet it is also expected to embody distinctive stylis...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transparency inherent in photography and its expression of individual style. Photography is commonly perceived as a medium of transparency, yet it is also expected to embody distinctive stylistic characteristics as an art form. However, it seems improbable that the transparency inherent in photography aligns seamlessly with its stylistic attributes, as the non-transparency inherent in the medium plays a pivotal role in shaping its distinctive stylistic features in some arts. Drawing upon Scruton's perspective, I articulate the argument for the absence of style in photography. Subsequently, I delve into the logical framework by challenging the soundness of this argument. Through an examination of viewpoints posited by the champions for the presence of style in photography, I contend that Lopes’s and Walton’s perspectives strongly suggest the existence of individual styles within photograph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