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후보자의 유권자 대면선거운동을 위한 정보수요 = Candidates’ Information Demand for the Face-to-Face Election Campa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50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find what kind of information candidates running for the Korean local elections of 2014 prefer for the effective face­to­face campaign. It is based on a survey of candidates running for those elections. Ratio analysis and cross analysis are used for data analysis. Candidates generally want to have information for efficiency, accessibility and multiplicity in order. Candidates running for the big elections want to attain information for efficiency at a higher rate than those for the small elections. Candidates running for the rural election like to obtain information for efficiency at a higher rate than those for the urban election. Candidate running for the election district, which is his/her hometown, wants to attain information for efficiency at a higher rate than candidate for the election district, where he/she has lived for a long time or the political party recommends him/her to run for. Since it is very hard to find studies about what kinds of information candidates want for the effective face­to­face campaign, further studies based on in-depth surveys of candidates are required.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s to find what kind of information candidates running for the Korean local elections of 2014 prefer for the effective face­to­face campaign. It is based on a survey of candidates running for those elections. Ratio analysis and cros...

      This study attempts to find what kind of information candidates running for the Korean local elections of 2014 prefer for the effective face­to­face campaign. It is based on a survey of candidates running for those elections. Ratio analysis and cross analysis are used for data analysis. Candidates generally want to have information for efficiency, accessibility and multiplicity in order. Candidates running for the big elections want to attain information for efficiency at a higher rate than those for the small elections. Candidates running for the rural election like to obtain information for efficiency at a higher rate than those for the urban election. Candidate running for the election district, which is his/her hometown, wants to attain information for efficiency at a higher rate than candidate for the election district, where he/she has lived for a long time or the political party recommends him/her to run for. Since it is very hard to find studies about what kinds of information candidates want for the effective face­to­face campaign, further studies based on in-depth surveys of candidates are requi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 동시지방선거에 출마한 후보자들이 유권자 대면선거운동을 위해 어떤 정보를 선호했는지를 후보자 대상 설문조사에 근거하여 파악하는데 있다. 분석방법으로는 비율분석과 교차분석이 사용되었다. 후보자들은 효율성, 접근성, 다수성관련 정보의 순으로 선호했다. 전반적으로 규모가 큰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일수록 효율성 정보에 대한 선호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며, 도농복합지역/농어촌지역 출마 후보자들이 도시지역 출마 후보자들보다 효율성 정보에 대한 선호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선거구가 고향인 후보자는 장기거주지역이나 정당출마권유/기타지역에 출마한 후보자보다 효율성 정보에 대한 선호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후보자가 효과적인 유권자 대면선거운동을 위해 어떤 정보를 선호하는 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앞으로 심층적인 설문조사에 근거한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 동시지방선거에 출마한 후보자들이 유권자 대면선거운동을 위해 어떤 정보를 선호했는지를 후보자 대상 설문조사에 근거하여 파악하는데 있다. 분석방법으로는 비...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 동시지방선거에 출마한 후보자들이 유권자 대면선거운동을 위해 어떤 정보를 선호했는지를 후보자 대상 설문조사에 근거하여 파악하는데 있다. 분석방법으로는 비율분석과 교차분석이 사용되었다. 후보자들은 효율성, 접근성, 다수성관련 정보의 순으로 선호했다. 전반적으로 규모가 큰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일수록 효율성 정보에 대한 선호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며, 도농복합지역/농어촌지역 출마 후보자들이 도시지역 출마 후보자들보다 효율성 정보에 대한 선호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선거구가 고향인 후보자는 장기거주지역이나 정당출마권유/기타지역에 출마한 후보자보다 효율성 정보에 대한 선호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후보자가 효과적인 유권자 대면선거운동을 위해 어떤 정보를 선호하는 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앞으로 심층적인 설문조사에 근거한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학량, "후보자의 자생적 유권자조직 정보 수요에 대한 연구: 2014년 동시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8 (28): 3-18, 2017

      2 송건섭, "후보자의 유권자의 정보교환을 위한 인지경로분석" 12 (12): 127-144, 2002

      3 김학량, "후보자의 유권자 정보수요에 대한 연구: 2014년 동시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49) : 33-56, 2015

      4 한국선거연구원, "한국형 선거 빅데이터 구축방안" 한국선거연구원 2014

      5 김만기, "한국 최근 정치캠페인에서 나타난 크리에이티브한 선거광고홍보전략 트렌드 분석 -2010. 6․2지방선거, 2011. 10․26 보궐선거 2012. 4․11 총선, 2012. 12․19 대선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65-73, 2013

      6 김용철, "지역주의적 정치구도의 사회심리적 토대: ‘상징적 지역주의’로의 진화?" 한국정당학회 14 (14): 93-128, 2015

      7 윤광일, "지역주의와 제18대 대선" 분쟁해결연구센터 11 (11): 99-131, 2013

      8 엄운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 있어서 대학생 유권자집단의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 후보자 인지요인과 선택요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6 (26): 107-129, 2012

      9 서진완, "정보접근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 접근의 다양화와 과제" 4 (4): 183-199, 2004

      10 황영민, "유권자운동의 진화 : 시민사회의 선거개입전략, 어떻게 변해왔나" 19 : 237-252, 2011

      1 김학량, "후보자의 자생적 유권자조직 정보 수요에 대한 연구: 2014년 동시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8 (28): 3-18, 2017

      2 송건섭, "후보자의 유권자의 정보교환을 위한 인지경로분석" 12 (12): 127-144, 2002

      3 김학량, "후보자의 유권자 정보수요에 대한 연구: 2014년 동시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49) : 33-56, 2015

      4 한국선거연구원, "한국형 선거 빅데이터 구축방안" 한국선거연구원 2014

      5 김만기, "한국 최근 정치캠페인에서 나타난 크리에이티브한 선거광고홍보전략 트렌드 분석 -2010. 6․2지방선거, 2011. 10․26 보궐선거 2012. 4․11 총선, 2012. 12․19 대선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65-73, 2013

      6 김용철, "지역주의적 정치구도의 사회심리적 토대: ‘상징적 지역주의’로의 진화?" 한국정당학회 14 (14): 93-128, 2015

      7 윤광일, "지역주의와 제18대 대선" 분쟁해결연구센터 11 (11): 99-131, 2013

      8 엄운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 있어서 대학생 유권자집단의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 후보자 인지요인과 선택요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6 (26): 107-129, 2012

      9 서진완, "정보접근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 접근의 다양화와 과제" 4 (4): 183-199, 2004

      10 황영민, "유권자운동의 진화 : 시민사회의 선거개입전략, 어떻게 변해왔나" 19 : 237-252, 2011

      11 장택원, "세상에서 가장 쉬운 사회조사 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2 유현종, "선거에서 정보환경이 유권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 대통령선거(제14대-제16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2 (42): 157-190, 2008

      13 정인태, "선거 마케팅 PR 캠페인 전략 개발을 위한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 영향 요인 연구 -6.2 부산 시장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9) : 285-336, 2010

      14 심정연, "개인성을 고려한 지식-감정 반응 모델의 설계" 대한전자공학회 47 (47): 116-122, 2010

      15 Sorauf, Frank, "Party Politics in America" Little, Brown and Company 1968

      16 Jennings, Kent, "Generations and Poli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1

      17 김학량, "A Study of the Influence of the Sewol Ferry Accident on the Voting Behavior of the Electorate in the 2014 Seoul Mayoral Election" 인문사회과학연구소 (45) : 23-46, 2014

      18 차영란, "6.2 지방선거를 통해 본 유권자들의 정보채널 이용 행태 :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45-156, 2011

      19 박명호, "2008 총선에서 나타난 세대 효과와 연령 효과에 관한 분석: 386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8 (8): 65-86,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