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징어의 의미 영역 분류사전 편찬 방안 = Strategies for makeing New Korean Symbolic Words diction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690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preceding conditions for publishing the dictionary of symbolic language. The dictionary of symbolic language is of a grest value in academic, educational, and practical level. This paper approache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dict...

      This paper explores preceding conditions for publishing the dictionary of symbolic language. The dictionary of symbolic language is of a grest value in academic, educational, and practical level. This paper approache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dictionary of symbolic language in two directons: macroscopic and microscopic level.
      In the macroscopic level the basic problems of the dictionary of symbolic language is that tis vocabulary-sorting-criterion is rater unsystematic and unscientific, while in the microscopic level the sorting tends to be unanalytic and not to provide enough ingormation.
      New symbolic dictionary attempts to overcome the aboce shortcomings. In macroscopic level the new dictionary presents a new efficient sorting ctinrtion which can get over with the unnatural sorting method of the preceding dictionary. In microscopic level it provides a bountiful information on the vocabulary. The new dictionary especially focuses on the grammar information and the synonym information on the vocabulary. New dictionary is sorted not by alphabetical order but by meaningful un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기존 사전의 한계
      • 2.1. 거시 구조의 문제
      • 2.2. 미시 구조의 문제
      • 3. 한계의 극복 방안
      • 1. 머리말
      • 2. 기존 사전의 한계
      • 2.1. 거시 구조의 문제
      • 2.2. 미시 구조의 문제
      • 3. 한계의 극복 방안
      • 3.1. 거시 구조의 체계화
      • 3.2. 미시 구조의 정밀화
      • 4.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