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이 개별 브랜드에 지급하는 광고비와 브랜드자산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 광고비 지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광고비 효율성과 광고비와 기업의 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08465
2013
Korean
광고비 ; 브랜드자산 ; 브랜드인지도 ; 브랜드충성도 ; Advertising Expenditure ; Brand Equity ; Brand Awareness ; Brand Royalty
325
KCI등재
학술저널
67-83(17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이 개별 브랜드에 지급하는 광고비와 브랜드자산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 광고비 지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광고비 효율성과 광고비와 기업의 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이 개별 브랜드에 지급하는 광고비와 브랜드자산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 광고비 지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광고비 효율성과 광고비와 기업의 시장성과 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마케팅적 관점에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마케팅분야에서 광고비와 브랜드자산 간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는 대부분 개별 브랜드가 아닌 기업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들 연구들은 소비자 조사가 아니라 패널 자료를 이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조사를 통해서 개별 브랜드에 지출하는 광고비와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자산 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광고비를 많이 지출한 200대 브랜드에 포함된 4개 제품군 18개 브랜드와 포함되지 않은 20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브랜드자산을 측정하였다. 브랜드자산의 구성요소로는 최초인지도, 비보조인지도, 보조인지도, 이미지, 구입가능성, 선호도를 이용하였다. 2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광고비를 많이 지출한 브랜드가 그렇지 않은 브랜드에 비해서 브랜드자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알 수 있는 것은 광고비 지출이 브랜드자산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expenditure and brand equity. Previous studies about the advertising expenditure focus on the advertising efficien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expenditure a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expenditure and brand equity. Previous studies about the advertising expenditure focus on the advertising efficien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expenditure and firm value. And from a marketing perspective, the study on advertising expenditure is very restrictive. The studies about this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expenditure and brand equity are not each brand but corporate brand. And the studies were based on panel data instead of consumer survey. Thus, the current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spending and consumer-based brand equity by consumer survey. We choose a total of 39 brands in 4 different product categories and 18 brands of them are included in the list of 200 advertising spending brands. The components of brand equity in this study fall into six categories: top of mind awareness, brand recall, brand recognition, brand image, intention to buy, and prefere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brand equity of the brands which are spending far more on advertising is higher than those which are not. This implies that advertising expenditure has impact on the brand equ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순용, "연구개발비와 광고비지출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14 (14): 239-263, 1999
2 육근호, "연구개발비와 광고비지출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재검토" 한국산업경영학회 18 (18): 219-251, 2003
3 임언석, "산업재 브랜드의 TV광고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85) : 103-132, 2010
4 김연용, "무형자산의 기업가치관련성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19 (19): 199-216, 2006
5 이유재, "기업의 수익성과 가치에 미치는 고객만족의 동태적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10 (10): 1-23, 2008
6 홍봉영, "국내제약회사 광고비의 효율성 측정" 한국산업경영학회 21 (21): 147-165, 2006
7 하귀용, "국내 주요 광고주의 광고비 효율성 분석" 대한경영학회 24 (24): 3655-3675, 2011
8 제일기획, "광고연감"
9 제일기획, "광고연감"
10 권기정, "광고선전비의 다기간 가치관련성 분석" 한국국제회계학회 (26) : 129-154, 2009
1 권순용, "연구개발비와 광고비지출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14 (14): 239-263, 1999
2 육근호, "연구개발비와 광고비지출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재검토" 한국산업경영학회 18 (18): 219-251, 2003
3 임언석, "산업재 브랜드의 TV광고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85) : 103-132, 2010
4 김연용, "무형자산의 기업가치관련성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19 (19): 199-216, 2006
5 이유재, "기업의 수익성과 가치에 미치는 고객만족의 동태적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10 (10): 1-23, 2008
6 홍봉영, "국내제약회사 광고비의 효율성 측정" 한국산업경영학회 21 (21): 147-165, 2006
7 하귀용, "국내 주요 광고주의 광고비 효율성 분석" 대한경영학회 24 (24): 3655-3675, 2011
8 제일기획, "광고연감"
9 제일기획, "광고연감"
10 권기정, "광고선전비의 다기간 가치관련성 분석" 한국국제회계학회 (26) : 129-154, 2009
11 윤희경, "광고가 이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매개변수로서의 브랜드 자산 :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 브랜드자산의 매개변수 역할 비교" 한국과학기술원 2005
12 안대희, "광고가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44 : 89-104, 1999
13 이희욱, "광고 이론과 전략"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9
14 Krishnan, H. S., "Varieties of Brand Memory Induced by Advertising: Determinants, Measures, and Relationships in Brand Equity and Advertising: Advertising's Role in Building Strong Brand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16-217, 1993
15 Abratt, R., "Valuing Brands and Brand Equity: Methods and Processes" 8 (8): 21-39, 2003
16 Shah, S. Z. A., "Value Relevance of Advertising Expenditure: A Review of the Literature" 10 : 301-325, 2008
17 Han, B. H., "The Value-Relevance of R&D and Advertising Expenditure: Evidence from Korea" 39 : 155-173, 2004
18 Simon, C. J., "The Measurement and Determinants of Brand Equity: A Financial Approach" 12 (12): 28-52, 1993
19 Ben-Zion, U., "The Investment Aspect of Nonproduction Expenditures: An Empirical Test" 30 (30): 224-229, 1978
20 Mizik, N, "The Financial Value Impact of Perceptual Brand Attributes" 45 (45): 15-32, 2008
21 Ho, Y. K., "The Effects of R&D and Advertising on Firm Value: An Examination of Manufacturing and Nonmanufacturing Firms" 52 (52): 3-14, 2005
22 Smith, D. C, "The Effect of Brand Extensions on Market Share and Advertising Efficiency" 29 : 296-313, 1992
23 Schmalensee, T., "The Economics of Advertising" North-Holland Publishing Co. 1972
24 Keller, K. L.,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Prentice-Hall 2003
25 Ailawadi, K. L., "Revenue Premium as an Outcome Measure of Brand Equity" 67 (67): 1-17, 2003
26 Notta, O, "Profitability and Media Advertising in Greek Food Manufacturing Industries" 18 (18): 115-126, 2001
27 Washburn, J. H., "Measuring Brand Equity: An Evaluation of a Consumer-Based Brand Equity Scale" 10 (10): 46-62, 2002
28 Aaker, D. A., "Measuring Brand Equity Across Products and Markets" 38 (38): 102-120, 1996
29 Kotler, P., "Marketing Management" Person Prentice Hall 2006
30 Core, J. E., "Market Valuations in the New Economy : An Investigation of What has changed" 34 (34): 43-67, 2003
31 Leone, R. P., "Linking Brand Equity to Customer Equity" 9 (9): 125-138, 2006
32 Keller, K. L., "How Do Brands Create Value?" 26-31, 2003
33 Chaudhuri, A., "How Brand Reputation Affects the Advertising-Brand Equity Link" 42 (42): 33-43, 2002
34 Sheth, J., "Feeling the Heat" 4 (4): 8-23, 1995
35 Lohtia, R.,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Internet Banner Advertisements" 60 (60): 365-370, 2007
36 Wang, F., "Does Advertising Create Sustained Firm Value? The Capitalization of Brand Intangible" 37 : 130-143, 2009
37 Yoo, B., "Developing and Validating a Multidimensional Consumer-Based Brand Equity Scale" 52 (52): 1-14, 2001
38 Engel, J. F., "Consumer Behavior" Dryden Press 1993
39 Keller, K. L.,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57 (57): 1-22, 1993
40 Doyle, P., "Building Successful Brands : The Strategic Options" 5 (5): 77-95, 1989
41 Cobb-Waltren, C. J., "Brand Equity,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 24 (24): 25-40, 1995
42 Lou, X., "Benchmarking Advertising Efficiency" 41 (41): 7-18, 2001
43 Yoo, B., "An Examination of Selected Marketing Mix Elements and Brand Equity" 28 (28): 195-211, 2000
44 Chauvin, K. W., "Advertising, R&D Expenditures and the Market Value of the Firm" 22 (22): 128-140, 1993
45 Andras, T. L., "Advertising Intensity and R&D Intensity: Differences across Industries and Their Impact on Firm's Performance" 2 (2): 167-176, 2003
46 Fare, R., "Advertising Efficiency and the Choice of Media Mix : A Case of Beer" 22 (22): 503-522, 2004
47 Park, C. S., "A Survey-Based Method for Measuring and Understanding Brand Equity and Its Extendibility" 31 (31): 271-288, 1994
서비스 종업원의 목표지향성과 고객지향성이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Consumer Responses to Green Appeal Advertising: The Case of Korean and Canadian Consumers
가격을 분할할 것인가? 통합할 것인가? : 부가가격의 수, 판매자 신뢰성, 인지욕구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접촉 서비스 종업원이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 골프보조원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99 | 1.99 | 2.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4 | 1.75 | 2.02 | 0.61 |