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사 경험의 단계적 제시를 활용한 가설생성프로그램이 초등교사의 가설생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 of Hypothesis Generating Programs Based on Stepwise Suggestions of Similar Experience, in Hypothesis Generating Ability of Elementary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6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ypothesis generation program that utilizes a stepwisesuggestions of similar experiences to improve the hypothesis generation ability of elementary schoolteach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 public elementary schoolteacher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subject and materials suitable for the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developed and the 0-3 level hypothesis program procedure and the16th activity sheet were construct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tageprogressed in the program, the hypothesis generation of elementary teachers was elaborated. Theaverage of the hypothesis generating ability index increased from step 0 to step 3 in the program,especially in the 1st and 2nd steps. Second, the post-hypothesis generating ability index of theteachers who put the program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This iscompared to the fact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of teachers who didnot enter the program was not noticeable.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hypothesisgenerating program using the stepwise suggestions of similar experiences developed in this study iseffective in improving the hypothesis generating ability of elementary teachers. The program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help elementary teachers who feel that they lack theunderstanding and expertise of the scientific hypothesis. In addition, since the program has beenprove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hypothesis generat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i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helping elementary students improve their hypothesis generatingability if the program is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student leve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ypothesis generation program that utilizes a stepwisesuggestions of similar experiences to improve the hypothesis generation ability of elementary schoolteach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subject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ypothesis generation program that utilizes a stepwisesuggestions of similar experiences to improve the hypothesis generation ability of elementary schoolteach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 public elementary schoolteacher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subject and materials suitable for the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developed and the 0-3 level hypothesis program procedure and the16th activity sheet were construct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tageprogressed in the program, the hypothesis generation of elementary teachers was elaborated. Theaverage of the hypothesis generating ability index increased from step 0 to step 3 in the program,especially in the 1st and 2nd steps. Second, the post-hypothesis generating ability index of theteachers who put the program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This iscompared to the fact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of teachers who didnot enter the program was not noticeable.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hypothesisgenerating program using the stepwise suggestions of similar experiences developed in this study iseffective in improving the hypothesis generating ability of elementary teachers. The program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help elementary teachers who feel that they lack theunderstanding and expertise of the scientific hypothesis. In addition, since the program has beenprove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hypothesis generat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i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helping elementary students improve their hypothesis generatingability if the program is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student lev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가설생성능력 향상을 위한 유사 경험의 단계적 제시를 활용한 가설생성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교육청 소속 공립초등학교 교사 17명이다. 초등교사의 가설생성에 적합한 주제 및 소재를 개발하여 0-3단계 가설생성 프로그램 절차를 구성하고 16차시 활동지를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투입 전, 후 가설생성능력지수를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내에서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초등교사의 가설생성이 정교화되었다. 프로그램 내 0단계에서 3단계로 갈수록 가설생성능력지수 평균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1단계와 2단계 사이에서 가장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2단계는 의문 현상과 유사한 현상의 원인적 설명자를 제공하는데, 이것이 가설생성에 가장 효과적으로 도움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가설생성능력평가범주를 참고하여 교사들이 단계별로 생성한 가설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0단계에서 3단계로 진행할수록 탐구문제에 대한 답으로서 가설 진술, 하나의독립변인과 하나의 종속 변인과의 인과관계로 가설 진술, 검증가능한 가설 진술, 일반화된 가설 진술의 비율이 모두 증가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을 투입한 교사들의 사후 가설생성능력지수가 사전에 비해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프로그램을 투입하지 않은 교사들의 사전, 사후 검사 결과의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은 것과 비교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사 경험의 단계적 제시를 활용한 가설생성프로그램이 초등교사의 가설생성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스스로 과학적 가설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초등교사들을 돕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이 초등교사의 가설생성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으므로 학생수준에 맞게 수정, 보완한다면 초등학생의 가설생성능력 향상을 돕는 데도 효과적일 것이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가설생성능력 향상을 위한 유사 경험의 단계적 제시를 활용한 가설생성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교육청 소속 공립...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가설생성능력 향상을 위한 유사 경험의 단계적 제시를 활용한 가설생성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교육청 소속 공립초등학교 교사 17명이다. 초등교사의 가설생성에 적합한 주제 및 소재를 개발하여 0-3단계 가설생성 프로그램 절차를 구성하고 16차시 활동지를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투입 전, 후 가설생성능력지수를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내에서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초등교사의 가설생성이 정교화되었다. 프로그램 내 0단계에서 3단계로 갈수록 가설생성능력지수 평균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1단계와 2단계 사이에서 가장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2단계는 의문 현상과 유사한 현상의 원인적 설명자를 제공하는데, 이것이 가설생성에 가장 효과적으로 도움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가설생성능력평가범주를 참고하여 교사들이 단계별로 생성한 가설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0단계에서 3단계로 진행할수록 탐구문제에 대한 답으로서 가설 진술, 하나의독립변인과 하나의 종속 변인과의 인과관계로 가설 진술, 검증가능한 가설 진술, 일반화된 가설 진술의 비율이 모두 증가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을 투입한 교사들의 사후 가설생성능력지수가 사전에 비해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프로그램을 투입하지 않은 교사들의 사전, 사후 검사 결과의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은 것과 비교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사 경험의 단계적 제시를 활용한 가설생성프로그램이 초등교사의 가설생성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스스로 과학적 가설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초등교사들을 돕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이 초등교사의 가설생성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으므로 학생수준에 맞게 수정, 보완한다면 초등학생의 가설생성능력 향상을 돕는 데도 효과적일 것이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원, "학생의 과학적 설명가설의 생성과정 분석-과학적 가설의 정의와 특성을 중심으로-" 20 (20): 667-679, 2000

      2 최지미, "통합탐구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지도 실태"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783-790, 2016

      3 조은별, "초등학생의 과학적 가설생성능력 평가를 위한 서술형 지필과제 및 가설생성능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5 (35): 137-149, 2016

      4 심해숙, "초등학생의 과학적 가설 생성에서 귀추의 역할과 그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5 박형용,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적 가설에 대한 인식 및 가설 설정 능력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 45 (45): 268-277, 2017

      6 신동훈, "제비나비 과제에 대한 생물 교사들의 유사 경험 표상과 과학적 가설 생성과의 관계" 한국생물교육학회 36 (36): 353-362, 2008

      7 박은미, "유사 경험의 제공이 귀추에 의한 가설 설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356-366, 2006

      8 권용주, "예비과학교사들의 가설 창안 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20 (20): 29-42, 2000

      9 권용주,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귀납적, 귀추적, 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215-228, 2003

      10 박순화, "생물학 탐구에서 학생들이 생성한 가설검증방법의 유형" 25 (25): 230-238, 2005

      1 박종원, "학생의 과학적 설명가설의 생성과정 분석-과학적 가설의 정의와 특성을 중심으로-" 20 (20): 667-679, 2000

      2 최지미, "통합탐구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지도 실태"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783-790, 2016

      3 조은별, "초등학생의 과학적 가설생성능력 평가를 위한 서술형 지필과제 및 가설생성능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5 (35): 137-149, 2016

      4 심해숙, "초등학생의 과학적 가설 생성에서 귀추의 역할과 그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5 박형용,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적 가설에 대한 인식 및 가설 설정 능력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 45 (45): 268-277, 2017

      6 신동훈, "제비나비 과제에 대한 생물 교사들의 유사 경험 표상과 과학적 가설 생성과의 관계" 한국생물교육학회 36 (36): 353-362, 2008

      7 박은미, "유사 경험의 제공이 귀추에 의한 가설 설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356-366, 2006

      8 권용주, "예비과학교사들의 가설 창안 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20 (20): 29-42, 2000

      9 권용주,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귀납적, 귀추적, 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215-228, 2003

      10 박순화, "생물학 탐구에서 학생들이 생성한 가설검증방법의 유형" 25 (25): 230-238, 2005

      11 김영수, "생물교수법"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생물교육연구실 2017

      12 신지홍,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학생들의 과학적 가설에 대한 인식과 가설 설정 능력 조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13 정진수, "동물학 과제에서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이 생성한 과학적 가설의 구조와 유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201-208, 2007

      14 권용주, "과학지식의 생성과 평가" 학지사 2011

      15 권용주, "과학적 가설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바탕이론"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458-469, 2003

      16 강은미, "과학 지식 생성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가설 지식 생성 능력의 발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257-270, 2006

      17 Chalmers, A.F., "W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Open university press 1976

      18 Mayr, E., "This is biology : The science of the living world"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19 Wenham, M., "The nature and role of hypotheses in school science investigations" 15 (15): 231-240, 1993

      20 Lawson, A. E.,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Wadswarth publishing company 1995

      21 Klahr, D., "Dual space search during scientific reasoning" 12 (12): 1-48,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3-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Center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7-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초등교육연구소 -> 초등교육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7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