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 La Réunification des deux Corées » de Joël Pommerat = une écriture scénique en palimpsest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두 코리아의 통일>은 플라톤의 <향연> 속에서, 태어날 때부터 분리되어 있어 언제나 서로 찾게 되어 있는 두 존재의 결합에 대해 말하는 아리스토파네스의 첫 인류 신화와 연결된 은유적인 제목이다. 이 작품은 사랑 이야기를 주로 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TV드라마나 신문, 방송에서 흔히 보는 위기에 빠진 사랑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등장인물들에게 사랑이 없다거나 충분치 않다거나 너무 많다거나, 또는 사랑이 무엇인지 모른다고 말하게 하면서 질투, 광기, 간통, 전쟁, 죽음, 고독을 환기시키는 20개의 장면을 제시하고 있다. 이 작품의 독자나 관객은 조각들을 주웠는데 맞추기는 힘든 퍼즐 게임에 가깝고, 밀도 높은 각각의 장면 앞에서 망설이게 된다. 왜냐하면 각 장면은 분명한 경계가 없는데다 그것이 신화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랑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를 찾기도 쉽지 않다. 각 장면 사이에는 상반된 장면들이 들어있고, 등장인물 간의 관계나 그 관계에 대한 의미 탐색이 들어있으며, 단지 동화 뿐만 아니라, 영화, 회화, 소설 등과 함께 수많은 반향을 보여주고 있는 통과의례적인 여행이 들어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이 작품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풍부한 원천에 대하여 연구해보고자 했다.
      극작가이자 연출가인 폼므라의 희곡과 공연은 분리해서 말하기는 쉽지 않다. 그는 꿈과 현실 사이에 있는 어떤 세계를 만들어내기 위해 시각적, 청각적, 시적인 언어 요소들을 다 활용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본론에서, 폼므라의 연극이 단지 무대에서 출발한 극작일 뿐만 아니라, 여러 요소가 혼합된 극작품이며, 작가 스스로도 말하고 있듯이 글자를 지운 자리에 덧씌여진 글쓰기라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이 작품 <두 코리아의 통일> 속에 드러나고 있는 차용한 부분들(신화, 동화, 영화, 연극, 회화)을 차례로 질문해보았다. 이 같은 덧씌여진 파편적 글쓰기는 이 작가의 출발점이고 작업 끝까지 계속되는 방식이었다. 수천의 덧씌여진 이미지들, 여러 원천에서 영향을 받은 연출가의 상상에서 태어난 어떤 장면을 재해석하여 보여주는 배우들의 즉흥 작업을 통해서 이 작가는 다시 쓰기를 하고 있었다.
      종이에 쓰는 글쓰기와 인간 신체와 함께 조명, 사운드 등으로 쓰는 글쓰기와 분리하지 않고 있는 조엘 폼므라의 창작 방식은 파편화된 극작 쪽으로 문을 열고 있고, 연극의 여러 요소와 연결된 모든 예술과의 만남을 용이하게 해주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그래서 <두 코리아의 통일>은 동시에 분리되어있지만 언제나 만나게 되는 어떤 세계를 보여주기 위해, 사랑이라는 신화를 중심으로 하면서, 다양한 텍스트와 시각적인 작품들의 교차로에서 나온 창작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번역하기

      <두 코리아의 통일>은 플라톤의 <향연> 속에서, 태어날 때부터 분리되어 있어 언제나 서로 찾게 되어 있는 두 존재의 결합에 대해 말하는 아리스토파네스의 첫 인류 신화와 연결된 ...

      <두 코리아의 통일>은 플라톤의 <향연> 속에서, 태어날 때부터 분리되어 있어 언제나 서로 찾게 되어 있는 두 존재의 결합에 대해 말하는 아리스토파네스의 첫 인류 신화와 연결된 은유적인 제목이다. 이 작품은 사랑 이야기를 주로 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TV드라마나 신문, 방송에서 흔히 보는 위기에 빠진 사랑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등장인물들에게 사랑이 없다거나 충분치 않다거나 너무 많다거나, 또는 사랑이 무엇인지 모른다고 말하게 하면서 질투, 광기, 간통, 전쟁, 죽음, 고독을 환기시키는 20개의 장면을 제시하고 있다. 이 작품의 독자나 관객은 조각들을 주웠는데 맞추기는 힘든 퍼즐 게임에 가깝고, 밀도 높은 각각의 장면 앞에서 망설이게 된다. 왜냐하면 각 장면은 분명한 경계가 없는데다 그것이 신화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랑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를 찾기도 쉽지 않다. 각 장면 사이에는 상반된 장면들이 들어있고, 등장인물 간의 관계나 그 관계에 대한 의미 탐색이 들어있으며, 단지 동화 뿐만 아니라, 영화, 회화, 소설 등과 함께 수많은 반향을 보여주고 있는 통과의례적인 여행이 들어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이 작품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풍부한 원천에 대하여 연구해보고자 했다.
      극작가이자 연출가인 폼므라의 희곡과 공연은 분리해서 말하기는 쉽지 않다. 그는 꿈과 현실 사이에 있는 어떤 세계를 만들어내기 위해 시각적, 청각적, 시적인 언어 요소들을 다 활용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본론에서, 폼므라의 연극이 단지 무대에서 출발한 극작일 뿐만 아니라, 여러 요소가 혼합된 극작품이며, 작가 스스로도 말하고 있듯이 글자를 지운 자리에 덧씌여진 글쓰기라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이 작품 <두 코리아의 통일> 속에 드러나고 있는 차용한 부분들(신화, 동화, 영화, 연극, 회화)을 차례로 질문해보았다. 이 같은 덧씌여진 파편적 글쓰기는 이 작가의 출발점이고 작업 끝까지 계속되는 방식이었다. 수천의 덧씌여진 이미지들, 여러 원천에서 영향을 받은 연출가의 상상에서 태어난 어떤 장면을 재해석하여 보여주는 배우들의 즉흥 작업을 통해서 이 작가는 다시 쓰기를 하고 있었다.
      종이에 쓰는 글쓰기와 인간 신체와 함께 조명, 사운드 등으로 쓰는 글쓰기와 분리하지 않고 있는 조엘 폼므라의 창작 방식은 파편화된 극작 쪽으로 문을 열고 있고, 연극의 여러 요소와 연결된 모든 예술과의 만남을 용이하게 해주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그래서 <두 코리아의 통일>은 동시에 분리되어있지만 언제나 만나게 되는 어떤 세계를 보여주기 위해, 사랑이라는 신화를 중심으로 하면서, 다양한 텍스트와 시각적인 작품들의 교차로에서 나온 창작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es scènes imaginaires de Joël Pommerat» «Théâtre et compagnie»"

      2 "«Joël Pommerat. Entretien avec Christophe Triau» Centre Pompidou, cycle «La création à l'oeuvre», Paris, archives sonores de la BPI"

      3 Boudier Marion, "postface à Cendrillon" Actes Sud 2013

      4 Jousse Thierry, "Wong Kar-Wai" Cahiers du Cinéma 2006

      5 Pommerat Joël, "Théâtres en présence" Actes Sud Papiers 2007

      6 Lucie Albertini Guillevic, "Scènes de la vie conjugale d'Ingmar Bergman" Gallimard 1992

      7 Rapin Catherine, "Revue d'Etudes de la Culture et des Arts en France" 2015

      8 Jolivet Pignon Rafaëlle, "Registres, Hors-série n°4/2015 Ecrire pour le théâtre aujourd'hui. Modèles de la représentation et modèles de l'art" Catherine Naugrette 2015

      9 Laroque-Texier Sophie, "Proximités" EME 2015

      10 Genette Gérard, "Palimpsestes" Seuil 1982

      1 "«Les scènes imaginaires de Joël Pommerat» «Théâtre et compagnie»"

      2 "«Joël Pommerat. Entretien avec Christophe Triau» Centre Pompidou, cycle «La création à l'oeuvre», Paris, archives sonores de la BPI"

      3 Boudier Marion, "postface à Cendrillon" Actes Sud 2013

      4 Jousse Thierry, "Wong Kar-Wai" Cahiers du Cinéma 2006

      5 Pommerat Joël, "Théâtres en présence" Actes Sud Papiers 2007

      6 Lucie Albertini Guillevic, "Scènes de la vie conjugale d'Ingmar Bergman" Gallimard 1992

      7 Rapin Catherine, "Revue d'Etudes de la Culture et des Arts en France" 2015

      8 Jolivet Pignon Rafaëlle, "Registres, Hors-série n°4/2015 Ecrire pour le théâtre aujourd'hui. Modèles de la représentation et modèles de l'art" Catherine Naugrette 2015

      9 Laroque-Texier Sophie, "Proximités" EME 2015

      10 Genette Gérard, "Palimpsestes" Seuil 1982

      11 Artaud Antonin, "Oeuvres complètes III" Gallimard 1978

      12 Triau Christophe, "Le réalisme fantôme de Joël Pommerat. Questions de perception dans la trilogie Au monde - D'une seule main - Les Marchands" (100) : 2009

      13 Platon, "Le banquet" Flammarion 190b-193e, 2016

      14 Lucie Kempf, "Le Théâre néo-documentaire : résurgence ou réinvention ?" PUN 2013

      15 Pommerat Joël, "La Réunification des deux Corées" Actes Sud 2005

      16 Schnitzler Arthur, "La Cosmopolite" Stock 2002

      17 Boudier Marion, "Joël Pommerat: une démarche qui fait oeuvre"

      18 Gayot Joël, "Joël Pommerat, troubles" Actes Sud 2009

      19 Boudier Marion, "Je ne pense pas cinéma quand je fais du théâtre"

      20 "Instants sans unité" (4) : 2013

      21 Boudier Marion, "Influences et imitations"

      22 Chabrol Marguerite, "Influences et effets cinématographiques chez Joël Pommerat" Presses universitaires de Rennes 2013

      23 Majorel Jérémie, "Hymen - La Reunification des deux Corées (2013) de Joel Pommerat" Sken&graphie 2013

      24 Reza Yasmina, "Heureux les heureux" Éditeur Flammarion 2013

      25 Takels Bruno, "Fragments d’un théâtre amoureux" Les Solitaires intempestifs 2001

      26 Triau Christophe, "Fictions/Fictions. Remarques sur le theatre de Joël Pommerat" (203) : 2012

      27 Lessing, Gotthold Ephraim, "Du Laocoon, ou Des limites respectives de la poésie et de la peinture : traduit de l'allemand de G. E. Lessing" par Charles Vanderbourg 1802

      28 Pavis Patrice, "Dictionnaire de la performance et du théâtre contemporain" Armand Colin 2014

      29 "Cahiers de théâtre JEU, n° 127"

      30 Boudier Marion, "Avec Joël Pommerat, un monde complexe" Actes-Sud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8 0.18 0.306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