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부 헤겔 주제 논문 : 헤겔의 민족정신과 그 성립근거 = Hegels Begriff des Volksgeistes und seine Berechtigu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42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모든 인간이 자유이며 자유인으로 평등하다는 이상(理想)이 땅위에서 실현되면 세계사는 종말을 고한다고 헤겔은 생각한다. 그에게 자유와 평등은 사회적 인간으로서 개인의 삶을 결정하는 실천적 역사이성의 정점이다. 이것은 역사 진행과정에서 어떤 민족에게도 자유나 평등이 완전하게 주어질 수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역사의 종점에 이르는 과정에서 민족과 민족정신은 그 역사를 이끌어가는 견인차이다. 그런데 이 과정에 나타나는 다양한 민족과 민족정신은 단순히 서로 다르기만한 것이 아니라 자유이념의 인식과 실천정도에서 일정한 우열과 위계를 가지면서 생성하고 소멸 한다. 이 생성과 소멸을 펼치는 세계사의 극장은 민족과 민족정신의 생사를 건 인정투쟁의 각축장이다. 이 논문은 헤겔에서 민족과 민족정신의 관계와 그 역사철학적 의미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여기서 필자는 민족과 민족정신이 민족주의의 개념적 실체라는 것, 따라서 철학적 역사서술에서 민족과 민족정신은 그 필수불가결의 대상이라는 것이며 민족주의는 시대에 뒤진 것이 아니라 시대의 본성, 역사의 주체라는 것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구성상 이글은 첫째, 칸트사상에서 제시되는 정신과 자연의 관계를 헤겔은 어떻게 수용 정립하는지를 살펴보고, 둘째, 역사적 현실에서 왜 민족과 민족정신은 구체적 현존으로 실재하며 또 그 현존방식은 무엇인지를 되새겨 보려고 한다. 그리고 셋째, 이를 통해 요즈음 민족주의 논쟁의 왜곡된방향을 시정하고자 한다. 분명 민족정신 개념에 대한 헤겔 철학적 이해는 요즈음 민족주의 담론을 더욱 풍요롭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모든 인간이 자유이며 자유인으로 평등하다는 이상(理想)이 땅위에서 실현되면 세계사는 종말을 고한다고 헤겔은 생각한다. 그에게 자유와 평등은 사회적 인간으로서 개인의 삶을 결정하는...

      모든 인간이 자유이며 자유인으로 평등하다는 이상(理想)이 땅위에서 실현되면 세계사는 종말을 고한다고 헤겔은 생각한다. 그에게 자유와 평등은 사회적 인간으로서 개인의 삶을 결정하는 실천적 역사이성의 정점이다. 이것은 역사 진행과정에서 어떤 민족에게도 자유나 평등이 완전하게 주어질 수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역사의 종점에 이르는 과정에서 민족과 민족정신은 그 역사를 이끌어가는 견인차이다. 그런데 이 과정에 나타나는 다양한 민족과 민족정신은 단순히 서로 다르기만한 것이 아니라 자유이념의 인식과 실천정도에서 일정한 우열과 위계를 가지면서 생성하고 소멸 한다. 이 생성과 소멸을 펼치는 세계사의 극장은 민족과 민족정신의 생사를 건 인정투쟁의 각축장이다. 이 논문은 헤겔에서 민족과 민족정신의 관계와 그 역사철학적 의미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여기서 필자는 민족과 민족정신이 민족주의의 개념적 실체라는 것, 따라서 철학적 역사서술에서 민족과 민족정신은 그 필수불가결의 대상이라는 것이며 민족주의는 시대에 뒤진 것이 아니라 시대의 본성, 역사의 주체라는 것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구성상 이글은 첫째, 칸트사상에서 제시되는 정신과 자연의 관계를 헤겔은 어떻게 수용 정립하는지를 살펴보고, 둘째, 역사적 현실에서 왜 민족과 민족정신은 구체적 현존으로 실재하며 또 그 현존방식은 무엇인지를 되새겨 보려고 한다. 그리고 셋째, 이를 통해 요즈음 민족주의 논쟁의 왜곡된방향을 시정하고자 한다. 분명 민족정신 개념에 대한 헤겔 철학적 이해는 요즈음 민족주의 담론을 더욱 풍요롭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se Arbeit beabsichtigt, die Beziehung und Bedeutung zwischen Volk und Volksgeist aufzuklaren. Es wird betrachtet, wie Hegel die Gedanken Kant`s uber die Beziehung von Geist und Natur aufnimmt. Im Anschluss wird die Fragestellung beantwortet, warum Volk und Volksgeist in der geschichtlichen Realitat als konkretes Dasein existent sind und was deren Daseinsweisen sind. Indirekt erhofft der Verfasser, einen Beitrag zur Richtigstellung der gegenwartig verdrehten Auffassung der Diskussion und Auseinandersetzung zum Nationalismus leisten zu konnen. Auch wird die Moglichkeit einer reflektierenden Perspektive aufgezeigt, indem durch die Aufnahme des klassischen Verstandnisses von Hegel`s Begriff des Volksgeistes der Nationalismusdiskurs ein vielseitigeres und fruchtbares Resultat erhofft wird.
      번역하기

      Diese Arbeit beabsichtigt, die Beziehung und Bedeutung zwischen Volk und Volksgeist aufzuklaren. Es wird betrachtet, wie Hegel die Gedanken Kant`s uber die Beziehung von Geist und Natur aufnimmt. Im Anschluss wird die Fragestellung beantwortet, warum ...

      Diese Arbeit beabsichtigt, die Beziehung und Bedeutung zwischen Volk und Volksgeist aufzuklaren. Es wird betrachtet, wie Hegel die Gedanken Kant`s uber die Beziehung von Geist und Natur aufnimmt. Im Anschluss wird die Fragestellung beantwortet, warum Volk und Volksgeist in der geschichtlichen Realitat als konkretes Dasein existent sind und was deren Daseinsweisen sind. Indirekt erhofft der Verfasser, einen Beitrag zur Richtigstellung der gegenwartig verdrehten Auffassung der Diskussion und Auseinandersetzung zum Nationalismus leisten zu konnen. Auch wird die Moglichkeit einer reflektierenden Perspektive aufgezeigt, indem durch die Aufnahme des klassischen Verstandnisses von Hegel`s Begriff des Volksgeistes der Nationalismusdiskurs ein vielseitigeres und fruchtbares Resultat erhofft wir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