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양한 학업적 어려움을 지닌 위험군 학생을 위한 행정 및 제도적 지원체제 구축 방안과 과제 = Plans and Tasks for Establishing an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for At-risk Students with Various Academic Difficul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285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in supporting at-risk students with various academic difficulties, plans to cooperate with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specific support required for this by various subjects (general teachers, special teachers, managers, and administra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 detailed direction of supports that are comprehensively based on the opinions of various actors. To this end, a total of 11 people; including special teachers, general teachers,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vice principals, and administrat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via interviews that used semi-structured quest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ree major themes and eight subcategories were derived for each major topic, and 25 semantic units were extracted. Other opinions that were considered meaningful were additionally presented as well. The results were summarized based on the opinions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presented by each subject for the three institutional alternatives presen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rom the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aspect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at-risk students with various academic difficultie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in supporting at-risk students with various academic difficulties, plans to cooperate with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specific support required for this by various su...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in supporting at-risk students with various academic difficulties, plans to cooperate with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specific support required for this by various subjects (general teachers, special teachers, managers, and administra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 detailed direction of supports that are comprehensively based on the opinions of various actors. To this end, a total of 11 people; including special teachers, general teachers,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vice principals, and administrat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via interviews that used semi-structured quest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ree major themes and eight subcategories were derived for each major topic, and 25 semantic units were extracted. Other opinions that were considered meaningful were additionally presented as well. The results were summarized based on the opinions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presented by each subject for the three institutional alternatives presen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rom the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aspect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at-risk students with various academic difficulties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다양한 학업적 어려움을 지닌 위험군 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 특수교육과 일반교육과의 협력 방안, 그리고 이를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지원의 방향성을 다양한 주체의 견해를 바탕으로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 일반교사, 초등학교 교장, 교감, 장학사 등 총 11명이 반구조화 질문을 이용한 면담을 통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대주제와 각 대주제별로 2개, 3개, 3개씩 중분류가 도출되었고, 25개의 의미 단위가 추출되었다. 그 밖에 의미 있다고 생각된 기타 의견은 추가로 제시하였다. 연구진이 제시한 3가지 제도적 대안에 대하여 각 주체별로 제시한 장단점에 대한 의견을 토대로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학업적 어려움을 지닌 위험군 학생을 위한 시사점과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다양한 학업적 어려움을 지닌 위험군 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 특수교육과 일반교육과의 협력 방안, 그리고 이를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지원의 방향성을 다양한 주체의...

      이 연구는 다양한 학업적 어려움을 지닌 위험군 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 특수교육과 일반교육과의 협력 방안, 그리고 이를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지원의 방향성을 다양한 주체의 견해를 바탕으로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 일반교사, 초등학교 교장, 교감, 장학사 등 총 11명이 반구조화 질문을 이용한 면담을 통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대주제와 각 대주제별로 2개, 3개, 3개씩 중분류가 도출되었고, 25개의 의미 단위가 추출되었다. 그 밖에 의미 있다고 생각된 기타 의견은 추가로 제시하였다. 연구진이 제시한 3가지 제도적 대안에 대하여 각 주체별로 제시한 장단점에 대한 의견을 토대로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학업적 어려움을 지닌 위험군 학생을 위한 시사점과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대영, "한국 특수교육 교원교육의 역사적 성찰과 양성 모형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307-343, 2018

      2 김애화, "학습장애, 난독증, 학습부진(경계선 지능 포함) 및 학습지원대상 학생은 누구이며, 교육적 지원은 이대로 괜찮은가?: 특수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21, 2018

      3 이대식,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의 특징과 발전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101-132, 2015

      4 이대식, "학습부진학생 지원 체제에 대한 경기 지역 초등교사들의 의견" 교육연구소 25 (25): 449-470, 2019

      5 이대식,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등 일반학급 내 특별지원 요구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과 정체성" 한국특수교육학회 3-25, 2019

      6 김동일, "학습곤란(ld)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의 확장적 전환: 학습장애(LD) 정의 체계 재구조화"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1-12, 2018

      7 이대식, "학습 어려움,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할 것인가?: 국내 학습장애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와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6 (16): 1-32, 2019

      8 강은영,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중등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지원 실태"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1-37, 2018

      9 김우리, "장애위험아동, 누구인가?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한국특수교육학회 51 (51): 1-32, 2016

      10 고정화, "우리나라와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학습부진아 정책 및 지도 프로그램 비교 분석: 춘천시 교육청과 시애틀 교육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 20 (20): 57-76, 2017

      1 정대영, "한국 특수교육 교원교육의 역사적 성찰과 양성 모형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307-343, 2018

      2 김애화, "학습장애, 난독증, 학습부진(경계선 지능 포함) 및 학습지원대상 학생은 누구이며, 교육적 지원은 이대로 괜찮은가?: 특수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21, 2018

      3 이대식,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의 특징과 발전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101-132, 2015

      4 이대식, "학습부진학생 지원 체제에 대한 경기 지역 초등교사들의 의견" 교육연구소 25 (25): 449-470, 2019

      5 이대식,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등 일반학급 내 특별지원 요구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과 정체성" 한국특수교육학회 3-25, 2019

      6 김동일, "학습곤란(ld)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의 확장적 전환: 학습장애(LD) 정의 체계 재구조화"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1-12, 2018

      7 이대식, "학습 어려움,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할 것인가?: 국내 학습장애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와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6 (16): 1-32, 2019

      8 강은영,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중등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지원 실태"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1-37, 2018

      9 김우리, "장애위험아동, 누구인가?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한국특수교육학회 51 (51): 1-32, 2016

      10 고정화, "우리나라와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학습부진아 정책 및 지도 프로그램 비교 분석: 춘천시 교육청과 시애틀 교육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 20 (20): 57-76, 2017

      11 신재현, "예비교사에 의한 맞춤형 진단과한글 읽기 프로그램의 체계적 적용 효과: 지역아동센터 내 읽기부진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97-114, 2020

      12 강은영, "성취집단 수준별 전년도 학업성취와 학습풍토 및 학교풍토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의 차별적 특징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93-112, 2018

      13 이애진, "난독증 학생지원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조례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91-119, 2019

      14 신재현, "교육 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한 지원 체계" 93 : 6-12, 2019

      15 나장함, "교과교육 분야 질적연구의 타당도 확보 기법에 대한 고찰 - 참여자 확인, 동료검토, 감사추적을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70 : 233-254, 2017

      16 Al Otaiba, S., "To wait in Tier 1 or intervene immediately : A randomized experiment examining first-grade response to intervention in reading" 81 (81): 11-27, 2014

      17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The condition of educa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18 Woori Kim,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Identification of and Intervention for Students at Risk for Disabilities in South Korea" Informa UK Limited 1-16, 2020

      19 Michael, R., "Systemic issues of administration regar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3 (3): 523-529, 2012

      20 Nilsen, S.,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 coordinated or separated? A study of curriculum planning for pupil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21 (21): 205-217, 2017

      21 Norwich, B., "Recognising value tensions that underlie problems in inclusive education" 44 (44): 495-510, 2014

      22 Carrington, S., "Inclusion needs a different school culture" 3 (3): 257-268, 1999

      23 Trainor, A. A., "Evaluating rigor in qualitative methodology and research dissemination" 35 (35): 267-274, 2014

      24 Waldron, N. L., "Establishing Establishing a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through comprehensive school reform" 20 (20): 58-74, 2010

      25 Will, M. C., "Educating children with learning problems: A shared responsibility" 52 : 411-415, 1986

      26 국립특수교육원, "2020 특수교육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