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화동원론(書畫同源論)의 형성과 그 의미의 변화 = Formation of Shu hua tong yuan lun(書畫同源論) and changes in its mea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125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동아시아에서 글씨와 그림과의 관계를 논한 서화동원론의 형성과 그 의미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서화동원론은 글씨와 그림이 근원을 같이한다는 의미로, 그것은 역사적으로 크게 세 가지 과정을 거쳐 변화한다. 첫째가 글씨와 그림이 미분화된 혼연의 상태이고, 둘째는 그림은 형태를 전달하기 위해, 글씨는 뜻을 전달하기 위해 서로 분화되는 과정이며, 셋째는 그림이 글씨의 용필을 받아들여 다시 하나가 되는 과정을 말한다. 동아시아의 회화에서 주 내용을 차지하는 것은 세 번째 과정이다. 이 과정은 문인화의 의미와 역사적 전개에 상응한다. 그것은 서화동원론이 문인화의 필묵의 형식미 추구, 화원화에 대한 문인화의 구별, 대상의 묘사와 달리 마음의 표현을 강조하는 것, 문인화에서 용필과 사기(士氣)의 관계 등을 밝히는 이론적 토대가 되고 있다. 서화동원론은 동아시아 회화론의 중심개념으로, 서양에 대한 동아시아 회화의 특징을 이루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동아시아에서 글씨와 그림과의 관계를 논한 서화동원론의 형성과 그 의미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서화동원론은 글씨와 그림이 근원을 같이한다는 의미로, 그것은 역...

      본 논문은 동아시아에서 글씨와 그림과의 관계를 논한 서화동원론의 형성과 그 의미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서화동원론은 글씨와 그림이 근원을 같이한다는 의미로, 그것은 역사적으로 크게 세 가지 과정을 거쳐 변화한다. 첫째가 글씨와 그림이 미분화된 혼연의 상태이고, 둘째는 그림은 형태를 전달하기 위해, 글씨는 뜻을 전달하기 위해 서로 분화되는 과정이며, 셋째는 그림이 글씨의 용필을 받아들여 다시 하나가 되는 과정을 말한다. 동아시아의 회화에서 주 내용을 차지하는 것은 세 번째 과정이다. 이 과정은 문인화의 의미와 역사적 전개에 상응한다. 그것은 서화동원론이 문인화의 필묵의 형식미 추구, 화원화에 대한 문인화의 구별, 대상의 묘사와 달리 마음의 표현을 강조하는 것, 문인화에서 용필과 사기(士氣)의 관계 등을 밝히는 이론적 토대가 되고 있다. 서화동원론은 동아시아 회화론의 중심개념으로, 서양에 대한 동아시아 회화의 특징을 이루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Shu hua tong yuan lun, which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graphy and painting in East Asia. The Shu hua tong yuan lun means that calligraphy and painting have the same origin, and it changes through three major processes throughout history. First, it is a state of undifferentiated mixing between the calligraphy and the picture. second, it is a process in which the picture is differentiated from to convey the form and the calligraphy to convey the meaning. And third,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the picture accepts the Yong bi(用筆) of the calligraphy and becomes one again. It is the third process that accounts for the main content in East Asian paintings. This process corresponds to the meaning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literary painting. It serves a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theory of calligraphy and painting mobilization to reveal the pursuit of the formal beauty of brush and ink in literati painting, the distinction between literati painting and painterly painting, the emphasis on the expression of the mind as opposed to the depiction of obje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ush and moral energy in literati painting. is revealing. The theory of calligraphy and painting mobilization is a central concept in East Asian painting, and is a characteristic of East Asian painting toward the West.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Shu hua tong yuan lun, which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graphy and painting in East Asia. The Shu hua tong yuan lun means that calligraphy and painting have the same origin, and it changes through three major proce...

      This paper examines the Shu hua tong yuan lun, which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graphy and painting in East Asia. The Shu hua tong yuan lun means that calligraphy and painting have the same origin, and it changes through three major processes throughout history. First, it is a state of undifferentiated mixing between the calligraphy and the picture. second, it is a process in which the picture is differentiated from to convey the form and the calligraphy to convey the meaning. And third,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the picture accepts the Yong bi(用筆) of the calligraphy and becomes one again. It is the third process that accounts for the main content in East Asian paintings. This process corresponds to the meaning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literary painting. It serves a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theory of calligraphy and painting mobilization to reveal the pursuit of the formal beauty of brush and ink in literati painting, the distinction between literati painting and painterly painting, the emphasis on the expression of the mind as opposed to the depiction of obje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ush and moral energy in literati painting. is revealing. The theory of calligraphy and painting mobilization is a central concept in East Asian painting, and is a characteristic of East Asian painting toward the Wes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