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 교육실태 및 정책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vocational training for the unemployed in IT and its politic improvement meas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6403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in investigation on the politic reform measures of the vocational trainings for the unemployed, through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rrent system.
      As the Korea has become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ince we were under the 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 system, the information technology is perceived as an important personal competition.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s, unemployed workers have been mass-produced. The government knew that enterprises' information would directly affect the advancement of the national power, and it believed that the manpower training in IT (Information Technology) could solve the serious unemployment problem. So it started the vocational trainingin IT for jobless workers. Because of the lack of administrative experience and short-term goal establishment, however, its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have been criticized that they are just waste of the training cost exposing many problems.
      Thus, on this study, I divid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rrent training programs into 4 types, like the setting up of the curriculums depending on the administrative agencies, selecting people who are qualified for the trainings, the outcomes of the trainings, and finally politic support for the training etc. to draw the problems and find the solutions after analyzing them.
      As the result of the study, I want to propose some politic improvement measures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s should be opened based on the local or each training institutions' specialty.
      Second, the selecting system should be made upon consideration on the trainees' special qualities.
      Third, the training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employment to achieve its results.
      Fourth, the existing free training system should be changed into the partial fee charging in order to complement the trainees'moral slackness and clearly prescribe the responsibilities beforehand.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paper is in investigation on the politic reform measures of the vocational trainings for the unemployed, through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rrent system. As the Korea has become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ince we w...

      The aim of this paper is in investigation on the politic reform measures of the vocational trainings for the unemployed, through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rrent system.
      As the Korea has become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ince we were under the 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 system, the information technology is perceived as an important personal competition.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s, unemployed workers have been mass-produced. The government knew that enterprises' information would directly affect the advancement of the national power, and it believed that the manpower training in IT (Information Technology) could solve the serious unemployment problem. So it started the vocational trainingin IT for jobless workers. Because of the lack of administrative experience and short-term goal establishment, however, its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have been criticized that they are just waste of the training cost exposing many problems.
      Thus, on this study, I divid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rrent training programs into 4 types, like the setting up of the curriculums depending on the administrative agencies, selecting people who are qualified for the trainings, the outcomes of the trainings, and finally politic support for the training etc. to draw the problems and find the solutions after analyzing them.
      As the result of the study, I want to propose some politic improvement measures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s should be opened based on the local or each training institutions' specialty.
      Second, the selecting system should be made upon consideration on the trainees' special qualities.
      Third, the training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employment to achieve its results.
      Fourth, the existing free training system should be changed into the partial fee charging in order to complement the trainees'moral slackness and clearly prescribe the responsibilities beforeha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 교육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정책적 개선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IMF관리체제이후 정보기술이 개인의 경쟁력으로 인식되는 정보사회가 되면서 수많은 실업자가 발생하였다. 정부는 기업들의 정보화가 국력향상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알고 범국가적인 과제로 IT인력 양성을 실업대책의 하나로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은 행정적 경험부족과 단기적인 목표 설정 등으로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며, 훈련비용의 낭비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 현황 중 행정기관별 교육과정 개설, 교육대상자선발, 교육성과, 교육지원정책의 네 가지 유형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의 특성과 교육기관별 차별화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이 개설 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생 특성을 고려한 선발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취업서비스 연계로 교육효과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육생의 도덕적 해이와 책임감 부제를 보완 할 수 있도록 기존의 무료 교육을 부분 유료화 해야 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 교육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정책적 개선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IMF관리체제이후 정보기술이 개인의 경쟁력으로 인식되는 정보사회가 ...

      이 연구의 목적은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 교육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정책적 개선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IMF관리체제이후 정보기술이 개인의 경쟁력으로 인식되는 정보사회가 되면서 수많은 실업자가 발생하였다. 정부는 기업들의 정보화가 국력향상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알고 범국가적인 과제로 IT인력 양성을 실업대책의 하나로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은 행정적 경험부족과 단기적인 목표 설정 등으로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며, 훈련비용의 낭비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 현황 중 행정기관별 교육과정 개설, 교육대상자선발, 교육성과, 교육지원정책의 네 가지 유형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의 특성과 교육기관별 차별화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이 개설 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생 특성을 고려한 선발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취업서비스 연계로 교육효과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육생의 도덕적 해이와 책임감 부제를 보완 할 수 있도록 기존의 무료 교육을 부분 유료화 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표목차 = ⅲ
      • 그림목차 = ⅳ
      • 논문요약 = ⅵ
      • Ⅰ. 서론 = 1
      • 목차 = ⅰ
      • 표목차 = ⅲ
      • 그림목차 = ⅳ
      • 논문요약 = ⅵ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문제 = 2
      • 3. 용어 정의 = 4
      • 4.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5
      • Ⅱ. 실업자직업훈련의 성격과 종류 = 6
      • 1. 실업자직업훈련의성격 = 6
      • 2. 실업자직업훈련의 종류 = 9
      • 3. 실업자직업훈련 교육기관 유형 = 12
      • Ⅲ.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의 교육현황 분석 = 14
      • 1. 행정기관별 교육과정 개설현황 분석 = 14
      • 2. 교육대상자 선발현황 분석 = 17
      • 3. 교육성과 현황 분석 = 22
      • 4. 교육대상자 지원정책 분석 = 41
      • Ⅳ.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의 정책적 개선방안 = 43
      • 1.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의 정책적 목표 = 43
      • 2.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의 정책적 개선방안 = 43
      • Ⅵ. 결론 = 51
      • 참고문헌 = 53
      • ABSTRACT = 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