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대영, "한국 특수교육 교원교육의 역사적 성찰과 양성 모형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307-343, 2018
2 김애화, "학습장애, 난독증, 학습부진(경계선 지능 포함) 및 학습지원대상 학생은 누구이며, 교육적 지원은 이대로 괜찮은가?: 특수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21, 2018
3 이대식,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의 특징과 발전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101-132, 2015
4 이대식, "학습부진학생 지원 체제에 대한 경기 지역 초등교사들의 의견" 교육연구소 25 (25): 449-470, 2019
5 이대식,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등 일반학급 내 특별지원 요구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과 정체성" 한국특수교육학회 3-25, 2019
6 김동일, "학습곤란(ld)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의 확장적 전환: 학습장애(LD) 정의 체계 재구조화"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1-12, 2018
7 이대식, "학습 어려움,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할 것인가?: 국내 학습장애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와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6 (16): 1-32, 2019
8 강은영,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중등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지원 실태"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1-37, 2018
9 김우리, "장애위험아동, 누구인가?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한국특수교육학회 51 (51): 1-32, 2016
10 고정화, "우리나라와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학습부진아 정책 및 지도 프로그램 비교 분석: 춘천시 교육청과 시애틀 교육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 20 (20): 57-76, 2017
1 정대영, "한국 특수교육 교원교육의 역사적 성찰과 양성 모형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307-343, 2018
2 김애화, "학습장애, 난독증, 학습부진(경계선 지능 포함) 및 학습지원대상 학생은 누구이며, 교육적 지원은 이대로 괜찮은가?: 특수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21, 2018
3 이대식,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의 특징과 발전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101-132, 2015
4 이대식, "학습부진학생 지원 체제에 대한 경기 지역 초등교사들의 의견" 교육연구소 25 (25): 449-470, 2019
5 이대식,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등 일반학급 내 특별지원 요구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과 정체성" 한국특수교육학회 3-25, 2019
6 김동일, "학습곤란(ld)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의 확장적 전환: 학습장애(LD) 정의 체계 재구조화"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1-12, 2018
7 이대식, "학습 어려움,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할 것인가?: 국내 학습장애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와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6 (16): 1-32, 2019
8 강은영,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중등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지원 실태"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1-37, 2018
9 김우리, "장애위험아동, 누구인가?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한국특수교육학회 51 (51): 1-32, 2016
10 고정화, "우리나라와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학습부진아 정책 및 지도 프로그램 비교 분석: 춘천시 교육청과 시애틀 교육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 20 (20): 57-76, 2017
11 신재현, "예비교사에 의한 맞춤형 진단과한글 읽기 프로그램의 체계적 적용 효과: 지역아동센터 내 읽기부진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97-114, 2020
12 강은영, "성취집단 수준별 전년도 학업성취와 학습풍토 및 학교풍토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의 차별적 특징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93-112, 2018
13 이애진, "난독증 학생지원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조례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91-119, 2019
14 신재현, "교육 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한 지원 체계" 93 : 6-12, 2019
15 나장함, "교과교육 분야 질적연구의 타당도 확보 기법에 대한 고찰 - 참여자 확인, 동료검토, 감사추적을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70 : 233-254, 2017
16 Al Otaiba, S., "To wait in Tier 1 or intervene immediately : A randomized experiment examining first-grade response to intervention in reading" 81 (81): 11-27, 2014
17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The condition of educa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18 Woori Kim,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Identification of and Intervention for Students at Risk for Disabilities in South Korea" Informa UK Limited 1-16, 2020
19 Michael, R., "Systemic issues of administration regar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3 (3): 523-529, 2012
20 Nilsen, S.,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 coordinated or separated? A study of curriculum planning for pupil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21 (21): 205-217, 2017
21 Norwich, B., "Recognising value tensions that underlie problems in inclusive education" 44 (44): 495-510, 2014
22 Carrington, S., "Inclusion needs a different school culture" 3 (3): 257-268, 1999
23 Trainor, A. A., "Evaluating rigor in qualitative methodology and research dissemination" 35 (35): 267-274, 2014
24 Waldron, N. L., "Establishing Establishing a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through comprehensive school reform" 20 (20): 58-74, 2010
25 Will, M. C., "Educating children with learning problems: A shared responsibility" 52 : 411-415, 1986
26 국립특수교육원, "2020 특수교육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